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해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navy> 동아시아 | |
동남아시아 | ||
남아시아 | ||
서아시아 | ||
중앙아시아 | ||
유럽 | ||
아메리카 | ||
북아프리카 | ||
동아프리카 | ||
서아프리카 | ||
남아프리카 | ||
오세아니아 | ||
※ 독립된 문서가 있는 현존하는 국가의 해군만 링크. 그 외 각국 해군은 틀:세계의 군대 참고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fff><colbgcolor=#c8102e> 상징 | 국가 · 국기 · 국장 · 키위 새 · 키위 과일 |
역사 | 역사 전반(와이탕이 조약) | |
정치 | 정치 전반 · 뉴질랜드 국왕 · 뉴질랜드 총독 · 뉴질랜드 총리 · 뉴질랜드 의회 | |
외교 | 외교 전반 · 뉴질랜드 여권 · CANZUK · APEC · 파이브 아이즈 · IPEF · 태평양 공동체 · 영연방 왕국 · JUSCANZ | |
경제 | 경제 전반 · 뉴질랜드 달러 | |
사회 | 교육(유학 · 대학 틀 · 기타 교육 및 유학 관련 문서) | |
교통 | 교통 전반 · 항공(오클랜드 국제공항 · 크라이스트처치 국제공항 · 웰링턴 국제공항 · 퀸스타운 국제공항 · 더니든 공항 · 에어 뉴질랜드) · 철도(브리토마트 역) · 오클랜드 교통공사(뉴마켓 역 · 서던 라인 · 오네항가 라인 · 웨스턴 라인 · 이스턴 라인 · 파넬 역 · 노던 버스웨이) | |
국방 | 뉴질랜드군 · 뉴질랜드 해군 · 뉴질랜드 공군 | |
치안·사법 | 뉴질랜드 경찰 · 뉴질랜드 관세청 · GCSB | |
문화 | 문화 전반 · 영화 · 요리 · 파블로바 · 뉴질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 뉴질랜드 크리켓 국가대표팀 · 영어(뉴질랜드 영어) · 마오리어 · 마오리 하카 · 키리 테 카나와 · 피터 잭슨(웨타 디지털 · 반지의 제왕) · Pokarekare ana | |
관광 | 관광 · 비자 | |
지리 | 오스트랄라시아 · 남섬 · 북섬 · 채텀 제도 · 서던 알프스 산맥(밀포드 사운드) · 아오랑기 쿡 산 · 테와히포우나무 | |
민족 | 뉴질랜드인 · 마오리족 · 뉴질랜드계 미국인 · 유럽계 뉴질랜드인(영국계 뉴질랜드인 · 폴란드계 뉴질랜드인) · 인도계 뉴질랜드인 | |
기타 | 뉴질랜드 시민권 | }}}}}}}}} |
<colcolor=#c8102e><colbgcolor=#fff> 뉴질랜드 왕립 해군 Royal New Zealand Navy Te Taua Moana o Aotearoa | ||
| | |
깃발 | 로고 | |
창설일 | 1941년 10월 1일 | |
소속 | 뉴질랜드군 | |
병력 | 2,800명 | |
위치 | 뉴질랜드 데본포드 해군기지 | |
해군총장 | 데이비드 프록토르 후방제독 | |
링크 |
[clearfix]
1. 개요
뉴질랜드 해군은 오세아니아에서 호주 다음 가는 전력을 보유한 해상무력 집단이다. 주력 수상함은 3600톤의 안작급 2척이며 나머지는 경무장의 초계함과 수송함으로 이루어져 있다. 배수량이 1,600 ~ 1,900톤에 달하는 2척의 프로텍터급 OPV형이 존재하지만 이것도 25mm 함포와 기관포 등을 장비한 원양초계함이고 프로텍터급 IPV형이 4척 존재하지만 300톤급 경비정에 불과한 함정이다. 이것은 속도도 25노트 수준이기 때문에 고속정으로 분류하기도 애매하다. 안작급을 보유하기는 하였지만 전체적인 규모면에서 동남아시아의 6개 대표 국가들[1]에게 상대가 안 된다. 당연히 잠수함도 보유하지 않고 있다.뉴질랜드 해군이 보유한 선박 중 가장 큰 것은 길이 173.2m, 폭 24.5m, 배수량 26,000t인 군수지원함 HMNZS Aotearoa이다. 이 선박은 대한민국의 조선사인 현대중공업에서 건조됐다.
배가 몇 척 없다보니 각 함선의 함장인 영관급 장교를 홈페이지에서 소개했으나 지금은 보안상의 이유인지 공개하지 않는다.
2. 해군 총 전력
2.1. 수상함
2.1.1. 호위함
2.1.1.1. 호위함: 3천 톤 이상 ~ 4천 톤 미만
HMNZS Te Mana (F111) leaving Dunedin harbour (New Zealand) |
이름 | 종류 | 만재 배수량 | 보유 수량 | 추가 |
앤잭급 | 호위함 | 3,600톤 | 2척 |
2.1.2. 초계함
2.1.2.1. 원양초계함: 1천 5백 톤 이상 ~ 2천 톤 미만
이름 | 종류 | 배수량 | 보유 수량 | 추가 |
프로텍터급 OPV형[2] | OPV | 1,600 ~ 1,900톤 | 2척 |
2.1.2.2. 초계함: 3백 톤 이상 ~ 4백 톤 미만
이름 | 종류 | 배수량 | 보유 수량 | 추가 |
프로텍터급 IPV형[3] | IPV | 340톤 | 2척 |
2.1.3. 수송함
2.1.3.1. 다목적함: 9천 톤 이상 ~ 1만 톤 미만
이름 | 종류 | 만재 배수량 | 보유 수량 | 추가 |
캔터베리급[4] | 다목적함(MRV) | 9,000톤 | 1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