Подводные лодки проекта 670 «Скат» |
1. 개요
프로젝트 670형 스캇은 소련 해군과 러시아 해군의 핵추진 순항 미사일 탑재 잠수함이다. NATO 코드명은 찰리급 잠수함 (Charlie-class submarine).2. 제원
이전 함급 | 에코급, 줄리엣급 | |
다음 함급 | 오스카급, 파파급 | |
NATO 코드명 | 찰리 I급[1] | 찰리 II급[2] |
수상 배수량 | 3,580톤 | 4,310톤 |
수중 배수량 | 4,980톤 | 5,500톤 |
전장 | 95미터 | 103미터 |
전폭 | 10미터 | |
추진 장치 | VM-4-1 경수로 1기 증기 터빈 2기 | |
출력 | 15,000HP | |
어뢰 | 533mm급 6발 | |
기뢰 | 24발 | |
대함 미사일 | P-70 아메티스트 8발 | P-120 말라히트 8발 |
3. 상세
3.1. 찰리 I급
Подводные лодки проекта 670 «Скат»
프로젝트 670, 찰리 I급 잠수함은 1960년에서 1970년대에 건조된 핵추진 순항 미사일 잠수함으로 1966년 1번함인 K-43 이래 1972년까지 11척의 찰리 I급이 취역했다.
찰리 I급은 전쟁 발생시 P-70 아메티스트 대함 미사일로 미합중국 해군의 항모전단을 공격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3.2. 찰리 II급
Подводные лодки проекта 670М «Чайка»프로젝트 670M 찰리 II급 잠수함은 1972년에서 1981년에 건조된 핵추진 순항 미사일 잠수함으로 1972년 1번함인 K-452 이래 1979년까지 6척의 찰리 II급이 취역했다
찰리 II급은 P-70 아메티스트 대함 미사일을 P-120 말라킷으로 대체하고 K-479와 K-458에는 MGK-400 Rubicon 소나 시스템을 나머지 찰리 II급 잠수함에는 MGK-500 Skat-M을 설치하여 찰리 I급에비해 더욱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하다
찰리 I급과 동일한 임무를 수행한다
3.3. 찰리 III급
Подводные лодки проекту 06704 «Чайка-Б»К-452 «Новгород Великий»
찰리 III급 잠수함 К-452 벨리키노브고로드 찰리 II급 잠수함의 1번함으로 1986-1992에 개조되어 P-800 오닉스/야혼트 (SSN-N-26) 초음속 순항 미사일을 장착했고 이후 P-800은 야센급 잠수함의 무장으로 채택되었다
4. 목록
함번 | 기공 | 진수 | 취역 | 퇴역 | 배치 |
찰리-I급 | |||||
K-43 | 1964년 5월 9일 | 1966년 8월 2일 | 1967년 11월 5일 | 1992년 7월 30일 | 태평양함대 |
K-87 | 1965년 2월 6일 | 1968년 3월 20일 | 1968년 12월 28일 | 1990년 4월 19일 | |
K-25 | 1965년 12월 2일 | 1968년 7월 31일 | 1968년 12월 30일 | 1991년 6월 24일 | 북방함대 |
K-121 | 1966년 11월 25일 | 1969년 4월 29일 | 1969년 10월 31일 | 1992년 6월 30일 | 태평양함대 |
K-313 | 1966년 7월 14일 | 1969년 7월 16일 | 1969년 12월 16일 | 1990년 4월 19일 | |
K-308 | 1967년 12월 29일 | 1970년 2월 19일 | 1970년 9월 20일 | 1992년 7월 30일 | |
K-320 | 1968년 4월 30일 | 1971년 3월 27일 | 1971년 9월 15일 | 1990년 4월 19일 | |
K-302 | 1969년 1월 17일 | 1970년 7월 11일 | 1970년 12월 1일 | 1992년 6월 30일 | |
K-325 | 1969년 9월 6일 | 1971년 6월 4일 | 1971년 11월 5일 | 1991년 6월 24일 | |
K-429 | 1971년 1월 26일 | 1972년 4월 22일 | 1972년 9월 15일 | 1983년 6월 24일 사고로 침몰 | |
K-201 | 1971년 11월 16일 | 1990년 4월 19일 | 1972년 12월 26일 | 1990년 4월 19일 | |
찰리-II급 | |||||
K-458 | 1974년 2월 12일 | 1975년 6월 30일 | 1975년 12월 29일 | 1991년 6월 24일 | 북방함대 |
K-452 | 1972년 12월 30일 | 1973년 6월 ?일 | 1973년 12월 30일 | 1998년 5월 30일 | |
K-479 | 1975년 12월 20일 | 1977년 5월 6일 | 1977년 9월 30일 | 1992년 7월 5일 | |
K-503 | 1977년 2월 7일 | 1978년 9월 22일 | 1978년 12월 31일 | 1993년 6월 30일 | |
K-508 | 1977년 12월 10일 | 1979년 10월 3일 | 1979년 12월 30일 | 1995년 8월 4일 | |
K-209 | 1979년 12월 20일 | 1980년 9월 16일 | 1980년 12월 30일 | 1996년 ?월 ?일 |
5. 기타
K-43번함은 1987년 9월 1일 '차크라'란 함명으로 인도 해군에 재취역했다. 1992년 7월 30일 퇴역 후 다시 러시아에 반환했다.6. 둘러보기
소련과 러시아의 원자력 잠수함 계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소련·러시아 해상병기의 계보 : 항공모함 | 전략 원자력 잠수함 | 원자력 잠수함 | }}}}}}}}} |
현대의 인도 해군 함선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잠수함 | 재래식 | <colbgcolor=#fefefe,#393b42>칼바리급(1967)R, 벨라급R, 시슈마르급, 신두고쉬급, 칼바리급, {P-75I} | ||
SSN | 차크라R, 차크라급 | ||||
SSBN | 아리한트급 | ||||
고속정 | 비드윳/차마크급R, 방가람급, 트린카트급 | ||||
원양초계함 | {피파바급}, 수칸야급, 사리우급 | ||||
초계함 | 마드라스급R, 아르날라급R, 두르그급R, 코라급, 쿠크리급, 압하이급, 카모르타급, 비르급 | ||||
호위함 | 탈와르급(1958)R, 닐기리급(1972)R, 고다바리급, 쿠크리급R, 브라마푸트라급(초대)R, 브라마푸트라급, 탈와르급, 쉬발릭급, {투쉴급}, {트리푸트급}, {닐기리급} | ||||
구축함 | 고다바리급R, 라지푸트급, 델리급, 콜카타급, 비샤카파트남급 | ||||
상륙정 | LCU 51급 | ||||
상륙함 | LPD | 잘라슈와, {차기 LPD} | |||
LST | 가리알급R, 쿰비르급, 마가르급, 샤르둘급 | ||||
정보수집/연구함 | 사가드와니급, 샌드하약급, 마카르급 | ||||
경항공모함 | 비라트R | ||||
항공모함 | 비크라마디티야, 비크란트급, {비샬급} | ||||
소해함 | 퐁디셰리급 | ||||
군수지원함 | 아디티야급, 디팍급, 죠티급, {FSS} | ||||
무인기 | UUV | 후긴 AUV | |||
※ 윗첨자R: 퇴역 함선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인도군의 운용장비 | 해상병기 | }}} }}}}}} |
⚓️ 해상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제1차 세계대전 | 미국 | 독일 제국 | 영국 | ||||||
일본 제국 | 이탈리아 왕국 | 프랑스 | ||||||||
제2차 세계대전 | 미국 | 일본 제국 | 영국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0px-War_Ensign_of_Germany_1938-1945.svg.png 나치 독일 | ||||||
소련 | 프랑스 | 폴란드 | ||||||||
스웨덴 | 핀란드 | 중화민국 | 만주국 | |||||||
캐나다 | 호주 | 노르웨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제1세계 | ||||||
제2세계 | 소련 | 동독 | 폴란드 | |||||||
제3세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colbgcolor=#685050>북미 | 미국 | 캐나다 | 멕시코 | - | ||||
''' 중미/카리브 ''' | 쿠바 | |||||||||
남미 | 브라질 | 칠레 | 페루 | |||||||
에콰도르 | 콜롬비아 | |||||||||
서유럽 | 영국 | 프랑스 | 네덜란드 | 벨기에 | ||||||
중부유럽 | 독일 | 폴란드 | ||||||||
남유럽 | 이탈리아 | 스페인 | 포르투갈 | 그리스 | ||||||
루마니아 | 불가리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함선| 크로아티아 ]] | 튀르키예 | |||||||
북유럽 | 스웨덴 | 노르웨이 | 덴마크 | 핀란드 | ||||||
라트비아 | ||||||||||
동유럽 | 러시아 |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함선| 우크라이나 ]] | ||||||||
동아시아 | 대한민국 | 일본 | 중국 | 대만 | ||||||
북한 | ||||||||||
''' 동남아시아 ''' | 베트남 | 태국 | ||||||||
필리핀 | 싱가포르 | 브루나이 | 미얀마 | |||||||
남아시아 | 인도 | 파키스탄 | 스리랑카 | |||||||
서아시아 | 이스라엘 | 이란 |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함선| 사우디아라비아 ]]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함선| {{{#!wiki style="margin: -0px -9px"]] | ||||||
바레인 | 카타르 | |||||||||
''' 오세아니아 ''' | 호주 | |||||||||
아프리카 | 이집트 | 알제리 | 모로코 | |||||||
남아공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해상병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미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 러시아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 영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 프랑스 전함 | 항공모함 | 독일 전함 | 잠수함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