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25 07:46:40

해군력/유럽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해군력
지역별 해군력
해군력/유럽 해군력/중동 해군력/환태평양(중남미 제외)
해군력/북유럽 해군력/남아시아 해군력/동아시아 해군력/동남아시아 해군력/중남미

1. 개요2. 유럽의 국가별 대표 수상 전투함3. 수상함대
3.1. 항공모함3.2. 함대방공 순양함/구축함/호위함3.3. 일반 순양함/구축함/호위함3.4. 군수지원함
4. 잠수함
4.1. 핵추진 잠수함4.2. 재래식 잠수함4.3. 기타 대잠 전력
5. 상륙함 및 소해함6. 관련 항목7. 참고 자료

1. 개요

New Modern Russian Navy(러시아 해군) 2013 Marine Nationale(프랑스 해군), vidéo non officielle - French Navy, unofficial clip
Royal Navy(영국 해군) 2013

유럽 전체에서 가장 강한 해군력을 보유한 국가는 영국이다. 은 전세계바다를 지배했던 제국주의시절 대영제국 영국 해군에 비하면 처참할 정도로 전력이 약화된 상태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단일 국가 수준에서 영국 해군은 단연 유럽 최강 수준에 있다. 영국을 제외하면 프랑스네덜란드가 유럽에서 가장 강한 해상전력을 보유하고 있다.

영국은 70,000톤 급 항모 두 척 체제 완성을 목전에 두고 있으며, 프랑스 역시 차기 핵잠수함과 호위함 계획을 진행 중이라 러시아와 다른 유럽 해군의 간극은 더욱 좁혀질 예정이다. 영국과 프랑스를 제외하면 남유럽의 스페인과 이탈리아가 중소형 항모를 운용하고 있다. 스페인은 5,000톤급 이지스함을 5척 운용하고 있지만 전체적인 구성이나 미래규모 면에서 이탈리아가 앞서고 있다. 스페인은 이지스함을 제외하면 6척의 4,000톤 산타마리아급과 4척의 2,500톤 원양초계함(Buque de Acción Marítima)이 해상전력의 전부이다. 추가적으로 군함들이 존재하지만 모두 중소형의 전투함들이다. 여기서 산타마리아는 올리버 해저드 페리급의 스페인식 이름이다. 이에 비하여 이탈리아는 1,000톤급의 함정에도 20km 이상의 사정거리를 보유한 대공 미사일을 보유하고 있다. 이탈리아 해군은 20km 이상의 방공망을 가진 함들이 28척이나 존재한다. 게다가 이탈리아형의 FREMM급인 카를로 베르가미니급도 이미 1척을 도입하였으며 추가적으로 9척을 도입할 예정이다. 이탈리아의 FREMM급은 호라이즌급에도 장착한 EMPAR 위상배열 레이더를 장착하고 있는 준이지스 전투함이다. EMPAR급의 전투함들은 아스터 미사일을 이용하면 24 ~ 50개의 목표물과 동시교전할 수 있다고 한다. 북유럽, 독일어권 국가들 중에서는 독일네덜란드가 가장 강력한 해군력을 보유하고 있다. 이들은 APAR라는 시스템을 만들어 16개의 목표물(알레이버크급, 17개)과 동시교전 할 수 있는 준이지스 전투함을 만들었다. 네덜란드는 4척의 APAR전투함인 De Zeven Provinciën급을 도입하였으며 독일은 3척의 APAR전투함인 작센급을 도입하였다. 전체적인 해군 구성, 규모면에서는 독일이 네덜란드를 앞선다. 북유럽에서는 노르웨이덴마크만이 대형 함정을 보유하고 있다. 그 중 노르웨이군은 소형 이지스 시스템을 장착한 5,000톤의 프리드요프 난센급을 5척 보유하고 있다. 프리드요프 난센급은 해상자위대아키즈키급과 비슷한 수준의 동시교전 능력(10 ~ 12개)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유럽의 해군
프랑스 해군 영국 해군 이탈리아 해군 스페인 해군 그리스 해군 독일 해군 네덜란드 해군
노르웨이 해군 덴마크 해군 스웨덴 해군 핀란드 해군 러시아 해군 우크라이나 해군 포르투갈 해군
폴란드 해군 루마니아 해군 튀르키예 해군 리투아니아 해군 라트비아 해군 벨기에 해군 슬로베니아 해군

러시아는 유럽-아시아에 걸쳐 있는 지리적 특성을 고려하여 유럽 배치 전력/전체 전력 형식으로 표기함

2. 유럽의 국가별 대표 수상 전투함

국가 사진[1] 함급 배수량(만재) 운용 척수 이지스 동급 유무 VLS 기타
러시아 파일:OYW9kDO.jpg키로프급 미사일 순양함 28,000 톤 1 척준이지스 대함 미사일 x 20셀/대공 미사일 x 96셀 항모용 핵추진 순양함.
영국 파일:tuvSqQT.jpg45형 구축함 8,500 톤 6 척준이지스 Sylver A50 VLS;대공 미사일 x 48셀 호라이즌 프로젝트에서 탈퇴 후 독자 개발.
이탈리아 파일:Y7j48nT.jpg안드레아 도리아급 구축함 7,300 톤 2 척준이지스 Sylver A50 VLS;대공 미사일 x 48셀 영국, 이탈리아, 프랑스의 호라이즌 프로젝트.
프랑스 파일:0LfdfjP.jpg포르방급 호위함 7,050 톤 2 척준이지스 Sylver A50 VLS;대공 미사일 x 48셀 영국, 이탈리아, 프랑스의 호라이즌 프로젝트.
덴마크 파일:49ol8t2.jpg이베르 휘트펠트급 호위함 6,645 톤 3 척준이지스 Mk.56 VLS;ESSM x 24발/Mk.41 VLS; SM-2 IIIA x 32발
네덜란드 파일:xFDgzIB.jpg드 제벤 프로비시엔급 호위함 6,050 톤 4 척준이지스 Mk.41 VLS x 40셀; (32셀에 SM-2 IIIA x 32발/8셀 쿼드팩에 ESSM x 32발) 네덜란드, 독일, 스페인의 3국간 호위함 건조 협력 사업 TFC(Trilateral Frigate Cooperation)으로 개발함.
스페인 파일:HkRTsGY.jpg알바로 데 바잔급 호위함 5,800 톤 5 척이지스(베이스라인 5.0) Mk.41 VLS x 48셀; (32셀에 SM-2 IIIA x 32발/16셀 쿼드팩에 ESSM x 64발) 3국간 호위함 건조 협력 사업 TFC(Trilateral Frigate Cooperation)에서 탈퇴한 후 도입.
독일 파일:Um4dU9L.jpg작센급 호위함 5,800 톤 3 척준이지스 Mk.41 VLS x 32셀; (24셀에 SM-2 IIIA x 24발/8셀 쿼드팩에 ESSM x 32발) 네덜란드, 독일, 스페인의 3국간 호위함 건조 협력 사업 TFC(Trilateral Frigate Cooperation)으로 개발함.
노르웨이 파일:Oifzbaw.jpg프리드요프 난센급 호위함 5,290 톤 4 척이지스(베이스라인 5.0) Mk.41 VLS x 8셀; 8셀 쿼드팩에 ESSM x 32발
그리스 파일:2ofWrov.jpg히드라급[2] 호위함 4,000 톤 4 척일반 호위함 Mk.48 VLS x 16셀; ESSM x 16발 독일의 MEKO 200을 기반으로 제작.
포르투갈 파일:Hz3f9gL.jpg바르톨로뮤 디아스급 호위함 3,320 톤 2 척일반 호위함 Mk.48 VLS x 16셀; ESSM x 16발 네덜란드카렐 도어만급 호위함을 양도받음.
벨기에 파일:asEdrzC.jpg레오폴드 1세급 호위함 3,320 톤 2 척일반 호위함 Mk.48 VLS x 16셀; ESSM x 16발 네덜란드카렐 도어만급 호위함을 양도받음.
스웨덴 파일:9U2WKPt.jpg비스뷔급 초계함 650 톤 5 척일반 초계함 스텔스형 설계.

3. 수상함대

3.1. 항공모함

국가별 보유량
종류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튀르키예
중형항모 2 척 1 척
경항모 2 척 1 척
무인기모함 1 척
국가별 목록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튀르키예
퀸 엘리자베스급
70,600톤
F-35B 24기
2 척
샤를 드골급
42,500톤
라팔 24기
1 척
카보우르급
30,000톤
F-35B 10여기
1 척
후안 카를로스급
27,079톤
해리어 10여기
1 척
후안 카를로스급
27,079톤
무인기 ○○기
1 척
트리에스테급
38,000톤
F-35B 10여기
1 척

3.2. 함대방공 순양함/구축함/호위함

국가별 보유량
만재배수량 러시아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독일 네덜란드 덴마크
3만톤급 2/2 척
1만5천톤급 0 척
8천톤 이상 6 척
7천톤 이상 2 척 2 척
6천톤 이상 2 척 0 척 0 척 3 척 4 척 3 척
5천톤 이상 3/3 척 5 척
국가별 총계 5/5 척 6 척 4 척 2 척 5 척 3 척 4 척 3 척
국가별 목록(괄호 안은 쿼드팩 운용을 4셀로 계산)
러시아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독일 네덜란드 덴마크
키로프급[T]
28,000톤
116+0셀
2/2 척
45형
8,500톤
48+8셀
6 척
호라이즌급
7,050톤
48+8셀
2 척
DDX
14,000톤
80셀
0 척
보니파스급
6,100톤
16(64)+8셀
0 척
작센급[T]
6,000톤
32(56)+8셀
3 척
프로빈시엔급
6,050톤
40(64)+8셀
4 척
이베르 휘트펠트급
6,645톤
56+16셀
3 척
고르시코프급[T]
5,400톤
48+0셀
3/3 척
아키텐급[T]
6,000톤
32+8셀
2 척
호라이즌급
7,050톤
48+8셀
2 척
바잔급
5,810톤
48(96)+8셀
5 척
FREMM EVO
6,000톤
○○셀
0 척
이 외에 튀르키예 해군이 TF-2000급 구축함 건조 중, 그리스 해군이 키몬급 호위함 건조 중

3.3. 일반 순양함/구축함/호위함

국가별 보유량
만재배수량 러시아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독일 튀르키예 그리스 노르웨이
1만톤급 1/2 척 0 척
7천톤 이상 4/8 척 0 척 4 척
5천톤 이상 0 척 6 척 14 척 4 척
4천톤 이상 5/5 척 10 척 0 척 4 척 8 척 4 척
3천톤 이상 5 척 9 척 9 척
2천톤 이상 5/10 척 1 척
국가별 총계 15/25 척 10 척 11 척 14 척 8 척 18 척 13 척 4 척
국가별 목록(진한색은 예인 소나 탑재)
러시아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독일 튀르키예 그리스 노르웨이
슬라바급
12,700톤
S-300
1/2 척
26형
8,000톤
CAMM
0 척
아키텐급
6,000톤
아스터-15
6 척
베르가미니급
6,700톤
아스터-30
6 척
니더작센급
10,550톤
ESSM
0 척
OHP
4,166톤
ESSM
4 척
히드라급
4,000톤
ESSM
4 척
난센급
5,290톤
ESSM
4 척
우달로이급
7,570톤

4/8 척
31형
6,600톤
CAMM
0 척
아미랄 로나크급
4,460톤
아스터-30
0 척
베르가미니급
6,700톤
아스터-30
4 척
F125
7,200톤

4 척
OHP
4,166톤

4 척
코르테나르급
3,900톤
씨스패로우
9 척
그리고로비치급
4,000톤
부크
3/3 척
23형
4,900톤
CAMM
10 척
라파예트급
3,600톤

5 척
타온 디 레벨급
6,270톤
아스터-30
2 척
브란덴부르크급
4,900톤
씨스패로우
4 척
바르바로스급
3,350톤
ESSM
4 척
뉴스트라시미급
4,400톤

2/2 척
타온 디 레벨급
5,830톤

2 척
이스탄불급
3,000톤
히사르-D
1 척
그리먀시급
2,500톤
S-350
0/1 척
야부즈급
3,030톤

4 척
스테레구시급
2,200톤
S-350
5/9 척
히사르급
2,300톤
히사르-D
1 척
이 외에 네덜란드 해군과 벨기에 해군이 차기 대잠 호위함 건조 중, 폴란드 해군이 미에츠니크급 호위함 건조 중, 핀란드 해군이 포흐얀마급 초계함 건조 중

3.4. 군수지원함

국가별 보유량
러시아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독일 튀르키예
3만톤 이상 5 척 1 척
2만톤 이상 2/3 척 1 척 3 척 1 척
1만톤 이상 2/4 척 2 척 1 척 2 척 2 척 2 척
국가별 목록
러시아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독일 튀르키예
보리스 칠킨급#
22,460톤
2/3 척
타이드급
39,000톤
4 척
자크 슈발리에급
31,000톤
1 척
불카노급
27,200톤
1 척
칸타브리아
19,500톤
1 척
베를린급
20,200톤
3 척
데리아
26,000
1 척
프로젝트 23130#
14,000톤
1/1 척
포트 빅토리아급
32,818톤
1 척
듀랑스급
18,800톤
2 척
에트나급
13,400톤
1 척
파티뇨
17,319톤
1 척
뢴급
14,200톤
2 척
아카르급
19,350톤
2 척
두브나급#
12,891톤
1/3 척

4. 잠수함

전략 핵잠수함 보유 현황은 SSBN 문서 참고

4.1. 핵추진 잠수함

국가별 보유량
종류 러시아 영국 프랑스
SSGN 5/11 척
SSN(신형) 6 척 3 척
SSN(냉전기형) 9/12 척
SSN(소형) 2 척
국가별 총계 14/23 척 6 척 5 척
국가별 목록
러시아 영국 프랑스
야센급
13,800톤
32셀
3/5 척
아스튜트급
7,800톤

6 척
쉬프랑급
5,300톤

3 척
오스카급
19,400톤
24셀(72셀[7])
2/6 척
루비급
2,660톤

2 척
아쿨라 I급
12,770톤

5/8 척
시에라 II급
9,100톤

2/2 척
빅터급 III
7,250톤

2/2 척

4.2. 재래식 잠수함

국가별 보유량
수중배수량 러시아 이탈리아 스페인 독일 튀르키예 그리스 노르웨이 스웨덴
3천톤 이상 10/16 척 2 척
2천톤 이상 1/1 척 0 척
1천5백톤 이상 8 척 6 척 9 척 4 척 3 척
1천톤 이상 4 척 6 척 6 척
국가별 총계 11/17 척 8 척 2 척 6 척 13 척 10 척 6 척 3 척
국가별 목록(진한색은 AIP 탑재)
러시아 이탈리아 스페인 독일 튀르키예 그리스 노르웨이 스웨덴
킬로급
3,076톤
UGST, 칼리브르
6/11 척
212급
1,830톤

4 척
이삭 페랄급
3,426톤
DM2A4
2 척
212급
1,830톤
DM2A4
6 척
214급
1,860톤
DM2A4
1 척
214급
1,860톤

4 척
210급
1,150톤

6 척
블레킹에급
2,000+톤

0 척
킬로급 구형
3,076톤

4/5 척
사우로급
1,662톤

4 척
209/1400급
1,586톤
DM2A4
8 척
209/1200급
1,285톤

4 척
고틀란드급
1,599톤

3 척
라다급
2,700톤
UGST, 칼리브르
1/1 척
209/1200급
1,285톤
Mk48 Mod6
4 척
209/1100급
1,207톤

2 척

4.3. 기타 대잠 전력

국가별 보유량[8]
러시아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튀르키예 노르웨이
대잠초계함 18/25 척
대잠초계기 44 기 9 기 18 기 6 기 5 기
대잠헬기(중형) 67 기 30 기 27 기 56 기 18 기 24 기
대잠헬기(소형) 28 기 6 기 9 기
국가별 목록
러시아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튀르키예 노르웨이
그리샤급 12/19척 P-8 9기 아틀란틱 18기 멀린 10기 S-70B 18기 ATR 72 6기 P-8 5기
파르킴급 6/6척 멀린 30기 NH90 27기 NH90 46기 S-70B 24기
Tu-142 22기 와일드캣 28기 벨 212 6기 벨 212 9기
Il-38 22기
Ka-27 67기

5. 상륙함 및 소해함

국가별 보유량
러시아 영국 프랑스 스페인 네덜란드 폴란드
2만톤 이상 3 척
1만톤 이상 3 척 2 척 2 척
5천톤 이상 2/2 척
2천톤 이상 10/14 척
소해모함 1 척 1 척
소해함 21/35 척 6 척 13 척 6 척 6 척 19 척
국가별 목록
러시아 영국 프랑스 스페인 네덜란드 폴란드
이반 그렌급
2/2 척
베이급
3 척
미스트랄급
3 척
갈리시아급
2 척
로테르담급
2 척
로푸카급
8/11 척
앨리게이터급
2/3 척
알렉산드리트급
5/8 척
스털링 캐슬
1 척
트라이파타이트급
9 척
세구라급
6 척
트라이파타이트급
6 척
자베리 체르니츠키
1 척
나탸급
4/6 척
헌트급
6 척
불카인급
4 척
코모란 2급
3 척
소냐급
10/19 척
맘리급
4 척
고랴급
2/2 척
가르드노급
12 척

6. 관련 항목

7. 참고 자료

(스페인 해군전력)List of active Spanish Navy ships
(네덜란드 해군전력)List of ships of the Royal Netherlands Navy
(노르웨이 해군 정보)List of Royal Norwegian Navy ships
(노르웨이 코스트가드)Norwegian Coast Guard
(영국 해군 정보)List of active Royal Navy ships
(프랑스 해군 함정 목록)List of current French Navy ships
[1] 업로드한 사진들은 가로사이즈가 300픽셀이다. 사진 업로드 시 참고바람.[2] http://en.wikipedia.org/wiki/Hydra_class_frigate[T] 예인 소나 탑재[T] 예인 소나 탑재[T] 예인 소나 탑재[T] 예인 소나 탑재[7] 일부 개수중[8] 밀리터리 밸런스 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