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해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navy> 동아시아 | |
동남아시아 | ||
남아시아 | ||
서아시아 | ||
중앙아시아 | ||
유럽 | ||
아메리카 | ||
북아프리카 | ||
동아프리카 | ||
서아프리카 | ||
남아프리카 | ||
오세아니아 | ||
※ 독립된 문서가 있는 현존하는 국가의 해군만 링크. 그 외 각국 해군은 틀:세계의 군대 참고 | }}}}}}}}} |
나이지리아 해군 Nigerian Navy | |
| |
창설년도 | 1958년 |
국가 | |
소속 | |
군종 | 해군 |
전신 | 서아프리카군 |
[clearfix]
1. 개요
나이지리아의 해군.2. 역사
1958년에 창설되었다.80~90년대 가장 많이 팔린 군함인 독일 Blohm + Voss사의 MEKO 시리즈를 아라두급이라는 이름으로 1982년에 처음 발주한 국가였다. 아라두급은 당시 아프리카 최고 성능의 군함이었다. 군장비는 강력하게 갖춘 편이지만 오랜 내전 여파와 자원 판매 등 여러 사정으로 결국 장비 노화와 같이 훈련 부족을 언급한 바 있으며 아라두급 역시 2번의 좌초와 1번의 충돌사고를 일으켜 대부분의 무장이 현재는 사용불능 상태에 있고 당연히 이집트나 모로코, 알제리나 남아공 해군에 비해 훈련에서부터 장비 면까지 열세라고 한다.[1]
2014년 들어 중국에서 056형 초계함을 2척 도입하였다.
3. 전력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008751><colcolor=#fff> 초계정 | 샬다그 Mk.2급, 만타급, 디펜더급, 세드릭급, {투즐라급} | ||
원양초계함 | 썬더급, 센테너리급, 키안와급 | |||
호위함 | 오부마R, 아라두급 | |||
상륙함 | <colbgcolor=#008751><colcolor=#fff> LST | 암베급R, 카다급, {LST 100} | ||
소해함 | 나이지리아R, 오후에급 | |||
예비함 | 루완 야로R, 아마리야급, 아겅구급, 마쿠르디급, 프로스페리티급, 오크포쿠급, 라나급 | |||
※ 윗첨자R : 퇴역 함선 ※ {중괄호} : 도입 예정 함선 ※ *: 테스트용으로만 사용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나이지리아 해군의 호위함 | |||||||
<rowcolor=#fff> 이름 | 종류 | 배수량 | 운용 | 비축 | 추가 | 비고 | |
호위함 | 아라두급 | 3,360톤 | 1척 | - | - | ||
나이지리아 해군의 초계함 | |||||||
<rowcolor=#fff> 이름 | 종류 | 배수량 | 운용 | 비축 | 추가 | 비고 | |
초계함 | 센테너리급 | 1,440톤 | 2척 | - | - | ||
OPV | 썬더급 | 3,250톤 | 2척 | - | - |
[1] 다만 애초에 이집트의 군사력이 아프리카에서는 넘사벽이다. 특히 이집트군은 세계 군사력 순위에서 무려 11위를 차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