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30 18:23:39

몬테네그로 해군

세계의 해군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navy> 동아시아 파일:대한민국 해군기.svg 대한민국 | 파일:조선인민군해군기New.png 북한 |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해군기.svg 중국 | 파일:대만 해군 깃발.png 대만 | 파일:해상자위대기.svg 일본(준군사조직)
동남아시아 파일:인도네시아 해군기.png 인도네시아 | 파일:태국 해군기.svg 태국 | 파일:베트남 인민해군기.svg 베트남 | 파일:1280px-Naval_Ensign_of_Malaysia.png 말레이시아 | 파일:필리핀 해군기.svg 필리핀 | 파일:싱가포르 해군기.svg 싱가포르
남아시아 파일:인도 해군기(신형).svg 인도 | 파일:파키스탄 해군기.png 파키스탄 | 파일:방글라데시 해군기.svg 방글라데시 | 파일:Naval_Ensign_of_Sri_Lanka.png 스리랑카
서아시아 파일:이스라엘 해군기.svg 이스라엘 | 파일:800px-Naval_base_flag_of_the_Royal_Saudi_Navy.svg.png사우디아라비아 | 파일:이란 해군기.svg 이란 |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중앙아시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해군기.svg 투르크메니스탄
유럽 파일:프랑스 해군기.svg 프랑스 | 파일:영국 해군기.svg 영국 | 파일:이탈리아 해군기.svg 이탈리아 |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 파일:그리스해군기.png 그리스 | 파일:독일 해군기.svg 독일 | 파일:네덜란드 선수기.svg 네덜란드 | 파일:노르웨이 정부기.svg 노르웨이 | 파일:덴마크 해군기.svg 덴마크 | 파일:스웨덴 해군기.svg 스웨덴 | 파일:핀란드군기.svg 핀란드 | 파일:러시아 해군기.svg 러시아 | 파일:우크라이나 해군기.svg 우크라이나 | 파일:1024px-Naval_Jack_of_Portugal.svg.png 포르투갈 | 파일:폴란드 해군기.svg 폴란드 | 파일:루마니아 해군기.svg 루마니아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 파일:리투아니아 함미기.svg 리투아니아 | 파일:라트비아 해군기.svg 라트비아 | 파일:벨기에 해상구성군기.svg 벨기에 | 슬로베니아 | 파일:몬테네그로 해군기.png 몬테네그로
아메리카 파일:미국 해군기.png 미국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Naval_Jack_of_Canada.svg.png 캐나다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80px-Naval_Jack_of_Mexico.svg.png 멕시코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Jack_of_Brazil.svg.png 브라질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00px-Naval_Jack_of_Argentina.svg.png 아르헨티나 | 파일:페루 국기.svg페루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00px-Naval_Ensign_of_Bolivia.svg.png 볼리비아 | 파일:칠레해군기.png 칠레
북아프리카 파일:이집트 해군기.svg 이집트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Ensign_of_Algeria.svg.png 알제리 | 파일:모로코 해군기.svg 모로코
동아프리카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서아프리카 파일:나이지리아 해군기.svg 나이지리아
남아프리카 파일:Naval_Ensign_of_South_Africa.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 파일:faa3.png 앙골라
오세아니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00px-Naval_Ensign_of_Australia.svg.png 호주 | 파일:뉴질랜드 해군기.svg 뉴질랜드
※ 독립된 문서가 있는 현존하는 국가의 해군만 링크. 그 외 각국 해군은 틀:세계의 군대 참고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d3ae3b 5%,transparent 5%,transparent 95%,#d3ae3b 95%), linear-gradient(to right, #d3ae3b 1%,transparent 1%,transparent 99%,#d3ae3b 99%), linear-gradient(to right, #c40308 50%, #c40308 5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ff 50%,#5eb6e4 50%)"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d3ae3b><colbgcolor=#1D5E91> 상징 국가 · 국호 · 쌍두독수리
역사 역사 전반 · 두클랴 · 몬테네그로 주교후국 · 몬테네그로 공국 · 몬테네그로 왕국 · 유고슬라비아 왕국 ·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몬테네그로 사회주의 공화국) · 유고슬라비아 연방공화국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몬테네그로 공화국)
정치 의회 · 몬테네그로 대통령 · 몬테네그로 총리
외교 외교 전반
경제 경제 전반 · 유로(비협약)
문화 몬테네그로 농구 국가대표팀 · 몬테네그로 축구 국가대표팀 · 몬테네그로어 · 세르비아 정교회
도시 체티네 · 포드고리차 · 코토르 · 울친
민족 몬테네그로인
}}}}}}}}} ||
몬테네그로 해군
Mornarica Vojske Crne Gore
Montenegrin Navy
파일:몬테네그로 해군기.png
몬테네그로 해군기
파일:몬테네그로 해군 엠블럼.png
몬테네그로 해군 엠블럼
čojstvo i junaštvo
용기와 영웅심
몬테네그로군의 모토
창설년도 2006년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몬테네그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몬테네그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명령체계 몬테네그로 국방부
주임무 해상전, 영해방위
소속 몬테네그로군
군종 해군
전력 400명 / 13척
색상 노란색, 파랑색
전신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세르비아 몬테네그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세르비아 몬테네그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참전 평화유지작전
애틀랜타 작전
지휘
해군참모총장 대위 고란 두르코비치

1. 개요2. 역사3. 편제4. 계급5. 보유선박6. 여담7. 관련 문서8. 외부 링크

1. 개요

몬테네그로의 해군으로 몬테네그로군의 육군과 공군과 함께 몬테네그로의 방위를 담당하고 있으며,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에서 분리 독립 당시의 해군을 그대로 계승받았다.

2.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몬테네그로군/역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몬테네그로군/역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몬테네그로군/역사#|]][[몬테네그로군/역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편제

  • 해군참모총장 : 대위
    • 본부반
    • 보급중대
    • 순찰선 P105 콘차르급
    • 순찰선 P104 콘차르급
    • 훈련함 자드란
    • 해안감시중대
    • 구조소대
    • 구조파견대
    • 해병파견대
    • 지원중대
  • 주둔지
    • 바르 해군기지(HQ)
    • 페로 체트코비치 군사기지
    • 헤르체그노비 군사기지

4. 계급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몬테네그로군/계급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몬테네그로군/계급#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몬테네그로군/계급#|]][[몬테네그로군/계급#|]]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보유선박

파일:몬테네그로 국장.svg
몬테네그로 해군의 호위함
<rowcolor=#D4AF3A> 이름 종류 제조국 운용 비축 추가 비고
코토르급 호위함 유고슬라비아 - 2척 -
몬테네그로 해군의 고속정
<rowcolor=#D4AF3A> 이름 종류 제조국 운용 비축 추가 비고
콘차르급 미사일 고속정 유고슬라비아 2척 - -
몬테네그로 해군의 지원함
<rowcolor=#D4AF3A> 이름 종류 제조국 운용 비축 추가 비고
PO급 수송함 유고슬라비아 - 1척 -
자드란급 훈련함 독일 1척 - -

6. 여담

  • 몬테네그로 해군은 총참모장을 1명 배출했고, 해군참모총장은 대위가 최선임 계급이며, 총참모장이 되면 대장 계급으로 진급했으나 현재 시점으로는 연속 육군 출신 이어서 알 수 없다.

7. 관련 문서

8.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