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디아라비아군 القُوَّات المُسَلَّحَة العَرَبِيَّة السُّعُودِيَّة | |||
사우디아라비아 육군 | 사우디아라비아 해군 | 사우디아라비아 공군 | |
사우디아라비아 방공군 | 사우디아라비아 전략로켓군 |
<colbgcolor=#fff> 사우디아라비아 왕립공군 الْقُوَّاتُ الْجَوِّيَّةُ الْمَلَكِيَّةْ ٱلسُّعُوْدِيَّة Royal Saudi Air Force (RSAF) | ||
깃발 | 엠블럼 | |
창설일 | 1920년 | |
소속 | 사우디아라비아군 | |
병력 | 20,000명 | |
참전 | 걸프 전쟁 예멘 내전 | |
사령관 | 투르키 빈 반다르 알 사우드 |
[clearfix]
1. 개요
사우디아라비아군의 공군이다.2. 역사
1984년 6월 5일 사우디 영토로 이란군의 F-4E 8대가 들이닥쳤고 사우디군의 아지즈 알람다니 소령이 이끄는 F-15C 6대가 출격하여 2대를 격추시켰다. 이는 맥도널 더글러스사에서 만든 전투기끼리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벌인 전투였다. 그리고 1991년 1월 24일 이라크군의 미라주 F-1 전투기 6대가 사우디로 들어왔다가 아예히드 살라흐 알샴라니 대위가 탄 F-15C에게 2대가 격추, 1대가 손상되어 물러난 바 있다. 격추 영상이후 걸프 전쟁 당시 사막의 폭풍 작전과 대IS 군사 개입, 예멘 내전에 참전한다.
2022년 10월 4일에서 5일까지 유로파이터 타이푼의 IRIS-T 미사일로 이스라엘을 목표로 날아가던 후티 반군의 순항 미사일을 요격했다고 한다, 졸전하는 육군과 달리 공군은 제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고 있는 듯하다. #
공군도 사실 용병 조종사와 용병 정비 인력으로 운용된다. 당연한 것이, 지상군도 전투력을 의심해서 용병으로 돌아가는 판에, 여차하면 전투기 몰고 적국으로 도주할 수도 있는 공군은 더할 수밖에 없다.[1]
3. 장비
현대 사우디아라비아 왕립 공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사우디아라비아 왕립 공군 القوات الجوية الملكية السعودية | ||||
회전익기 | 다목적 헬기 | <colbgcolor=#fefefe,#393b42>AS332, UH-60L | |||
공격헬기 | AH-64A/D/E | ||||
수송헬기 | CH-47F | ||||
대잠헬기 | AS565, AS332 슈퍼 퓨마 B1/M1/F1S1/F1S2, MH-60R | ||||
전투기 | 4세대 / 4.5세대 | 파나비아 토네이도 ADVR , F-15C/D/S/SR/SA, 유로파이터 타이푼 | |||
공격기 | 파나비아 토네이도 IDS | ||||
지원기 | 조기경보통제기 | E-3A, 사브 2000 AEW&C | |||
공중급유기 | KE-3, KC-130H/J, KC-30A | ||||
수송기 | C-130H/J | ||||
무인기 | UCAV | 윙룽-1, 윙룽-2, {바이락타르 아큰즈} | |||
훈련기 | PC-21, BAE 호크 65/65A/165/165A, MFI-395 슈퍼 무샤크 | ||||
※ 윗첨자R: 퇴역 기종 ※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사우디아라비아군의 운용장비 | 항공병기 | }}} }}}}}} |
사우디아라비아 공군의 전술기 | ||||||
이름 | 종류 | 제조국 | 운용 | 비축 | 추가 | 비고 |
유로파이터 타이푼 트랜치 3A | 공중우세기 | 유럽 | 48대 | - | 48대[2] | |
유로파이터 타이푼 트랜치 2 | 공중우세기 | 유럽 | 24대 | - | - | |
F-15SA | 공중우세기 | 미국 | 84대 | - | - | |
F-15S | 전폭기 | 미국 | 67대 | - | - | |
F-15D | 공중우세기 | 미국 | 25대 | - | - | |
F-15C | 공중우세기 | 미국 | 56대 | - | - | |
파나비아 토네이도 IDS | 공격기 | 유럽 | 81대 | - | - | |
사우디아라비아 공군의 지원기 | ||||||
이름 | 종류 | 제조국 | 운용 | 비축 | 추가 | 비고 |
E-3A | AEW&C | 미국 | 5대 | - | - | 개량 진행 예정 |
사브 2000 AEW&C | AEW&C | 스웨덴 | 2대 | - | - | |
KC-30A | 공중급유기 | 유럽 | 6대 | - | - | |
KE-3A | 공중급유기 | 미국 | 7대 | - | - | |
KC-130H/J | 공중급유기 | 미국 | 9대 | - | - | |
사우디아라비아 공군의 수송기 | ||||||
이름 | 종류 | 제조국 | 운용 | 비축 | 추가 | 비고 |
C-130H | 전술수송기 | 미국 | 33대 | - | - | |
사우디아라비아 공군의 헬기 | ||||||
이름 | 종류 | 제조국 | 운용 | 비축 | 추가 | 비고 |
AH-64 아파치 | 공격헬기 | 미국 | 22기 | - | 25기[3] |
4. 둘러보기
세계의 공군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동아시아 | 대한민국 | 북한 | 중국 | 대만 | 일본(준군사조직) |
동남아시아 | 태국 | 베트남 | 싱가포르 | 필리핀 | 인도네시아 | 말레이시아 | |
서아시아 | 이란 | 이스라엘 | 튀르키예 | 사우디아라비아 | 아제르바이잔 | 카타르 | |
남아시아 | 인도 | |
동유럽 | 러시아 | 우크라이나 | 벨라루스 | 루마니아 | |
서유럽 | 영국 | 프랑스 | 네덜란드 | 벨기에 | |
중부유럽 | 독일 | 스위스 | 폴란드 | 체코 | 슬로바키아 | |
남유럽 | 이탈리아 | 스페인 | 포르투갈 | 튀르키예 | 그리스 | 몬테네그로 | 세르비아 | 슬로베니아 | |
북유럽 | 덴마크 | 노르웨이 | 스웨덴 | 라트비아 | |
아프리카 | 이집트 | 모로코 | 나이지리아 | 남아프리카 공화국 | 앙골라 | 차드 | 에티오피아 | |
아메리카 | 미국 | 캐나다 | 멕시코 | 브라질 | 칠레 | 페루 | |
오세아니아 | 호주 | |
※ 독립된 문서가 있는 공군만 링크. 그 외 각국 공군은 틀:세계의 군대 참고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fff><colbgcolor=#006c35> 상징 | <colcolor=#000,#fff>국가 · 사우디아라비아/국장 |
역사 | 역사 전반 · 정통 칼리파 시대 · 우마이야 왕조 · 아바스 왕조 · 카르마트 · 사우드 왕조 · 네지드 토후국 · 헤자즈 왕국 | |
정치·치안·사법 | 정치 전반 · 와하비즘 · 사우드 왕조 | |
외교 | 외교 전반 · G20 · 아랍 연맹 · 이슬람 협력기구 · 걸프 협력회의 · BRICS | |
사회 | 사우디아라비아/사회 | |
경제 | 경제 전반 · 사우디아라비아 리얄 · 사우디아라비아/교통 | |
국방 | 사우디아라비아군 · 육군 · 해군 · 공군 · 방공군 · 전략로켓군 | |
문화 | 문화 전반 · 사우디아라비아/성문화 · 사우디아라비아/관광 · 요리 · 사우디아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 사우디아라비아 그랑프리 · 아랍어(사우디 방언) · 케피예 | |
인물 | 압둘아지즈 이븐 사우드 · 사우드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 파이살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 칼리드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 파흐드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 압둘라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 무함마드 빈 살만 알사우드 | |
지리 | 헤자즈 · 네지드 · 알 하사 · 아라비아반도 · 페르시아만 · 네옴 | |
민족 | 사우디인(방글라데시계) · 히자즈인 | |
기타 | 사우디 아라비아 관광청 · 외국인 노동자 문제 |
[1] 하지만 실제 F-15SA 조종사 출신인 만수르 빈 반다르 빈 압둘 아지즈 왕자가 알 아라비야와 인터뷰한 내용에 따르면 사우디의 전투조종사들은 킹 파이잘 공군사관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고 했기에 이 서술은 굉장히 오래전의 내용이거나 틀렸을 가능성이 있다. #[2] 하지만 현재 독일이 사우디아라비아 언론인 암살 사건을 이유로 인도를 거부하고 있어 도입 자체가 취소될 가능성도 있다.[3] E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