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공군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동아시아 | |
동남아시아 | | |
서아시아 | | |
남아시아 | | |
동유럽 | | |
서유럽 | | |
중부유럽 | | |
남유럽 | | |
북유럽 | | |
아프리카 | | |
아메리카 | | |
오세아니아 | | |
※ 독립된 문서가 있는 공군만 링크. 그 외 각국 공군은 틀:세계의 군대 참고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d3ae3b 5%,transparent 5%,transparent 95%,#d3ae3b 95%), linear-gradient(to right, #d3ae3b 1%,transparent 1%,transparent 99%,#d3ae3b 99%), linear-gradient(to right, #c40308 50%, #c40308 5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ff 50%,#5eb6e4 50%)"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d3ae3b><colbgcolor=#1D5E91> 상징 | 국가 · 국호 · 쌍두독수리 |
역사 | 역사 전반 · 두클랴 · 몬테네그로 주교후국 · 몬테네그로 공국 · 몬테네그로 왕국 · 유고슬라비아 왕국 ·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몬테네그로 사회주의 공화국) · 유고슬라비아 연방공화국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몬테네그로 공화국) | |
정치 | 의회 · 몬테네그로 대통령 · 몬테네그로 총리 | |
외교 | 외교 전반 | |
경제 | 경제 전반 · 유로(비협약) | |
문화 | 몬테네그로 농구 국가대표팀 · 몬테네그로 축구 국가대표팀 · 몬테네그로어 · 세르비아 정교회 | |
도시 | 체티네 · 포드고리차 · 코토르 · 울친 | |
민족 | 몬테네그로인 |
몬테네그로 공군 Vazduhoplovstvo i protivvazdušna odbrana Montenegro Air Force | |
| |
몬테네그로 공군기 | |
파일:몬테네그로 공군 상징.png | |
몬테네그로 공군 엠블럼 | |
čojstvo i junaštvo 용기와 영웅심 | |
몬테네그로군의 모토 | |
창설년도 | 2006년 |
국가 | [[몬테네그로| ]][[틀:국기| ]][[틀:국기| ]] |
명령체계 | 몬테네그로 국방부 |
주임무 | 육군과 해군임무지원, 민간인 구호 |
소속 | 몬테네그로군 |
군종 | 공군 |
전력 | 500명 / 5기 |
색상 | 빨간색, 노란색, 파란색 |
전신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틀:국기| ]][[틀:국기| ]] |
참전 | - |
지휘 | |
참모총장 | 중령 네나드 파블로비치 |
라운델 | |
[clearfix]
1. 개요
몬테네그로의 공군으로,[1] 몬테네그로군의 육군과 해군지원 및 민간인 구조 및 수색을 주업무를 수행한다. 이전 유고슬라비아에서 분리 독립당시 제 172항공여단을 기반으로 형성되었다.2. 역사
몬테네그로 공군은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이 1992년에 해체되고 유고슬라비아 연방공화국후에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를 수립되었다. 이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공군으로 탈바꿈하였다. 현 몬테네그로의 독립이전 코소보 전쟁에 참전한바가 있지만 NATO군의 참전과 폭격으로 큰 손실이 발생되었고, 이후 정치적 혼란으로 인하여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중 먼저 몬테네그로가 독립했고, 세르비아가 독립하였다. 이로 공군은 국가에 주둔한 상태로 각각의 국가의 공군을 형성되게 된다. 몬테네그로의 공군본부이자 가장 큰 공항이던 포드고리차 공항에 골루보비치 공군기지에 군용기를 11기를 물려받게 되었으며, 몬테네그로는 2006년 몬테네그로 공군을 정식적으로 창설하게 된다. 초기동안 경공격기와 훈련기, 헬리콥터등 20기이상운용했지만 대다수를 은퇴, 보관상태중이며, 현재의 몬테네그로 공군의 주 전력은 헬리콥터가 중심이되고 있는 상태이다. 이 헬리콥터 또한 전투용이 아닌 수송, 운반, 구조와 같은 작전에 주로 사용하고 있다. 또 몬테네그로 영토내 소형 중형급 공항이 큰도시에는 위치하고 있어서 항공망에는 큰 문제는 없다.3. 편제
- 공군참모총장: ❁❁
- 공군본부반
- 헬리콥터중대
- 보급중대
- 방공중대
- 레이더소대
- 통신소대
- 정비중대
- 주둔지
- 포드고리차 공항 골루보비치 공군기지(HQ)
4. 계급
5. 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0px;" | <colbgcolor=#E30613> '''[[몬테네그로군| 몬테네그로군 (2006~현재) ]]''' Vojska Crne Gore | Војска Црне Горе | ||
회전익기 | <colbgcolor=#E30613> '''[[무장헬기| 경헬기 ]]''' | 벨 505 제트 레인저 X | HO-42 가젤 · HI-42 헤라 · HN-45 가마 2 | |
''' 다목적 헬기 ''' | 벨 412(EP/EPI) | Mi-8(T/MT) | ||
'''[[무인기| 무인기 ]]''' | ''' SUAV ''' | 클래스 1 - 초소형 C-Astral C4EYE 벨린 | |
'''[[훈련기| 훈련기 ]]''' | 프롭 | 세스나 421B | Utva-75 | |
제트 | G-4(M/MD) 슈퍼 갈렙 | ||
VIP 탑승기 | 리어젯 45 | ||
※ 갈색 글자: 퇴역 기종 | |||
※둘러보기 : | }}}}}}}}} |
| ||||||
몬테네그로 해군의 전술기 | ||||||
이름 | 종류 | 제조국 | 운용 | 비축 | 추가 | 비고 |
G-4 슈퍼 갈렙 | 경공격기 | 유고슬라비아 | - | 4기 | - | |
몬테네그로 해군의 헬리콥터 | ||||||
이름 | 종류 | 제조국 | 운용 | 비축 | 추가 | 비고 |
벨 412EPI | 다목적 헬기 | 미국 | 3기 | - | - | |
벨 505 | 다목적 헬기 | 미국 | 2기 | - | - | |
SA341/42 | 다목적 헬기 | 프랑스 | - | 13기 | - |
6. 여담
- 몬테네그로 공군은 총참모장을 1명 배출했고, 공군참모총장은 중령이 최선임 계급이며, 총참모장이 되면 대장 계급으로 진급했으나 현재 시점으로는 연속 육군 출신이다.
- 이전에는 몬테네그로 공군도 경공격기를 운용했으며 현재는 비축하는 상황이다. 현재는 헬리콥터만이 사실상의 전력이기에 대부분이 육군과 해군을 업무지원 및 민간지원을 주로 활동중이다.
7. 관련 문서
8. 외부 링크
- 공식 몬테네그로 국방부 공군 페이지(보스니아어, 몬테네그로어, 영어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