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8-11 10:40:41

킬로급 잠수함

킬로급에서 넘어옴
파일:러시아 해군기.svg 현대의 러시아 해군 군함 파일:러시아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fff,#191919> 잠수함 <colbgcolor=#fff,#191919> 재래식(SS) 위스키급R, 줄루급R, 로미오급R, 줄리엣급R, 폭스트로트급R, 골프급R, 탱고급R, 킬로급, 라다급, (칼리나급)
SSN 노벰버급R, 빅터급, 알파급R, 마이크급R, 시에라급, 아쿨라급, (하바로프스크급)
SSGN 에코급R, 찰리급R, 파파급R, 오스카급, 야센급, 머큐리급, (허스키급)
SSBN 호텔급R, 양키급R, 델타급, 타이푼급R, 보레이급
SSA 팔투스급, 로샤릭급, 사로프급
경비정 주크급CG/R, 스베틀야크급CG, 그라초노크급, 랩터급, 스텐카급, 몽구스급, 독스타바벳급, BK-16급, BK-18급, 쉬멜급
경비함 바실리 비코프급, (이반 파파닌급)
초계함 무하급R, 무라베이급R, 그리샤급, 나누추카급, 파르킴급, 타란툴급, 파우크급CG, 보라급, 부얀급, 부얀-M급, 카라쿠르트급, 게파르트급, 스테레구시급, 소브라지텔니급, 그리먀시급, (데르즈키급)
호위함 페트야급, 크리박급CG, 네우스트라시미급, 어드미럴 그리고로비치급, 어드미럴 고르쉬코프급, (프로젝트 22350M형)
구축함 카신급R, 우달로이급, 소브레멘니급, 프로젝트 21956형, (리데르급)
순양함 카라급R, 슬라바급, 키로프급
항공순양함 어드미럴 쿠즈네초프급, (러시아 연방의 항공모함 계획)
상륙정 무레나급R, 아이스트급R, 주브르급, 세르나급, 듀공급, 온다트라급
상륙함 LPH (이반 로고프급), 미스트랄급
LSD 이반 그렌급
LST 이반 로고프급R, 앨리게이터급, 로푸카급
소해함 나탸급, 소냐급, 고랴급, 리다급, 알렉산드리트급
위그선 룬급R
정보수집함 프로젝트 394B형R, 프로젝트 850-M형, 프로젝트 861M형, 프로젝트 08621형, 프로젝트 08622형, 프로젝트 864형, 프로젝트 1826형, 프로젝트 10221형R, 우랄급R, 유리 이바노프급, 비시냐급
군수지원함 벨랸카급, 삿코급, 루자급, 발라급, 다우가바급, 비테그랄레스급, 무나급, 유니 파티잔급, 암게마급, 프로젝트 323A/323B형
구난함/잠수함구조함 프로젝트 23040형, 프로젝트 05360형, 엘브루스급, 카쉬탄급, 콤무나
잠수함지원함 프로젝트 1886형R
해양연구함 블라디미르 카브라이스키, 프로젝트 852형, 프로젝트 22010형, (프로젝트 22011형)
수로탐사함 프로젝트 861형, 프로젝트 862형
훈련함 프로젝트 887형, 프로젝트 888형R
※ 윗첨자R: 퇴역 함선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러시아·소련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kilo class.jpg
Подводные лодки проекта 877 «Па́лтус», Проекта 636 «Варшавянка»

1. 개요2. 제원3. 종류별 킬로급 잠수함
3.1. 877형3.2. 636형
4. 국가별 킬로급 잠수함5. 대한민국 해군 도입 논의6. 실전7. 관련 문서8. 둘러보기

1. 개요

NATO 코드명 킬로급 잠수함(Kilo-class submarine), 소련 해군 형식명칭 프로젝트 877형 잠수함 "팔투스"(Подводные лодки проекта 877 «Палтус»)/프로젝트 636형 잠수함 "바르샤뱐카"(Подводные лодки проекта 636 «Варшавянка»)는 소련 해군러시아 해군이 건조하여 운용하는 재래식 잠수함이다.

'킬로'는 NATO 코드네임으로서 러시아 고유명은 전기형은 Проект 877 Палтус(프로옉트 877 팔투스(넙치))라 부르고, 후기형은 Проекта 636 Варшавянка(프로옉타 636 바르샤뱐카(바르샤바의 시민))라 한다.[1] 877EKM은 877형의 수출형이며 636M은 636형의 수출형이다. 수출형은 일정 수준의 다운그레이드가 이루어졌으며, 636.3형은 636형의 러시아 해군 배치용이다.

2. 제원

<colbgcolor=#fff> 킬로급 잠수함
Подводные лодки проекта 877 «Па́лтус»
Проекта 636 «Варшавянка»
<colcolor=#0000cd> 이전급 탱고급 잠수함
다음급 라다급 잠수함
수상배수량 2,300 ~ 2,350톤
수중배수량 3,000 ~ 3,950톤
전장 73.8m
전폭 9.9m
흘수선 6.6m
잠항심도 300m
추진장치 4-2AA-42M x 2기
최대출력 5,900shp
최고속력 20노트
항속거리 9,600km
잠수함 승조원 52 명
소나 shark Teeth, Mouse Roar
전투체계 MVU-110EM

3. 종류별 킬로급 잠수함

3.1. 877형

킬로급 877형은 러시아 해군에서 운용중인 14척(877K형, 877M형, 636형)을 비롯하여 폴란드 해군(877EM형 1척), 루마니아 해군(877EM형 1척), 인도 해군(10척), 알제리 해군(2척), 이란 해군(3척),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877EKM형 2척)을 수출하였다. 877형의 3가지 모델은 기본형인 877형과 사격통제장치를 개선한 877K형, 2문의 선유도 어뢰 발사관을 장착한 877M형이 있다.

무장으로 533mm 어뢰 발사관 6문을 탑재하여 어뢰 외에도 방어가 어려운 웨이크 호밍 어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마지막으로 인도 해군에 공급된 신두고쉬급 잠수함대함 미사일 운용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나머지 함들도 러시아에서 오버홀시 대함 미사일 운용능력을 부여하고 있다.

3.2. 636형

킬로급 636형은 러시아 해군에서 운용 중인 9척과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에서 발주한 10척 알제리 해군용 4척, 베트남 인민해군 6척 등 2021년 8월 까지 총 28척이 건조되어 실전 배치 되었으며, 앞으로 러시아 해군 에서 636.3형 4척을 더 실전배치 하게 된다. 대함 미사일클럽-S를 적재함에 따라 636형 잠수함의 전투능력은 상당히 증가되었다. 636급은 바다의 블랙홀이라 호칭되는 877EKM형보다 소음수준이 감소되고, 무장 운용성도 높은 한 단계 이상 향상된 재래식 잠수함이다.

2015년 12월 9일 지중해에 배치된 636형 "로스토프-온-돈"(Rostov-on-Don)[2]에서 클럽-S의 사거리 연장형으로 여겨지는 잠수함 발사형 순항 미사일(SLCM)이 발사되어 시리아의 표적들을 명중시켰다. 이로써 러시아 해군은 수상 전투함에 이어, 잠수함을 이용한 순항 미사일 발사 능력도 실전에서 입증해냈다.

러시아 태평양 함대에 실전배치 되는 636.3형 9번함인 B-602 마가단 함이 실전배치 직전 최종 관문인 국가 시험 단계에 들어 가며, 2021년 11월 10일 까지 러시아 해군에 취역 된다. #

2021년 8월 24일 Army-2021 군사 기술 포럼에서 5,000억 러시아 루블 규모의 현대화 및 신형 장비 공급의 일환 으로 재래식 잠수함 636.3 Varshavyanka의 11번함과 12번함이 Mozhaisk 및 Yakutsk의 두 척의 건조가 8월 23일 부터 상트페테르부르크 조선소 에서 착수 한다고 러시아 연방 국방부 차관이 공식 브리핑 했다. #

2021년 10월 5일 타스 통신 보도: 프로젝트 636.3 "Magadan" 재래식 잠수함은 10월 12일에 러시아 해군에 본격적으로 취역된다. #

4. 국가별 킬로급 잠수함

국가별 킬로급 잠수함
총계 국가 종류 종류별 척수
18 척(+6 척) 러시아 킬로급 877[3] 6 척
킬로급 877V 1척
킬로급 877LPM 1척
킬로급 877EKM 1척
킬로급 636.3 9척 (+6척)
10 척 중국 킬로급 636, 636M 10척
7 척 인도 킬로급 877EKM 7척
6 척 베트남 킬로급 636M 6척
6척 알제리 킬로급 877EKM 2척
킬로급 636M 4척
3 척 이란 킬로급 877EKM 3척
1 척 폴란드 킬로급 877E 1척
1 척 루마니아 킬로급 877E 1척
1 척 미얀마 킬로급 877EKM 1척[4]

4.1. 러시아 해군의 킬로급 잠수함

소련 해군이 마지막으로 개발한 킬로급 잠수함은 서방측 잠수함에 필적하는 우수한 성능을 가지고 있다. 킬로급 잠수함은 원래 탄도 미사일 원자력 잠수함(SSBN)을 공격하기 위하여 자국 해역에 침입한 서방의 공격 원자력 잠수함(SSN)을 제거할 목적으로 개발되었지만, 장기간의 대양작전능력도 가지고 있다.

킬로급 잠수함은 기존의 구 소련 재래식 잠수함과 달리 수중저항이 적은 누적형(티어 드롭) 선체로 수상속력보다 수중속력을 중요시한 설계로 만들어졌다. 처음부터 자국용 외에 수출용으로 계획하고 설계되었으며, 세부적으로 나누면 8가지의 다양한 버전이 있다. 또한 세계의 잠수함 시장에서 경쟁하기 위하여 장래의 근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2021-2022년 우크라이나 전쟁 위기가 고조되는 2022년 2월, 다수의 킬로급 잠수함이 지중해흑해에 배치되었다.[5] 이들은 유사시 우크라이나의 해상 보급로 차단 및 순항 미사일을 통한 지상목표 타격을 실행할 것으로 여겨지며, 개전 후에는 실제로 우크라이나의 목표물에 칼리브르 미사일을 발사하고 세바스토폴에서 재보급을 받는 정황이 포착되고 있다.# 전기형과 후기형을 합쳐서 총 5척의 킬로급 잠수함이 흑해함대 휘하로 투입되으며 2023년 9월 13일, 세바스토폴의 드라이 도크에서 수리를 받던 636.3형 로스토프나도누가 우크라이나 공군스톰 쉐도우 미사일 공습을 받아 손상을 입었다. 한편 러시아 측은 로스타푸나도누를 함선 목록에서 제적시키지 않고 수리를 선언했다. 이후 2024년 6월 1일 수리 공장으로 이동한 것이 확인되었다가 2024년 8월에 스톰 섀도우 미사일에 공격 당했다는 미확인 소식이 들려오고 있다.

2023년 10월 14일, 지중해에 마지막으로 남아있던 킬로급 잠수함 크라스나도르 (B-265)[6]가 지브롤터 해협을 빠져나가는 모습이 확인되었다. 그렇게 한동안 지중해에 남은 킬로급 잠수함은 없었으나, 2024년 기준으로는 킬로급 잠수함 우파 (B-588)가 들어와서 활동 중이다.

4.2.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의 킬로급 잠수함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039형 잠수함[7] 1번함이 진수되기 직전인 1993년 러시아에 4척을 발주하여, 1995~1998년 사이에 모두 도입되었다. 이중에서 초기함 2척은 877EKM형이고, 후기함 2척은 636형이다. 이 잠수함들은 035형 잠수함[8]과 039형 잠수함[9]을 보완할 목적으로 들어왔으나 재래식 잠수함 건조기술 획득도 옵션에 포함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4.3. 이란 해군의 타레크급 잠수함

이란 해군은 1970년 말에 독일 HDW209급 잠수함 4척에 대한 도입 계획을 진행하였지만, 이슬람 이란 혁명의 여파로 취소했다. 다시 1980년대 말부터 잠수함 도입을 추진 중이었으며, 서방 측에서 획득이 불가능하였기 때문에 러시아에서 킬로급 잠수함 3척을 도입했다. 킬로급 잠수함은 페르시아만에서 최초로 운용된 잠수함으로, 높은 해수 온도로 인하여 전지와 공기조절 시스템의 문제가 발생하였으나, 같은 문제를 해결한 인도 해군의 도움으로 해결하였다. 현재 이란 해군은 웨이크 호밍 어뢰를 사용하는 킬로급 잠수함 3척을 페르시아만을 중심으로 운용하고 있으며, 미합중국 해군에 큰 위험이 되고 있다.

4.4. 인도 해군신두고쉬급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신두고쉬급 잠수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5. 베트남 인민해군하노이급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하노이급 잠수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HQ-182-Hanoi.jpg

HQ-182-Hanoi

베트남 인민해군2009년 4월에 킬로급 잠수함 636형 6척을 18억 달러에 구매하기로 러시아와 협정을 맺었고 잠수함 승조원 교육훈련은 이미 운용중인 인도 해군이 담당하기로 하였다. 이를 통해 베트남은 8번째로 킬로급 잠수함을 운용하는 국가가 되었다.

4.6. 루마니아 해군델피눌급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델피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루마니아 해군이 최초로 운용한 잠수함으로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정권 당시인 1985년 소련으로 부터 도입했다. 현재 일선에서 물러나 훈련함으로 전환되었다.

5. 대한민국 해군 도입 논의

1차 불곰사업이 끝난 뒤 한때 대한민국 해군에서 636사업으로 킬로급 잠수함 도입을 검토했었다. 물론 해군이 원해서 도입을 고려한 것이 아닌 러시아에서 받지 못한 차관을 현물로 상환 받기 위해 정부 차원에서 지시가 내려온 탓이었다. 하지만 차기 잠수함 사업이었던 KSS-II 사업(손원일급 잠수함)에 걸림돌이 된다는 주장이 강했고, 마침 터진 쿠르스크 함 침몰사건 등으로 러시아제 잠수함에 대한 신뢰도가 크게 떨어지면서 도입하지 않기로 결정하였다.

안병구 제독의 회고록을 보면 해군 사찰단이 킬로급을 직접 견학하고 난색을 표했다고 서술되어 있다. 소련 해군의 기술을 이어받은 러시아 해군의 잠수함에 순항 미사일까지 같이 판다고 하여 처음에는 꽤 반응이 좋았다. 그러나 모라토리움에 빠진 러시아 경제 상황으로 인해 방치된 창정비 시설은 한국보다 뒤떨어졌고 이후 경제가 정상화되어 야센급 잠수함등의 잠수함 사업이 재정비되기까지는 많은 시간이 필요했다.

게다가 킬로급은 함정의 두뇌라고 할 수 있는 전투체계의 연산능력이 심히 부족해 다수 표적에 대한 표적기동분석이나 동시공격능력이 KSS-II 사업에 입찰한 서방 잠수함은 물론 기존 209급 잠수함보다도 뒤쳐진다는 점 역시 심각한 결격사유로 받아들여졌다. 사찰단은 위와 같은 실상을 보고 질색하며, 이런 잠수함은 무상으로 줘도 받아오면 안된다고 강력하게 반대했다고 한다.

6. 실전

6.1.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흑해함대 소속 킬로급 잠수함 5척(전기형 1척, 후기형 4척)이 전쟁에 투입되었다.[10] 우크라이나 해군은 이들이 상대할 만한 대형함을 보유하지 않은 관계로, 해상에서 순항미사일을 발사하는 용도로만 이용되고 있다.

흑해 곡물 협정이 막 종료된 시점에는 이들 킬로급들을 중심으로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로 향하는 상선들을 대상으로 21세기판 통상파괴작전을 펼칠 것이라는 예상도 있었다.

그러다 2023년 B-237 "로스토프나도누"가 드라이 도크에 입거한 상태에서 우크라이나 공군 소속 Su-24스톰 쉐도우 미사일 공격에 손상되어 수리중이다.

7. 관련 문서

8. 둘러보기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해군기.svg 현대의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군함 파일:중국 인민해방군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잠수함 재래식 <colbgcolor=#fefefe,#191919>031형R, 033형R, 035형 밍급, 039형 쑹급, 킬로급, 039A/041형 위앤급, 032형 칭급
하이브리드 {041형 주급}
SSN 091형 한급, 093형 상급
SSGN {095형}, {097형}
SSBN 092형 샤급, 094형 진급, {096형 탕급}
고속정 062형 상하이I/II급, 062I형 상하이 III급R, 037형 하이난급, 037I형 하이칭급
어뢰정 123형R, 02형R, 025형R
미사일 고속정 021형R, 024형R, C14급, 037IG형 후신급, 037II형 후지안급, 022형 후베이급
초계함 056(A)형 쟝다오급
호위함 053K형 장동급R, 053(H · H1 · H2 · H1Q · H1G)형 지앙후(I · II · IIIR · IVT · V)급,
053H2G형 장웨이 I급, 053H3형 장웨이 II급, 054(A)형 장카이 (I · II)급, {054B형}
구축함 구축함 6607형R, 051형 루다급R, 항저우급, 052형 루후급, 051B형 루하이급,
052B형 루양 I급
방공구축함 051C형 루저우급, 052C형 루양 II급, 052D형 루양 III급, 055형 런하이급
상륙정 067형 윈난급S, 069형 위친급S, 724형 징사 II급 LCAC, 726형 위이급 LCAC, 728형
상륙함 LHA 075형 위션급, {076형}
LPD 071형 위쟈오급
LST 072형 위칸급, 072(II · III · A)형 윈칭(I · II · III)급
LSM 074형 위하이급, 073(II · IIY)형 위다오급, 073III형 위덩급, 073A형 윈슈급, 079형 위량급
기뢰소해함 010형R, 081형 워치급, 082형 워사오급, 082II형 워장급
군수지원함 903(A)형 푸치급, 904(A · B)형 따윤급, 905형 푸칭급R, 908형 칭하이후, 901형
항공모함 001형 랴오닝, 002형 산둥, {003형 푸젠}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T: 기존 함을 연습함으로 전용
※ 윗첨자S: 비축 함선
취소선: 계획으로만 끝났거나 취소된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폴란드 해군 함수기.png 현대 폴란드 해군 함정 둘러보기 파일:폴란드 해군 함미기.pn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폴란드 해군 (1990~현재)
Marynarka Wojenna
<colbgcolor=#FFF> [[잠수함|'''
잠수함
''']]
<colbgcolor=#FFF> '''
SSK
'''
{오르카 사업} | 오제우(3대/1986) | 소쿠우급R(4대/2002) | 빌크급R(2대/1987)
[[미사일 고속정|'''
미사일 고속정 (FACG)
''']]
오르칸급(2대/1992) | 헬급R
원양초계함 (OPV) 가브론급
[[초계함|'''
초계함
''']]
'''
PCE
'''
카슈프(3대/1987)
'''
PCG
'''
구르니크급R
[[호위함|'''
호위함
''']]
'''
FFG
'''
{미에츠니크급} | 게네라우 카지미에시 푸와스키급
[[구축함|'''
구축함
''']]
'''
DDG
'''
바르샤바R(3대/1988)
'''
상륙함
'''
'''
LST
'''
루블린급 | 폴노시니급R
[[소해함|'''
소해함
''']]
'''
소해 지휘함
'''
콘트라드미라우 사웨리 체르니키급
'''
MSC
'''
가르드노급 | 맘리급 | 고프워
'''
MHC
'''
코모란 2급
'''
지원함
'''
'''
급유함 (AOR)
'''
바우티크급
[[구조함|'''
구난함 (ARS)
''']]
피아스트급 | 즈비슈코급
'''
정찰함 (AGOS)
'''
{델핀급} | 나비가토르급
'''
해저 조사선 (AGOR)
'''
헤벨리우시급
지원정 볼코급 (YT)
'''
무인함
'''
'''
UUV
'''
후긴 AUV
훈련함 보드니크급 | 이스크라급(2대/1982)
※ 윗첨자R: 퇴역 함정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정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Ensign_of_Algeria.svg.png 현대의 알제리 인민군 함정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bgcolor=#d30731> 잠수함 S-10급R, 라이즈 하지 무바레크급, 메살리엘 하지급
고속정 오사 II급, 케비르급
초계함 라스 하미도우급, 제벨 체노우아급, 엘 무타사디급, {티그르급}
호위함 에라디급, 무라드 라이스급, 아드하페르급
상륙함 <colbgcolor=#d30731> LPH 칼라트 베니 아베스급
LST 칼라트 베니 햄드급
소해함 엘 카세급
※ 윗첨자R: 퇴역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함선
*: 테스트용으로만 사용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이란 국기.svg 현대의 이란 해군 함정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99cc99,#336633> 잠수정 나항급, 유고급, 가디르급
잠수함 코우세R, 타레크급, 파테급, {베사트급}
고속정 아자르급R, 고하르급R, 아자라크쉬급, 자파르급, 쿠거급, 페이카프 I~III급, 시나급, 카이반급, 파르빈급, 카만급, 톤다르급
초계함 함제, 바얀도르급
호위함 바브르R, 알반드급, 모제급
구축함 다마반드R, 바브르급R, 쿠로시급, {칼리에 파스급}
상륙함 호르무즈-24급, 헨감급, 카르발라급
항공모함 샤히드 로우다키
공기부양정 톤다르급, BH.7급
군수지원함 칸간급, 반다르압바스급, 올급, 마크란급
소해함 팔랑R, 샤힌급
※ 윗첨자R : 퇴역 함선
※ {중괄호} : 도입 예정 함선
취소선 :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함선
*: 테스트용으로만 사용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해상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제1차
세계대전
파일:Jack of the United States.png
미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War_Ensign_of_Germany_1903-1918.svg.png
독일 제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20px-Naval_Ensign_of_the_United_Kingdom.svg.png
영국
파일:해상자위대기.svg
일본 제국
파일:이탈리아 왕국 정부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Civil_and_Naval_Ensign_of_France.svg.png
프랑스
제2차
세계대전
파일:Jack of the United States.png
미국
파일:해상자위대기.svg
일본 제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20px-Naval_Ensign_of_the_United_Kingdom.svg.png
영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0px-War_Ensign_of_Germany_1938-1945.svg.png
나치 독일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900px-Naval_Ensign_of_the_Soviet_Union.svg.png
소련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Civil_and_Naval_Ensign_of_France.svg.png
프랑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682px-Naval_Ensign_of_Poland_%28normative%29.svg.png
폴란드
파일:스웨덴 해군기.svg
스웨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900px-Military_Flag_of_Finland.svg.png
핀란드
파일:중화민국 해군기.png
중화민국
파일:만주군기.svg
만주국
파일:1920px-Naval_Ensign_of_the_United_Kingdom.svg.png
캐나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24px-Naval_Ensign_of_Australia.svg.png
호주
파일:노르웨이 정부기.svg
노르웨이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제1세계
제2세계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900px-Naval_Ensign_of_the_Soviet_Union.svg.png
소련
파일:국가인민군 해군기.svg
동독
파일:Naval_Ensign_of_Poland_(1980-1993,_normative).svg
폴란드
제3세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685050>북미 파일:Jack of the United States.png
미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Naval_Jack_of_Canada.svg.png
캐나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80px-Naval_Jack_of_Mexico.svg.png
멕시코
-
'''
중미/카리브
'''
파일:쿠바 함수기.svg
쿠바
남미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Jack_of_Brazil.svg.png
브라질
파일:칠레해군기.png
칠레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해군기.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해군 표준기.png
콜롬비아
서유럽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20px-Naval_Ensign_of_the_United_Kingdom.svg.png
영국
파일:프랑스 해군기.svg
프랑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00px-Naval_Jack_of_the_Netherlands.svg.png
네덜란드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Ensign_of_Belgium.svg.png
벨기에
중부유럽파일:독일 해군기.svg
독일
파일:폴란드 해군 함미기.png
폴란드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군함기.pn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1024px-Naval_Jack_of_Portugal.svg.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선수기.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해군 선수기.png
루마니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20px-Naval_Ensign_of_Bulgaria.svg.png
불가리아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함선|파일:크로아티아 해군기.svg
크로아티아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북유럽파일:스웨덴 해군기.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정부기.sv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해군기.svg
덴마크
파일:핀란드해군기.png
핀란드
파일:라트비아 해군기.svg
라트비아
동유럽파일:러시아 해군기.svg
러시아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함선|파일:우크라이나 해군기.svg
우크라이나
]]
동아시아파일:대한민국 해군기.svg
대한민국
파일:해상자위대기.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해군기.svg
중국
파일:중화민국 해군기.png
대만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00px-Naval_ensign_of_North_Korea.svg.png
북한
'''
동남아시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Ensign_of_Vietnam_People%27s_Navy.png
베트남
파일:태국 해군 함선기.svg
태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Jack_of_the_Philippines.svg.png
필리핀
파일:Naval_Ensign_of_Singapore.png
싱가포르
파일:브루나이 해군기.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해군기.svg
미얀마
남아시아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5px-Naval_Ensign_of_India.svg.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해군기.png
파키스탄
파일:Naval_Ensign_of_Sri_Lanka.png
스리랑카
서아시아파일:Naval_Ensign_of_Israel.svg.png
이스라엘
파일:800px-Naval_Jack_of_Iran.svg.png
이란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함선|파일:800px-Naval_base_flag_of_the_Royal_Saudi_Navy.svg.png
사우디아라비아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함선|파일:아랍에미리트 해군기.png
{{{#!wiki style="margin: -0px -9px"]]
파일:640px-Flag_of_the_Royal_Bahrain_Naval_Force.svg.png
바레인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
오세아니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24px-Naval_Ensign_of_Australia.svg.png
호주
아프리카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0px-Naval_Ensign_of_Egypt.svg.png
이집트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Ensign_of_Algeria.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해군기.svg
모로코
파일:Naval_Ensign_of_South_Africa.svg
남아공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해상병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전함 | 항공모함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전함 | 잠수함
}}}}}}}}}}}}



[1] 636은 개량형으로 소음을 획기적으로 줄여 서방급 재래식 잠수함에 필적한다.[2] 후술할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중 드라이 도크에서 큰 손상을 입은 킬로급 잠수함과 같은 함이다.[3] Kilo class submarine[4] 인도해군의 INS Sindhuvir (S58) 잠수함을 2020년 10월에 공여받았다. 이는 미얀마 해군이 운용하는 최초의 잠수함이다.[5] 킬로급 잠수함이 보스포러스 해협을 수상항해로 통과하는 모습 역시 지속적으로 목격되고 있다.[6] 이 함도 본래 흑해함대 소속이나, 보스포러스 봉쇄로 복귀하지 못하고 타지역에서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7] 송급 잠수함[8] 밍급 잠수함[9] 송급 잠수함[10] 본래 흑해함대 소속 킬로급 잠수함은 총 7척이나 그 중 2척은 흑해 외부에 있던 상황에서 전쟁이 터지는 바람에 5척만 투입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