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8 18:37:14

알골급 차량화물선

파일:미합중국 해군 마크.svg 현대의 미합중국 해군 함정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27408b> 잠수함 <colbgcolor=#27408b> SS 돌핀R, 가토급M/R, 발라오급M/R, 텐치급M/R, 2대 바라쿠다급R, 탱급R, 바벨급R, 고틀란드급L
SSG 그레이백급R
SSN 노틸러스R, 시울프R, 스케이트급R, 스킵잭급R, 퍼밋급R, 스터전급R, 로스앤젤레스급, 시울프급, 버지니아급, {SSN(X)}
SSGN 오하이오급*
SSBN 조지 워싱턴급R, 이튼 앨런급R, 라파예트급R, 제임스 매디슨급R, 벤자민 프랭클린급R, 오하이오급, {컬럼비아급}
고속정(PC) 애쉬빌급R, 페가수스급R, 사이클론급R
호위함(FF) 루더로우급M/R, 존 C. 버틀러급M/R, 딜리급R, 클라우드 존스급R, 브론스타인급R, 가르시아급R, 브룩급R, 녹스급R, 올리버 해저드 페리급R, 프리덤급, 인디펜던스급, {컨스텔레이션급}
구축함 구축함(DD) 플레처급M/R, 알렌 M. 섬너급 FRAM-IIM/R, 기어링급 FRAM-I/IIM/R, 노퍽급R, 미쳐급R, 포레스트 셔먼급R, 스프루언스급R
방공구축함(DDG) 패러것급R, 찰스 F. 애덤스급R, 키드급R, 알레이 버크급, 줌왈트급, {DDG(X)}
순양함 순양함(CL, CA) 클리블랜드급R, 볼티모어급R, 파고급R, 오리건시티급R, 우스터급R, 디모인급R
방공순양함(CG) 보스턴급M/R, 갤버스턴급R, 프로비던스급R, 알바니급R, 리히급R, 벨크냅급R , 타이콘데로가급, CG(X)
핵추진 방공순양함(CGN) 롱비치급R, 베인브리지급M/R, 트럭스턴급M/R, 캘리포니아급R, 버지니아급R, 타격 순양함
전함
(BB)
테네시급R, 콜로라도급R, 노스캐롤라이나급R, 사우스다코타급R, 아이오와급M/R, 몬태나급
상륙정 LCU 1610, LCM, LCVP, LCAC
상륙함 LHA 타라와급R, 아메리카급
LPH 이오지마급R
LHD 와스프급
LPD 롤리급R, 오스틴/클리블랜드/트랜톤급R, 샌안토니오급
LSD 캐사 그랜드급R, 토마스턴급R, 앵커리지급R, 하퍼스 페리급, 위드비 아일랜드급
LST 뉴포트급R
LSV 제너럴 프랭크 S. 베송급 A
EPF 스피어헤드급
소해함 오스프리급R, 어빌리티급R, 어벤저급
군수지원함 미 해군의 퇴역 군수지원함급 목록R, 새크라멘토급R, 알골급R, 네오쇼급R, 시마론급R, 마르스급R, 헨리 J. 카이저급, 서플라이급, 루이스 & 클라크급, 존 루이스급, 왓슨급, 머시급, 세이프가드급, 나바호급
지휘함 사이판급M/R, 블루 릿지급
원정이동기지선
(ESB)
루이스 B. 풀러급
항공모함 재래식(CV) 에식스급M/R, 타이콘데로가급M/R, 미드웨이급M/R, 유나이티드 스테이츠급, 포레스탈급R, 키티호크급R
핵추진(CVN) 엔터프라이즈급R, 니미츠급, 제럴드 R. 포드급
잠수함모함
(AS)
풀턴급R, 에모리 S. 랜드급
구축함모함
(AD)
딕시급R, 사무엘 곰퍼스급R, 옐로우스톤급R
무인함 USV 시 헌터, {LUSV}
UUV 오르카 XLUUV, {후긴 AUV}
대형호위함(범선) 컨스티튜션*
※ 윗첨자R: 퇴역 함정
※ 윗첨자M: 개조/개장 함정
※ 윗첨자L: 리스한 함정
※ 윗첨자 A: 육군운용 함정
취소선: 취소된 함정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정
*: 오하이오급은 SSGN, SSBN형 둘 다 존재한다.
*: 컨스티튜션은 문화재로 현역으로서, 당시 기준 함급은 44문 대형 호위함이다.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1. 고속 컨테이너선2. 미국의 전략 수송선으로3. 대중매체4. 함 리스트

파일:USNS_Regulus.jpg
파일:US_Naval_Ship_Pollux_(T-AKR-290)_anchored_in_the_harbor_off_the_Port_of_Pusan,_Republic_of_Korea_-_19_Oct._1998.jpg
한때 미합중국 해군이 운용했으며, 지금도 예비역으로 보관 중인 고속 차량화물선.

1. 고속 컨테이너선

본래는 글로벌 해운회상 A. P. Møller - Mærsk A/S의 북미지역 자회사인 SeaLand에서 상업 목적으로 만든 고속 컨테이너 선이다.

건조를 위한 이론적 구상은, 분야는 다르긴 하지만 아에로스파시알-BAC 콩코드와 동일하여 여객/운송업에 고속으로 뛰어들어 더 빨리 목적지까지 여객/화물을 전달하는 것이다. 기존의 컨테이너선들은 빨라야 17노트, 보통 13-15노트로 항해하는 것이 보통이었는데 SeaLand에서는 당시 기술력과 돈을 때려 박아서 30노트 이상(!!!)의 충격적인 속도의 컨테이너선을 계획한 것이다.

물론 건조비는 당연하고 운용비도 많이 들 것이 명백했으나, 그 문제는 역시 배의 덩치를 키워 화물운송량을 늘리는 것으로 해결했다. 돈이 많이 들어가는 만큼, 한번에 많은 화물을 운송하면 들어가는 비용을 충분히 뽑을 수 있기 때문.

1960년대 중후반 이후 SeaLand는 이러한 구상을 본격화하고 또 현실화하였다. 제너럴 일렉트릭 사의 MST-19 12만 마력 엔진 2개를 탑재한 33노트짜리 55,000톤급 고속 컨테이너선이 만들어진 것이다.

1972년에서 73년에 걸쳐 총 8척의 동형함들이 건조되었다. 함넘버 287, 289, 293은 네덜란드 로테르담에서, 함넘버 289, 291은 당시 서독의 엠덴에서, 함넘버 290, 292, 294는 역시 서독의 브레멘에서 건조되었다. 동시기에 총 3개 조선소에서 나뉘어 건조했기에 단기간에 8척을 뽑아낸 것.

문제는 배를 만들고 나니 경제환경이 바뀌었다는 것이다.

1973년 제1차 오일쇼크로 배럴당 2.9달러던 원유가격이 11달러까지 치솟았다. 즉, 고속 컨테이너선에 필연적인 막대한 연료소모량을 저유가에 기반한 저렴한 연료값으로 충분히 만회하던 배들이 졸지에 막대한 연료값으로 인한 골치덩어리로 전락해버린 것이다. 그것도 배들이 취역하자마자.(…)

안 그래도 골치덩어리인데, 70년대가 끝날 무렵에 오일쇼크가 또 터졌다.(…) 1980년이 되면 유가는 천정부지로 치솟아서 39달러까지 올라버렸고, SeaLand로서는 도저히 기름 먹는 하마인 고속 컨테이너선들을 굴릴 수 없게 된 것이다. 그렇다고 항구에 정박만 시키자니 기본적인 유지비가 깨지기 마련이었다. 역시 콩코드와 마찬가지의 문제였다.

2. 미국의 전략 수송선으로

그리고 이를 매의 눈으로 지켜보던 곳이 있었다. 미군이었다.

미국은 근본적으로 유럽, 아시아 등 구대륙과 대양을 사이에 두고 있는 신대륙 국가였다. 해외파병군이 있다고는 하지만 기본적으로 병력과 장비는 모두 본국에 있었고,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이래 미국이 가지는 전략적 이점이자 동시에 딜레마였다.

이점이야 당연히 구대륙 세력의 미국 본토 침공이 매우 어렵다는 것이고, 딜레마는 본토의 충분한 병력과 막대한 산업력으로 뽑아내는 군사장비 및 군수물자들을 바로 구대륙으로 투입할 수 없다는 것이었다. 냉전 내내 미국과 NATO는 거대한 바르샤바 조약기구군의 공세에 맞서 서독에서 지연전을 펼치며 프랑스, 영국, 나아가 미국의 증원군으로 방어전을 완수하고 반격에 나선다는 구상을 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 고속화물선들은 이 구상에 아주 적합한 물건이었다. 막대한 연료유지비는, 보급체계 단일화한다고 지상군 장비 유류까지 비싼 항공유로 통일하는 더러운 천조국(…) 앞에서 아무런 문제도 아니었다.[1] 설사 돈이 억수로 깨지더라도, 거대한 소련군에 맞서 미국에서 유럽으로 투입하는 병력의 배치 시간이 절반 가까이 줄어들 수 있다면 그정도 돈은 쓰는 것이 당연했다.

미국은 바로 SeaLand와 접촉했고, 처치곤란의 기름 먹는 하마에 골치썩이던 SeaLand는 즉시 미국의 제안을 수락하여 동형함 8척을 전량 미 해군에 매각한다.

매각된 배들은 캘리포니아샌디에이고에서 군수용으로 개조작업을 거쳐 1981년 가을부터 전력화되었다. 함넘버가 제일 빨랐던, 함넘버 287 SS-SeaLand Exchange가 알골(Algol)이라는 함명을 부여받으면서 이 함급은 알골급 차량화물선으로 명명된다. 또 다른 명칭으로는 FSS(Fast Sealift Ship)라고 한다.

1984년 유럽에서 진행된 NATO 연례 통합훈련 Exercise Reforger 1984 - Certain Fury에 참여한 것을 시작으로 알골급은 그 위용을 제대로 뽐내기 시작했다.

그중 화룡점정은 누가 뭐라해도 걸프 전쟁. 대중들은 F-117A 나이트호크 스텔스 공격기, 토마호크 순항미사일, 아파치 공격헬기 등 각종 신병기에 주목했지만 걸프 전쟁에서 진정 큰 도움이 된 것은 알골급이었다. 쿠웨이트 함락 직후, 미군은 이라크가 언제 사우디 아라비아를 침공할 지 모르는 위기상황에서 중동 현지 병력만으로 이에 대처해야 했다. 이에 8척의 알골급들을 총동원하여 미국은 순식간에 70톤짜리 쇳덩이인 M1A1 전차를 포함한 주력 기갑사단, 기계화보병사단 몇 개를 사우디에 신속전개시킬 수가 있었다.

냉전이 끝나면서 알골급의 존재 이유였던 유럽에서의 전면전쟁 가능성도 거의 사라지고, 미국도 국방예산을 조금씩 줄였지만 알골급들은 현역을 유지했다. 2001년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2003년 이라크 전쟁때도 미군 병력과 장비를 현지로 배치하는 1등공신이었다. 그러나 이라크 전쟁에 따른 전비 부담으로 국방예산 부담이 생기고, 배 자체도 노후화되면서 2007년 10월 1일, 미 해군에서 미 국방부 Ready Reserve로 이관되었다. 그러나 제1급 전략자산으로서 유사시 언제든지 복귀할 수 있게끔 관리되어, 현재도 동원명령이 떨어지면 96시간(4일) 이내에 복귀 가능하다.

3. 대중매체

전투를 치르는 함선이 아닌 수송함이다보니 대중매체에서 다뤄진 적은 거의 없다.
  • 데프콘
    3부 한미전쟁 편에서 살짝 등장. 평택항으로 보급을 위해 항해하던 중 항모 링컨과 최윤덕함이 동귀어진하자 다른 잠수함의 공격을 염려해 최고속도로 도주하나 이억기함이 쏟아낸 어뢰에 전원 폭침한다. 원래는 8척 모두가 함께 이동하고 있었으나 리걸러스(Regulus)는 과부하로 인해 부산항 인근에서 기관이 고장나서 단독으로 부산항으로 입항했기에 유일하게 생존했다. 그리고 미군은 심각한 탄약난에 시달리게 된다.[2] 이후 155mm 포탄은 여분이 있다고 하는 3군단장 캐일러 중장의 이야기와 이미 침몰한 상태에서 계속 유폭이 일어난 장면을 봤을 때 탄약수송선으로 추정된다.

4. 함 리스트

Sea-Land 시절 현재
SS Sea-Land Exchange SS Algol
SS Sea-Land Trade SS Bellatrix
SS Sea-Land Resource SS Denebola
SS Sea-Land Market SS Pollux
SS Sea-Land Finance SS Altair
SS Sea-Land Commerce SS Regulus
SS Sea-Land McLean SS Capella
SS Sea-Land Galloway SS Antares
SeaLand가 만들어 운용하던 시절의 함명들은 기초적인 경제단어에서 따왔고, 미군이 운용할 때에는 하늘의 별에서 함명을 따왔다. 참고로 예비역으로 돌려지기 전에는 함명 앞에 SS가 아닌 USNS가 붙었다.


[1] 다만, 미군이 유류를 항공유인 JP-8로 통일한 것은 알골급 도입 이후인 1990년대의 일이다.[2] 부연설명을 하자면, 당시 미군이 게릴라 습격과 탄약고 폭파공작 등으로 인해 최전선 탄약보급에 차질을 빚자 아예 평택항을 점령하고 수송선단을 끌고 가서 탄약을 하역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이억기함이 탄약 수송선들을 괴멸시키면서 다음 탄약(평택항 입항 선단 이후)까지 최소 5일이라는 공백기가 발생했는데 주력인 3군단이 가지고 있던 탄약이 잘 써야 3일분. 이후 미군은 하루 동안 벌어진 대혈전 끝에 2일분을 써버리며 전선이 붕괴되고 3군단이 몰살당하기 직전까지 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