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30 00:27:08

사우디아라비아 리얄

서남아시아의 통화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압하지야 국기.svg 파일:남오세티야 국기.svg
튀르키예 리라
(튀르키예, 북키프로스)
러시아 루블
(러시아, 압하지야, 남오세티야)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파일:조지아 국기.svg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이스라엘 신 셰켈*
(이스라엘 파운드)
조지아 라리 아르메니아 드람 아제르바이잔 마나트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파일:요르단 국기.svg 파일:오만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리얄 아랍에미리트 디르함 요르단 디나르 오만 리알
파일:카타르 국기.svg 파일:바레인 국기.svg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파일:예멘 국기.svg
카타르 리얄 바레인 디나르 쿠웨이트 디나르 예멘 리알
파일:레바논 국기.svg 파일:시리아 국기.svg 파일:이라크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레바논 파운드 시리아 파운드 이라크 디나르 이란 리알
* 요르단강 서안 지구 : 요르단 디나르와 병행
가자 지구 : 이집트 파운드와 병행
}}}}}}}}} ||

대한민국에서 취급하는 외국 통화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6799ff><colcolor=#fff> 아시아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엔,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위안, 파일:대만 국기.svg 신대만 달러,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달러,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바트,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페소,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동,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루피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링깃,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달러,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브루나이 달러,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마카오 파타카(#),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타카(#),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텡게(# / ※),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솜(# / ※)
중동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리얄,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디르함,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디나르,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디나르,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디나르,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신 셰켈,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리알(#)
유럽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로, 파일:영국 국기.svg 파운드 스털링,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프랑,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크로나(#),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크로네(#),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크로네(#),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코루나,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즈워티,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포린트,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루블(사실상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리라(#)
아메리카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달러,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달러,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페소,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헤알,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페소(#)
아프리카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랜드,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운드(#), 파일:케냐 국기.svg 케냐 실링(#)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달러,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달러,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달러(# / ※)
범례: 제한적으로 환전 가능 (#), 외화→원화로만 환전 가능 (※) }}}}}}}}}

ريال سعودي (아랍어)

파일:600px-SAMALogo.jpg

1. 개요2. 환전3. 지폐4. 주화5. 둘러보기

1. 개요

사우디아라비아의 통화로 ISO 4217 코드는 SAR[1], 기호는 "﷼[2]" 혹은 ".ر.س"을 사용하고 있으며 라틴 문자 표기로는 SR. 보조단위로 할랄라(هللة, halala)가 있고, 1리얄 = 100할랄라이다. 미국 달러에 1 USD=3.75 SAR로 페그되어 있다.(1986년 6월 이후부터) 전신은 오스만 쿠루쉬에서 파생한 헤자즈(Hejaz) 리얄. 1960년 20키르쉬 = 1리얄 (1963년 1키르쉬 = 5할랄라)의 비율로 교체하였다. 인플레는 약 4.1%이다.

누가 절대군주국 아니랄까, 지폐고 동전이고 무조건 앞면에는 현재 군림하는 사우디 가문의 왕 얼굴을 넣고 있다. 단 최고액권인 500리얄은 항상 '압둘아지즈 이븐 사우드' 초대 국왕의 도안이 들어가며, 2리얄 동전 역시 마찬가지다.

심지어 발행도 본래는 무려 정부기관인 사우디아라비아 통화청(Saudi Arabian Monetary Agency, 약칭 SAMA)이 맡고 있었으며 이슬람의 총본산지답게 연도 표기도 이슬람력을 쓰는 것이 특이점. 다만 6차 발행분부터는 발권 은행의 지위가 Agency(대리)에서 Authority(직영)로 바뀌었다. 이후 2020년부로 정부기관으로부터 독립한[3] 사우디 중앙은행(Saudi Central Bank)으로 전환.

인근의 교량으로 연결된 작은 섬나라 바레인에서도 공항, 호텔, 슈퍼, 전자상가 등 위주로 10:1 비율로 통용이 가능하다. 단, 동전 및 500리얄 지폐는 받지 않는다고.

중동 국가에서는 아랍에미리트 디르함, 이스라엘 신 셰켈과 같이 그나마 안정성 높고 통용이 잘 되는 화폐로 인정받고 있다.

2. 환전

의외로 중동 파견 유행이 불었을 당시인 1970년대부터 취급되어 수요가 큰 역사가 깊은 화폐다.[4] 물론 붐이 꺼진 현재로썬 수요는 사실상 없는 상태다.

수수료는 현금 사실때 평균 4%, 파실 때가 평균 8% 인데 제일 싼 곳이 SC은행인데 수수료가 살때와 팔때와 동일한 1.75%를 받고 있었으나 2018년 이후 사실상 취급이 중단되었다.

사거나 팔려면 SC제일은행씨티은행, NH농협은행, IBK기업은행을 제외한 모든 시중은행, KB국민은행 홍대입구역 환전센터에서 환전이 가능하다. 현재 현행권을 제외한 나머지 구권은 국내에서 환전 업무가 불가하다는 안내가 들어왔다.

만약 환전하지 못했다면 사우디아라비아 현지 사설환전소와 은행에서 아래에 기재된 외국 통화로 환전이 가능하다.

목록이 있더라도 일부 사설 환전소,은행에서만 가능하다.

2023년 6월 13일 하나은행 매매기준율로 약 340원.

sharhanex 환율창

3. 지폐

3.1. 1차

앞면
파일:attachment/사우디아라비아 리얄/saud11.jpg 1SR 쟈발 알 누르
파일:attachment/사우디아라비아 리얄/saud12.jpg 5SR 요새
파일:attachment/사우디아라비아 리얄/saud13.jpg 10SR 제다 항
파일:attachment/사우디아라비아 리얄/saud14.jpg 50SR 데릭 기중기
파일:attachment/사우디아라비아 리얄/saud15.jpg 100SR 건물과 아치형 통로
  • 뒷면은 전부 사우디 국장이 그려져 있고 배경의 무늬가 조금씩 다르다.

3.2. 2차

앞면 뒷면
파일:attachment/사우디아라비아 리얄/saud21.jpg 1SR 외무부 건물 국장
파일:attachment/사우디아라비아 리얄/saud22.jpg 5SR 다란 공항 담만 항
파일:attachment/사우디아라비아 리얄/saud23.jpg 10SR 카바 신전 신전의 외부
파일:attachment/사우디아라비아 리얄/saud24.jpg 50SR 예언자의 모스크 야자수
파일:attachment/사우디아라비아 리얄/saud25.jpg 100SR 내각 건물 데릭 펌프

3.3. 3차 (파이살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3대 국왕)

이때부터 본격적으로 재위 중인 국왕의 초상이 들어가기 시작했다.

다만 당시 500리얄권은 아직 발행되지 않았으며 대신 100리얄권에 초대 국왕의 초상이 들어갔다.
앞면 뒷면
파일:attachment/사우디아라비아 리얄/saud31.jpg 1SR 쟈발 알 누르 다흐란 공항
파일:attachment/사우디아라비아 리얄/saud32.jpg 5SR 관개수로 지잔
파일:attachment/사우디아라비아 리얄/saud33.jpg 10SR 석유시추선 정유소
파일:attachment/사우디아라비아 리얄/saud34.jpg 50SR 예언자의 모스크 내부 측면 예언자의 모스크 내부 정측면
파일:attachment/사우디아라비아 리얄/saud35.jpg 100SR 카바 신전의 정면 카바 신전의 측면

3.4. 4차 (파흐드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5대 국왕)

이때부터 현행 최고액인 500리얄권이 초대 국왕의 초상을 도안으로 발행이 시작되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앞면 뒷면
파일:attachment/사우디아라비아 리얄/saud41.jpg 1SR 기원후 7세기의 디나르 금화 해바라기
파일:attachment/사우디아라비아 리얄/saud42.jpg 5SR 다우 선 라스 타노라 정유공장
파일:attachment/사우디아라비아 리얄/saud43.jpg 10SR 압둘아지즈 궁 야자수들
파일:attachment/사우디아라비아 리얄/saud44.jpg 50SR 바위의 돔 알 아크사 모스크
파일:attachment/사우디아라비아 리얄/saud45.jpg 100SR 예언자의 모스크 예언자의 모스크 전경
파일:attachment/사우디아라비아 리얄/saud46.jpg 500SR 카바신전의 검은 돌 카바신전

3.5. 5차 (압둘라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6대 국왕)

2005년에 국왕이 바뀌고 약간의 유예기간을 거쳐 2007년 5월 20일 첫 등장했다.

다만 국왕이 취임 당시 81세였던 연로자이다보니 실제 늙은 모습을 그려 넣기 참 불편하셨을까, 젊을 때의 모습으로 대신 그려 넣었다.
앞면 뒷면
파일:attachment/사우디아라비아 리얄/saud51.jpg 1SR 전판과 동일 통화청 본관 청사
파일:attachment/사우디아라비아 리얄/saud52.jpg 5SR 라스 타노라 유전 주바일 항의 석유시설
파일:attachment/사우디아라비아 리얄/saud53.jpg 10SR 전판과 동일 압둘라지즈 역사관
파일:attachment/사우디아라비아 리얄/saud54.jpg 50SR 전판과 동일
파일:attachment/사우디아라비아 리얄/saud55.jpg 100SR
파일:attachment/사우디아라비아 리얄/saud56.jpg 500SR

3.6. 6차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7대 국왕, 현행권)

2016년에 발행된 신권으로, 전 국왕인 압둘라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국왕이 붕어하고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가 즉위함에 따라 그의 초상으로 교체되었다.

2022년부터는 새로운 명의인 사우디 중앙은행으로 교체되어 발행되는 중.
앞면 뒷면
파일:attachment/사우디아라비아 리얄/saud061.jpg 5SR 샤이바 유전 꽃밭
파일:attachment/사우디아라비아 리얄/saud062.jpg 10SR 전판과 동일 압둘아지즈 금융센터
파일:attachment/사우디아라비아 리얄/saud63.jpg 50SR 전판과 동일
파일:attachment/사우디아라비아 리얄/saud64.jpg 100SR
파일:attachment/사우디아라비아 리얄/saud65.jpg 500SR
  • 이 시기부터 1리얄 지폐가 삭제되고 1, 2리얄 주화가 새로 추가되었다.
  • 2020년에 5리얄 지폐의 소재가 폴리머로 교체되었다.

4. 주화

파일:Saudi Coins.jpg

1, 5, 10, 25, 50할랄라와 1, 2리얄로 총 7종이다.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006c35> 상징 <colcolor=#000,#fff>국가 · 사우디아라비아/국장
역사 역사 전반 · 정통 칼리파 시대 · 우마이야 왕조 · 아바스 왕조 · 카르마트 · 사우드 왕조 · 네지드 토후국 · 헤자즈 왕국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와하비즘 · 사우드 왕조
외교 외교 전반 · G20 · 아랍 연맹 · 이슬람 협력기구 · 걸프 협력회의 · BRICS
사회 사우디아라비아/사회
경제 경제 전반 · 사우디아라비아 리얄 · 사우디아라비아/교통
국방 사우디아라비아군 · 육군 · 해군 · 공군 · 방공군 · 전략로켓군
문화 문화 전반 · 사우디아라비아/성문화 · 사우디아라비아/관광 · 요리 · 사우디아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 사우디아라비아 그랑프리 · 아랍어(사우디 방언) · 케피예
인물 압둘아지즈 이븐 사우드 · 사우드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 파이살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 칼리드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 파흐드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 압둘라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 무함마드 빈 살만 알사우드
지리 헤자즈 · 네지드 · 알 하사 · 아라비아 반도 · 아라비아 만 · 네옴
민족 사우디인(방글라데시계) · 히자즈인
기타 사우디 아라비아 관광청
}}}}}}}}} ||



[1] 남아프리카 공화국 랜드와 헷갈리는 경우가 있는데 이쪽은 ZAR이다.[2] 이란 리알의 기호와 같다. 유니코드로 fdfc 이다.[3] 사실상 형식적인 독립이다.[4] 현재 사우디 리얄화가 명시된 오래된 자료는 매일경제 1976년 7월 2일 기사다.[5] 잉글랜드 발행권 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