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fff><colbgcolor=#c09300> 상징 | <colcolor=#000,#fff>국가 · 국기 · 국장 · 수련 · 초원수리 |
역사 | 역사 전반 · 고대 이집트 ·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 파티마 왕조 · 맘루크 왕조 · 이집트 왕국 · 2011 이집트 혁명 | |
정치·치안·사법 | 정치 전반 | |
외교 | 외교 전반 · 이집트 아랍 공화국 여권 · 아랍 연맹 · 이슬람 협력기구 · 아프리카 연합 · BRICS | |
경제 | 경제 전반 · 이집트 파운드 · 넥스트 일레븐 | |
국방 | 이집트군 · 육군 · 해군 · 공군 · 방공군 | |
문화 | 문화 전반 · 요리(바스부사 · 몰로키야(음식) · 하맘 마슈위)· 이집트 음악 · 이집트 미술 · 이집토마니아 · 이집트 축구 국가대표팀 · 카이로 박물관 · 이집트 대박물관 | |
인물 | 네페르티티 · 아케나톤 · 투탕카멘 · 람세스 2세 · 클레오파트라 7세 · 히파티아 · 바이바르스 · 메흐메트 알리 · 가말 압델 나세르 · 안와르 사다트 · 호스니 무바라크 · 무함마드 무르시 · 압델 파타 엘 시시 · 하산 알 반나 · 사이드 쿠틉 · 모하메드 살라 | |
지리 | 나일강 · 시나이반도 · 사하라 사막 · 홍해 | |
민족 | 이집트인(방글라데시계 · 아르메니아계) | |
종교 | 이집트 신화 · 콥트 정교회 · 수니파 · 살라피즘 | |
언어 | 고전 이집트어 · 콥트어 · 이집트 아랍어 | |
문자 | 이집트 상형문자 · 콥트 문자 · 아랍 문자 | |
관광 | 이집트/관광 · 철도 환경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 | 이집트군 القوات المسلحة المصرية | }}} | |||
이집트 육군 | 이집트 해군 | 이집트 공군 | 이집트 방공군 |
이집트 해군 القوات البحرية المصرية Egyptian Navy | |
| |
이집트 해군기 | |
모토 | |
명예, 지식, 희생(الشرف، العلم، الفداء) | |
창설년도 | 1922년 |
국가 | |
주임무 | 이집트 영해 수호(지중해, 홍해) |
소속 | 이집트군 |
명령체계 | 이집트 국방부 |
이집트 해군본부 | |
하부조직 | 해양경비대, 해군항공대 |
군종 | 해군 |
전력 | 18,000명 / 함선 319여척 / 비행기 21기 |
본부 | 이집트 알렉산드리아 |
색상 | 빨간색, 검은색, 흰색, 파란색 |
참전 | 중동전쟁 ┗제1차 중동전쟁 ┗제2차 중동전쟁 ┗제3차 중동전쟁 ┗제4차 중동전쟁 |
지휘 | |
해군사령관 | 아흐마드 칼레드 하산(أحمد خالد حسن) 중장 |
해군참모장 | 애슈라프 메가헤드(أشرف عطوة) 소장 |
외부링크 | |
- |
1. 개요
이집트의 해군.2. 상세
이집트 해군은 중동 및 아프리카에서 가장 강한 해상 전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지중해에서는 지중해에 주둔한 미 해군과 이탈리아 해군에 뒤이은 수준으로 튀르키예 해군과 맞먹는 정도이다.
이집트는 이집트 문명의 발생지로써 역사처럼 해군의 역사도 엄청나게 길다. 하지만 현재의 이집트 해군의 전신을 그 어마어마한 피라미드를 건립하던 시기까지로 볼 수는 없으며, 대영제국 치하의 이집트로 볼 수 있다. 물론, 명목상으론 이집트 문명 시기부터 그 기원으로 본다.
이집트 해군은 고속정과 호위함이 많으며, 호위함이 주 전력이다. 이렇게 말하면 구축함 1척 없는 영세 해군처럼 보이지만, 그 호위함이라는 게 6,000톤급 대형함들로, 사실상 구축함과 순양함급 함정도 프리깃이란 분류로 통합해 쓰고 앞의 두 용어는 안 쓰는 추세인 유럽 해군의 분류를 따른 것이지 결코 무슨 울산급 같은 소형함만 잔득 가진 게 아니다.
아랍 지역 해군들 중 가장 강력한 전력을 가지고 있고, 수십년간 대립했고 현재도 견제중인 이스라엘 해군을 압도하는 수준이다. 이스라엘군은 이집트 해군을 대수상전에서 격퇴하는 것은 사실상 포기했고, 잠수함과 특수부대, 이스라엘 공군의 공대함 전력에 의존하고 있다.
3. 전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color=#c09300><colbgcolor=#000> 잠수함 | 849급, S41급 | ||
고속정 | 601급, 609급, 633급, 라마단급, 아메드 파델급, 에자트급, 옥토버급, 사이클론급 | |||
초계함 | 샤밥 미스르, 알 놀급, 엘 수에즈급, 엘 파테급 | |||
호위함 | 자피르급, 도미야트급, 샤름 엘세이크급, 타히야 미스르급, 알 갈라라급, 알 아지즈급 | |||
구축함 | 모하마드 알리 엘 케비르급 | |||
상륙함 | <colbgcolor=#000> LPH | 기말 압델 나세르급 | ||
소해함 | 가르비아급, 기자급, 알 파루크급 | |||
군수지원함 | 샬라틴급, 할라이브급, 아부 심벨급 | |||
훈련함 | 타릭급 | |||
※ 갈색 글자: 퇴역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 *: 테스트용으로만 사용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이집트 해군의 상륙함 | ||||||
이름 | 종류 | 제조국 | 운용 | 비축 | 추가 | 비고 |
가말 압델 나세르급 | LHD | 프랑스 | 2척 | - | - | |
이집트 해군의 호위함 | ||||||
이름 | 종류 | 제조국 | 운용 | 비축 | 추가 | 비고 |
알 갈라라급 | 방공호위함 | 이탈리아 | 2척 | - | - | |
타히야 미스르급 | 방공호위함 | 프랑스 | 1척 | - | - | |
알 아지즈급 | 호위함 | 독일 / 이집트 | 3척 | - | 1척 | 2척 추가 도입 옵션 존재 |
샤름 엘세이크급 | 호위함 | 미국 | 4척 | - | - | |
도미야트급 | 호위함 | 미국 | 2척 | - | - | |
이집트 해군의 초계함 | ||||||
이름 | 종류 | 제조국 | 운용 | 비축 | 추가 | 비고 |
엘 파테급 | 초계함 | 프랑스 / 이집트 | 4척 | - | - | |
엘 수에즈급 | 초계함 | 스페인 | 2척 | - | - | |
샤밥 미스르급 | 초계함 | 대한민국 | 1척 | - | - | |
이집트 해군의 고속정 | ||||||
이름 | 종류 | 제조국 | 운용 | 비축 | 추가 | 비고 |
에자트급 | 미사일 고속정 | 미국 | 4척 | - | - | |
아메드 파델급 | 미사일 고속정 | 러시아 | 5척 | - | - | |
옥토버급 | 미사일 고속정 | 이집트 | 6척 | - | - | |
라마단급 | 미사일 고속정 | 영국 | 6척 | - | - | |
633급 | 미사일 고속정 | 소련 | 9척 | - | - | |
609급 | 미사일 고속정 | 중국 | 6척 | - | - | |
601급 | 미사일 고속정 | 독일 | 5척 | - | - | |
사이클론급 | 고속정 | 미국 | 3척 | - | - | |
이집트 해군의 잠수함 | ||||||
이름 | 종류 | 제조국 | 운용 | 비축 | 추가 | 비고 |
S41급 | SSK | 독일 | 4척 | - | - | 2척 추가 도입 옵션 존재 |
849급 | SSK | 중국 | 4척 | - | - |
4. 기타
2010년, 이집트 해군은 터키군과 합동훈련을 하였다. #2018년 8월 이집트 해군은 홍해에서 영국, 프랑스 해군과 함께 합동훈련을 했다. #
2019년 2월에 이집트 해군은 지중해에서 프랑스 해군과 합동훈련을 했다.#
2020년 1월 4일 이집트 해군은 지중해에서 대규모 상륙작전 훈련을 했다.#
5. 관련 문서
6. 둘러보기
세계의 해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navy> 동아시아 | |
동남아시아 | ||
남아시아 | ||
서아시아 | ||
중앙아시아 | ||
유럽 | ||
북아메리카 | ||
남아메리카 | ||
북아프리카 | ||
동아프리카 | ||
서아프리카 | ||
남아프리카 | ||
오세아니아 | ||
※ 독립된 문서가 있는 현존하는 국가의 해군만 링크. 그 외 각국 해군은 틀:세계의 군대 참고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