제2차 세계 대전의 미합중국 해군 군함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미군의 해군 군함 | |||
구잠함(PC) | <colbgcolor=white,#191919>PC급 구잠함 | |||
초계함(PG) | 더뷰크급, 이리급 | |||
호위함(FF) | 애슈빌급, 타코마급, 컨스티튜션급 | |||
호위구축함(DE) | 에바츠급, 버클리급, 캐논급, 에드솔급, 루더로우급, 존 C. 버틀러급, 딜리급A, 클라우드 존스급A | |||
구축함(DD) | 샘슨급, 칼드웰급, 윅스급, 클렘슨급, | |||
잠수함(SS) | O급, R급, S급, 바라쿠다급, 아르거넛급, 나왈급, 카샬롯급, 포어포이즈급, 새먼급, 사르고급, 탬버급, 가급, 마크렐급, 가토급, 발라오급, 텐치급 | |||
경순양함(CL) | 오마하급, 브루클린급, 세인트루이스급, 애틀랜타급, 클리블랜드급, 파고급A, 주노급A, | |||
중순양함(CA) | 펜사콜라급, 노스햄프턴급, 포틀랜드급, 뉴올리언스급, 위치타급, 볼티모어급, | |||
대형순양함(CB) | 알래스카급, | |||
순양전함(CC) | ||||
전함(BB) | 플로리다급, 와이오밍급, 뉴욕급, 네바다급, | |||
호위항공모함(CVE) | 롱 아일랜드급, 차져급, 보그급, 생가몬급, 카사블랑카급, 커먼스먼트 베이급 | |||
경항공모함(CVL) | 인디펜던스급, 사이판급A | |||
정규항공모함(CV) | 랭글리, 렉싱턴급, 레인저, 요크타운급, 와스프, 로빈(빅토리어스)UK, 에식스급, 타이콘데로가급, 미드웨이급A | |||
수상기모함(AV) | 커티스급, 탕헤르급, 바네갓급, 커리턱급, 케네스 화이팅급 | |||
병원선(AH) | 릴리프, 솔러스, 컴포트급, 바운티풀, 사마리안, 레퓨지, 헤이븐급, 안타이오스 | |||
군수지원함 | 키어사지AB, 베스탈AR | |||
잠수함모함(AS) | 풀턴급 | |||
구축함모함(AD) | 딕시급 | |||
소해함 | 랩윙급, 레이븐급, 오크급, 호크급, 어드미러블급 | |||
어뢰정 | PT 보트 | |||
공격수송함 | 존 펜, 아서 미들턴급, 프레드릭 펀스턴급, 도이엔급, 윈저급, 옴스비급, 베이필드급, 섬터급, 길리엄급, 하스켈급, 폴 리비어급A | |||
연습항공모함 | 울버린급, 세이블급 | |||
지휘함 | 마운트 매킨리급, 애디론댁급 | |||
기타 함선 | USS QUARTZ | |||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미군의 운용장비 | 해상병기 | }}} }}}}}} |
1. 개요
오크급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93척 건조된 미국 해군과 영국 해군의 소해함이다.2. 제원
오크급 소해함 Auk-class minesweeper | ||
이전 함급 | 레이븐급 | |
배수량 | 표준 | 900t |
만재 | 1,100t | |
전장 | 67.41m | |
전폭 | 9.75m | |
흘수 | 3.35m | |
추진 장치 | 디젤 엔진 | 2기 (총 3,500SHP) |
프로펠러 | 2축 | |
최고 속력 | 18kn (약 33km/h) | |
승조원 | 105명 | |
무장 | 주포 | 3인치 50구경장 함포 2문[1] |
부포 | 보포스 40mm 포 2문[2] 오리콘 20mm 기관포 8문[3] | |
폭뢰 발사대 | 2문 |
3. 운용국
3.1. 대한민국 해군의 신성급 초계함
자세한 내용은 신성급 초계함 문서 참고하십시오.- AM-376 타미간 (Tarmigan): 1963년 7월 25일부터 PCE-1001 신성으로 운용
- AM-116 스피드 (Speed): 1967년 11월 17일부터 PCE-1002 순천으로 운용
- AM-341 덱스트러스 (Dextrous): 1967년 12월 ?일부터 PCE-1003 거제로 운용
3.2. 필리핀 해군의 리잘급 초계함
자세한 내용은 리잘급 초계함 문서 참고하십시오.AM-372 멀릿 (Murrelet), AM-324 비질런스 (Vigilance)가 필리핀 해군에 공여됐다. 필리핀 해군은 초계함으로 운용했다.
4. 둘러보기
제2차 세계 대전의 영국 해군 군함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colcolor=#000080> 제2차 세계 대전 영국군의 해군 군함 | |||
초계함 | <colbgcolor=#fefefe,#191919>24형, 브리지워터급, 헤이스팅스급, 밴프급, 쇼어햄급, 그림스비급, 킹피셔급, 비턴급, 이그렛급, 블랙 스완급, 플라워급, 캐슬급 | |||
호위함 | 리버급, 캡틴급, 콜로니급, 로크급, 베이급 | |||
구축함 | R급, S급, V급, W급, 셰익스피어급, 엠버스케이드급, 아마존급, A급, B급, C급, D급, E급, F급, G급, H급, I급, 트라이벌급, J급, K급, N급, 헌트급, L급, M급, O급, P급, Q급, R급, S급, T급, U급, V급, W급, Z급, C급, 배틀급, 웨폰급A, | |||
잠수함 | H급, L급, U급, V급, X급, X1, P611급, S급, T급, 그램퍼스급, 암피온급, 리버급, 레인보우급, 파르티안급, 오딘급 | |||
모니터함 | 로버츠급,에레버스급 | |||
경순양함 | C급(칼레돈급, 세레스급, 칼라일급), D급, E급, 리앤더급, 엠피온급, 아레투사급(1934), 타운급(사우스햄튼급, 글로스터급, 에든버러급), 다이도급, 크라운 콜로니급, 미노토어급(스윕트셔급), | |||
중순양함 | 호킨스급, 카운티급(켄트급, 런던급, 노포크급), 요크급, 엑서터급, | |||
순양전함 | 리나운급, 어드미럴급, | |||
전함 | 아이언 듀크급, 퀸 엘리자베스급, 리벤지급, | |||
호위항공모함 | 오더시티, 액티비티, 나이라너급, 아처, 어벤저급, 어태커급, 룰러급(보그급 호위항공모함), 프레토리아 캐슬 | |||
경항공모함 | 유니콘급, 1942년 설계 경량 함대 항공모함, 센토어급A | |||
정규항공모함 | 아거스급, 허미즈급, 이글급, 커레이저스급, 아크로열급, 일러스트리어스급, 임플래커블급, 오데이셔스급A, | |||
기타 | 페어마일 어뢰정, 알제린급 소해함, 캐서린급 소해함, 소드피시, 인섹트급 연안포함 | |||
윗첨자A: 전후 완공된 함선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영국군의 운용장비 | 해상병기 | }}} }}}}}} |
현대 대한민국 해군 함정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1B69><colcolor=white> 잠수함 | <colbgcolor=#001B69><colcolor=#fff> SS | 장보고급, 손원일급, 도산안창호급, {KSS-III Batch-II} |
SSM | 비둘기/갈매기급, 돌고래급, 참고래급, 가자미급, 범고래급 | ||
SSN | |||
항공모함 | |||
아스널십 | {합동화력함} | ||
구축함 | DDG | 세종대왕급, 정조대왕급, {KDDX} | |
DDH | 광개토대왕급, 충무공이순신급 | ||
DD | 충무급, 충북급, 대구·인천급 | ||
호위구축함(DE) 고속수송함(APD) | 경기·강원급, 충남급, 경남·아산급, 경북·전남급 | ||
호위함 | FFG | 인천급, 대구급, 충남급, {FFX Batch-IV} | |
FF | 울산급 | ||
PF | 두만강급 | ||
초계함 | PCC OPV | 동해급, 포항급, {한국형 차세대 연안초계함} | |
경비함정 (PG, PCS, PC, PCE) | 충무공 313·315, 수성급, 백두산급, 노량급, 거진급, 신성급 | ||
유도탄고속함 | PKG | 윤영하급 | |
PGM | 백구·기러기급 | ||
PKMM | 기러기 121·122 | ||
고속정 | PKM PKMR | 기러기 123, 기러기/참수리급 참수리 211급 | |
PB SB FB PK | 올빼미급 보라매급 독수리급 제비급 | ||
PT | 갈매기급 | ||
상륙함 | LPH | 독도급 | |
LST-II (LSD) | 천왕봉급 | ||
LST | 천안·용화급, 안동급, 용비급, 운봉급, 고준봉급 | ||
LSM LSMR | 대초급 시흥급 | ||
상륙정 | LSF | 솔개 611, 거북이 613급, 솔개 621급, 솔개 631급 | |
LCU | 물개급 | ||
LCI LSSL | 서울/천안급 영흥만급 | ||
기뢰부설함 | LSML MLS | 풍도·울릉 원산, 남포 | |
소해함 | MSC MHC MHS | 금산급, 남양급 강경급 양양급, {MSH-II} | |
소해정 | YMS JMS AMS | 금강산/강진급 대전급 금화급 | |
군수지원함 | AOE | 천지급, 소양급 | |
수상함구조함 | ARS ATS | 창원·구미 평택·광양, 통영·광양 | |
잠수함구조함 | ASR | 청해진, 강화도 | |
훈련함 | ATH | 한산도 | |
정보함 | AGS | 신천지, 신세기, 신기원, {AGX-III} | |
잠수정모함 | ASL | 남양정, 다도해 | |
수리함 | ARL | 덕수 | |
수송함 | AKL | 부산·인천/제물포, 원산급, 군산/천수급 | |
유조함 | YO AO AOR | 구룡 천지·부전/부천, 백연/화천, 청평 소양·진양 | |
예인함 | ATA | 인왕, 용문, 도봉 | |
전투근무지원정 | 전투정 | 다목적훈련지원정(MTB), 항만경비정(YUB/HP), 항만수송정(YF), {특수전지원함·특수침투정} | |
근무지원정 | 숙영지원정(QB), 냉동정(RCM), 고속정지원정(YPK-A), 잠수지원정(DB), 구조지원정(YDT), 항무지휘정(YSB/HCB), 예인정(YTL), 기중기정(YD), 청소정(OS), 청수정(AWT/YWS), 항무지원정(LCM/HUB), 헬기이착함훈련지원정(YHE) | ||
기타 | 단정, 주정 | 고속단정(RIB), 인원이송상륙주정(LCP), 상륙주정(LCVP), 고속상륙주정(LCM) | |
유인기 | 심해구조잠수정(DSRV) | ||
무인기 | 수중무인탐사기(ROV), 무인기뢰처리기-II(MDV), {무인잠수정(UUV)}, {무인수상정(USV)}, {무인전력지휘통제함} | ||
타기관 함정 | 육군, 국과연 | 육군경비정육, 교량 가설 단정육, 선진과, 지심과, 미래과, 청해과 | |
※ 황색 글자: 퇴역 함정 ※ {중괄호}: 취역 예정 함정 ※ ※ 윗첨자정: 정보사령부 소속 함정 ※ 윗첨자육: 대한민국 육군 소속 함정 ※ 윗첨자과: 국방과학연구소 소속 함정 ※ 윗첨자나포: 적으로 부터 나포한 함정 | |||
※ 둘러보기: 대한민국 해군 취역·퇴역 함정 일람 | 한국군의 운용장비 | 해상병기 | }}}}}}}}} |
현대의 그리스 해군 함정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 <colbgcolor=#003f87> 잠수함 | 포세이돈급, 글라브코스급, 오케아노스급, 파파니콜리스급 | ||
어뢰정 | 에스페로스급R, 에스테렐급 | |||
고속정 | 아이올로스급R, 아이올로스급R, 톨미급, 루센급, 보트시스급, 카발로디스급, 라스코스급, {사펠로급} | |||
초계함 | 아포스톨리스급R, 오스프리 55급, HSY-55급, HSY-56A급 | |||
호위함 | 에피루스급R, 엘리급, 히드라급, {키몬급(3대)} | |||
구축함 | 아이가이온R, 니키급R, 미아울리스R, 키몬급R, 키몬급(2대)R, 테미스토클리스급R | |||
상륙정 | 세리포스급, 케팔로니아급 | |||
상륙함 | <colbgcolor=#003f87> LST | 이아손급 | ||
소해함 | 피레아스급R, 안티오피급R, 에브니키급, 에우로페급 | |||
수송함 | 판도라급, 프톨레마이다급 | |||
군수지원함 | 케르키니급, 제우스급, 프로메테우스급, 악시오스급 | |||
※ 윗첨자R: 퇴역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 *: 테스트용으로만 사용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그리스군의 운용장비 | 해상병기 | }}} }}}}}} |
현대의 멕시코 해군 함정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colbgcolor=#006847> 초계정 | 테노치티틀란급, 아즈테카급 | ||
고속정 | 데모크라타급, 카보급, 이슬라급, 푼토급, 폴라리스 (II)급, 아쿠아리오 A/B급 | |||
미사일 고속정 | 우라칸급 | |||
초계함 | 시에라급 | |||
원양초계함 | 발레급, 캘리포니아급, 코아우일라급, 우리베급, 홀칭거급, 두랑고급, 오아하카급 | |||
호위함 | 캘리포니아급, 브라운급, 아옌데급, 레포마도르급 | |||
구축함 | 마누엘 아수에타급, 케찰코아틀급, 쿠아우테목급 | |||
상륙함 | <colbgcolor=#006847> LST | 만사니요, 파팔로아판급 | ||
※ 황색 글자: 퇴역 함선 ※ {중괄호} : 도입 예정 함선 ※ ※ *: 테스트용으로만 사용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멕시코군의 운용장비 | 해상병기 | }}}}}}}}} |
현대의 튀르키예 해군 함정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e30a17> 잠수함 | <colbgcolor=#e30a17> 재래식 | 피리레이스급R, 구르급, 프레베자급, 아틀라이급, 레이스급, {MİLDEN} | ||
고속정 | 피르티나급R, 카르탈급R, 이을드름급, 클르츠급, 이을드즈급, 뤼즈가르급, 도안급 | ||||
초계정 | 투즐라급, AB-25급 | ||||
초계함 | 아다급M, 부라크급 | ||||
원양초계함 | {히사르급}M | ||||
호위함 | 겔리볼루급R, 테페급R, 바르바로스급, 가비아급, 야부즈급, 이스탄불급M | ||||
구축함 | {TF-2000급}M | ||||
상륙함 | LST | 바이락타르급(1972)R, 오스만 가지급, 바이락타르급 | |||
LHD | 아나돌루급 | ||||
항공모함 | {튀르키예의 항공모함 계획} | ||||
군수지원함 | 아카르급, {다리야급} | ||||
소해함 | 에르데믈리급R, A급, E급, F급, S급, K급 | ||||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M: MILGEM 계획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 *: 테스트용으로만 사용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튀르키예군의 운용장비 | 해상병기 | }}} }}}}}} |
⚓️ 해상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제1차 세계대전 | 미국 | 독일 제국 | 영국 | ||||||
일본 제국 | 이탈리아 왕국 | 프랑스 | ||||||||
제2차 세계대전 | 미국 | 일본 제국 | 영국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0px-War_Ensign_of_Germany_1938-1945.svg.png 나치 독일 | ||||||
소련 | 프랑스 | 폴란드 | ||||||||
스웨덴 | 핀란드 | 중화민국 | 만주국 | |||||||
캐나다 | 호주 | 노르웨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제1세계 | ||||||
제2세계 | 소련 | 동독 | 폴란드 | |||||||
제3세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colbgcolor=#685050>북미 | 미국 | 캐나다 | 멕시코 | - | ||||
''' 중미/카리브 ''' | 쿠바 | |||||||||
남미 | 브라질 | 칠레 | 페루 | |||||||
에콰도르 | 콜롬비아 | |||||||||
서유럽 | 영국 | 프랑스 | 네덜란드 | 벨기에 | ||||||
중부유럽 | 독일 | 폴란드 | ||||||||
남유럽 | 이탈리아 | 스페인 | 포르투갈 | 그리스 | ||||||
루마니아 | 불가리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함선| 크로아티아 ]] | 튀르키예 | |||||||
북유럽 | 스웨덴 | 노르웨이 | 덴마크 | 핀란드 | ||||||
라트비아 | ||||||||||
동유럽 | 러시아 |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함선| 우크라이나 ]] | ||||||||
동아시아 | 대한민국 | 일본 | 중국 | 대만 | ||||||
북한 | ||||||||||
''' 동남아시아 ''' | 베트남 | 태국 | ||||||||
필리핀 | 싱가포르 | 브루나이 | 미얀마 | |||||||
남아시아 | 인도 | 파키스탄 | 스리랑카 | |||||||
서아시아 | 이스라엘 | 이란 |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함선| 사우디아라비아 ]]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함선| {{{#!wiki style="margin: -0px -9px"]] | ||||||
바레인 | 카타르 | |||||||||
''' 오세아니아 ''' | 호주 | |||||||||
아프리카 | 이집트 | 알제리 | 모로코 | |||||||
남아공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해상병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미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 러시아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 영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 프랑스 전함 | 항공모함 | 독일 전함 | 잠수함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