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30 12:54:11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45441 0%, #006c35 20%, #006c35 80%, #24544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사우드 왕조
<colcolor=#fff>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압둘아지즈 사우드 파이살 칼리드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파흐드 압둘라 살만
}}}}}}}}}}}}}}}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왕위계승자 깃발.svg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45441 0%, #006c35 20%, #006c35 80%, #24544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압둘아지즈 사우드 파이살
사우드 파이살 무함마드 칼리드
칼리드 파흐드 압둘라
파흐드 압둘라 술탄 나예프
압둘라 살만
살만 무크린 빈 나예프 무함마드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왕실기.svg
사우디아라비아 총리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6c35 0%, #006c35 20%, #006c35 80%, #006c35);"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or: #806600"
압둘아지즈
<rowcolor=#fff> 초대
사우드
사우드
<rowcolor=#fff> 초대 제2대 초대2 제2대2
사우드 파이살 사우드 파이살
파이살
<rowcolor=#fff> 제2대2
파이살
칼리드
<rowcolor=#fff> 제3대
파흐드
파흐드
<rowcolor=#fff> 제3대 제4대
파흐드 압둘라
압둘라
<rowcolor=#fff> 제4대
압둘라
살만
<rowcolor=#fff> 제5대 제6대
살만 무함마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023년 선정
1위2위3위4위5위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알리 하메네이 타밈 빈 하마드 알사니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압둘라 2세
6위7위8위9위10위
무프티 타키 우스마니 모하메드 6세 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나얀 알리 알시스타니 무함마드 빈 살만 알사우드
11위12위13위14위15위
하비브 우마르 빈 하피즈 살만 알오우다 조코 위도도 아마드 무함마드 알타예프 마울라나 마무드 마다니
16위17위18위19위20위
압둘라 빈 바야 모하마두 부하리 무함마드 빈 사두 아부바카르 3세 야흐야 촐릴 스타쿼프 알리 고마
21위22위23위24위25위
하산 나스랄라 하비브 알 자인 알 아비딘 알지프리 함자 유수프 한손 아마드 티자니 빈 알리 키세 문니라 쿠베이시
26위27위28위29위30위
무스타파 호스니 압둘아지즈 이븐 압둘라 아알 알 셰이크 우사마 알세예드 알아즈하리 샤 카림 알후사이니 알하비브 무함마드 루트피 빈 야흐야
31위32위33위34위35위
압둘 말리크 알후티 마울라나 타리크 자밀 할리마 야콥 무함마드 알야코우비 세예드 호세인 나스르
36위37위38위39위40위
우트만 타하 캘리그래퍼 셰이크 라체드 가노우치 사미아 술루후 하산 모하메드 살라 압델 파타 엘 시시
41위42위43위44위45위
무크타다 사드르 마울라나 나주르 우르레만 무에즈 마수드 티모시 윈터(셰이크 압달하킴 무라드) 이브라힘 살레 알후세이니
46위47위48위49위50위
모하메드 베차리 아미르 칼레드 아레프 알리 나예드 하이바툴라 아훈드자다 셰이크 무함마드 일야스 아타르 콰디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지명 인물 펼치기 · 접기 ]
압둘라 자와디 아몰리 무함마드 이스하크 파야드 딘 샴수딘 시에드 무함마드 나퀴브 알아타스 아크바르 아메드
잉리드 매트손 마흐무드 압바스 이스마일 하니예 안와르 이브라힘 마하티르 빈 모하맛
임란 칸 사디크 칸 아미누 아도 바예로 무프티 압둘 콰심 노마리 셰이크 누 켈러
무함마드 알아리피 자키르 압둘 카림 나이크 아헤드 태미 로제인 알하틀룰 말랄라 유사프자이
우구르 사힌 새미 유수프 셰이크 압둘라흐만 알수다이스 사디오 마네 하빕 누르마고메도프 }}}}}}
The Muslim 500 선정
}}}}}}}}} ||
사우디아라비아 제7대 국왕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سلمان بن عبد العزيز آل سعود
Salman bin Abdulaziz Al Saud
파일: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 사우드.jpg
<colbgcolor=#006c35><colcolor=#fff,#fff> 이름 살만 빈 압둘아지즈 빈 압둘라흐만 빈 파이살 빈 투르키 빈 압둘라 빈 무함마드 알사우드[1]
(Salman bin Abdulaziz Al Saud)
출생 1935년 12월 31일 ([age(1935-12-31)]세)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주 리야드
재위기간 제7대 국왕
2015년 1월 23일 ~ 현직
재임기간 제5대 총리
2015년 1월 23일 ~ 2022년 9월 27일
신체 183cm, 76kg
부모 아버지 압둘아지즈 이븐 사우드 국왕
어머니 수다이리 왕비
배우자 술타나 빈트 투르키 알수다이리 왕비 외 2명
자녀 무함마드 왕세자, 바하라인 왕자, 나세르 왕자 등 13자녀
종교 이슬람교 (와하브파)
서명
파일: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서명.svg
1. 개요2. 선거 정책3. 종교 정책4. 경제5. 대(對) 시아파 강경책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Salman_bin_Abdullaziz_Al_Saud_in_his_Youth.jpg

사우디아라비아의 제7대 국왕.

초대 국왕 이븐 사우드의 25번째 아들로 2015년 1월 23일 이복형 압둘라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가 세상을 떠나자 81세의 나이로 즉위하였다. 하지만 즉위했을 때가 이복형처럼 81세라 앞으로 얼마나 왕위를 이어갈 수 있을지 모른다. 일단 본인은 아직 정정한 상태다.[2] 사우디아라비아전제군주제 국가여서 지금도 왕에게 실권이 있고, 현재 사우디의 고위관료들이 대부분 왕족임을 고려하면, 앞으로 아랍국가들의 정세에 큰 핵심 축이 될 인물이다.

한술 더 떠서, 사우디아라비아국방장관이 살만 국왕의 아들 무함마드 빈 살만이다. 더군다나 블라디미르 푸틴이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와 회담했을때는 평소와 달리 일찍 도착했다고 한다.[3]

또, 무함마드 빈 살만은 1985년생으로 1935년생인 살만 국왕과 무려 50세 차이가 난다.[4] 사실 그래도 13명의 자녀 중에서 7째다. 막내의 나이가 정확하게 밝혀지지는 않았는데 전임 국왕인 1924년생 압둘라 국왕의 막내가 2005년생이고 이보다 어린 것으로 추정된다.

파일:PR-1999-0249-002.jpg

살만 국왕은 즉위 전에는 왕세자 겸 국방장관이었다. 또한 1963-2011년까지 48년간 리야드주지사로 활동했다. 1999년에는 당시 고건 서울특별시장 초청으로 방한하여 김대중 대한민국 대통령과 면담했는데, 비록 즉위하기 한참 전이었지만 사우디아라비아 국왕(또는 차기 후계자)이 될 인물이 방한하여 대한민국 대통령과 직접 면담한 첫 사례였다.#

살만 국왕은 즉위 후 차기 왕위 계승권자인 초대 국왕 이븐 사우드의 35번째 아들 1945년생 무크린 빈 압둘 아지즈를 왕태제 자리에서 해임하고, 2015년 4월 29일 칙령으로 무함마드 빈 나예프 내무장관을 새 왕태자로 임명했다. 나예프 왕세자는 살만 국왕의 동복형제 나예프 빈 압둘 아지즈의 아들로, 사우디아라비아 초대 왕위 계승 이후 두번째로 왕위 계승에서 세대교체가 이뤄지는 셈이다. 이븐 사우드의 아들 세대는 다들 나이가 너무 들어버렸기 때문에 세대교체 자체는 이미 예측된 부분이지만, 나예프 왕태자가 국왕이 된 후의 왕위계승이 부자상속이 될지 다시 형제상속이 될지는 아직 미지수이다.

게다가 이 세대교체에도 긍정적인 측면만 있는것이 아니라서 초대 이븐 사우드의 왕비들 중 제8비 수다이리 왕비의 소생들로 구성된 수다이리 파벌이 다시 사우디의 정권을 장악한다는 부정적인 측면도 있다. #, # 살만 현 국왕, 파드 5대 국왕, 나예프 현 왕세자의 부친 나예프 왕자는 수다이리 왕비의 소생이며, 전 압둘라 국왕과 해임된 무크린 왕자는 수다이리 왕비의 소생이 아니었다. 문제는 아래 항목에 나온 왕실의 부정부패 대다수가 이 수다이리 파벌과 연관이 있어서... 2017년 6월 21일, 살만 국왕이 제1왕태자이던 조카 나예프를 왕세자 자리에서 쫓아내고 친아들 무함마드 빈 살만을 왕세자로 삼는 칙령을 내렸다. 이에 따라 왕위 계승에 있어서 세대교체는 물론이거니와 부자 상속까지 확정짓게 되었다. #, 기사2

2020년에 담낭 염증으로 입원했다. 수술은 성공적이었다고 한다. # 열흘 만에 퇴원했다. #

2022년 9월 27일에 총리직을 무함마드 빈 살만에게 넘기게 되었다. # 이렇게 하여 명목상 실권자는 살만 국왕이지만 무함마드 빈 살만이 사실상의 실권자가 되었다.

2024년 기준으로 현재 재위 중인 독립국 군주 중 최고령의 군주이며, 이듬해인 2025년에는 재위 10주년과 90세 생일을 맞이한다.

2. 선거 정책

파일:external/gdb.voanews.com/2373536A-687B-4219-B99E-BBDDE5776524_mw1024_s_n.jpg

압둘라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가 여성투표를 2015년에 시행하기로 결정하였고 2015년 12월에 첫 여성 투표가 이루어졌다. 단, 여러 정책으로 인해 남성 유권자가 참가하는 대면 유세를 하지 못하는 등 선거 운동에 제한이 많았으며, 특히 여성 후보들은 남성 친척들을 통해서만 남성 유권자들과 간접 대화를 할수 있다.

또한 당선되더라도 지방의회 의원의 역할이 대단히 제한적이다. 지방의회는 예산을 다룰 권한이 없고 쓰레기 처리나 정원 규모 제한 같은 단순한 업무만 처리한다. 또한 사우디 정부가 여성이 운전할 권리를 주장했던 사우디 여성들을 후보 심사에서 탈락시키기도 했다.[5]

영국 일간 인디펜던트는 압둘라에 의해서 실시된 사우디아라비아의 첫 여성투표를 논하면서 2015년 12월 14일 '우리는 왜 사우디 여성 참정권을 축하하지 못하는가'라는 기사를 통해 사우디의 정책에 대해 비판 했으며 국제 인권단체 휴먼라이츠워치(HRW)도 사우디아라비아를 비난했다. 기사

3. 종교 정책

사우디아라비아 여성은 백화점엔 여성 탈의실이 없어서 화장실에서 옷을 갈아입어야 하며[6], 생리 중일 때는 코란에 손을 댈 수 없다. 외출할 때는 아바야[7]로 온몸을 가려야 하고, 혼자 은행 계좌 개설도 안 되며, 2018년 법 개정 전까지는 세계에서 유일하게 여성의 운전이 금지되는 나라였다.[8] 대학 졸업과 직업은 허용되긴 하지만 학교에 등록하거나 직업을 구하거나 해외 여행을 가는 등 기본 생활 영위에 대해서도 남편이나 아버지, 남자 형제의 허락을 받아야 한다.

또한 여성들은 낯선 남성과 대화는 물론 함께 자리를 하는 것도 금기시된다. 그래서 쇼핑몰이나 거리같은 공공장소에서 남성과 여성이 나란히 있는데 왠지 부부가 아닌 것 같으면 여지없이 종교경찰이 나타나 신분증 제시를 요구한다. 만약 부부가 아닐 경우 자국인은 철창행에 처해지며, 외국인은 추방을 당한다고 한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이슬람 율법을 엄격히 해석하고 적용해서 살인, 강간, 마약 밀수뿐만 아니라 간통, 배교와 같은 범죄에 대해 사형을 선고하고 있다. 또한 18살 미만 청소년 범죄자들에 대해서도 사형 집행을 하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사형집행 대부분은 참수로 이뤄지며, 이들 중 일부는 화형을 당하기도 한다. 또한 사우디아라비아 정부는 범죄를 예방한다는 등의 구실로 사형당한 시체의 일부를 대중에게 공개하기도 한다.

다만 이게 죄가 확실한 사람이 처벌받는 게 아니라 고문까지 하면서 죄를 뒤집어 씌워서 죽이는 사례가 있다는 점이다. 국제 엠네스티는 사우디아라비아가 수감자들에게 별의 별 무자비한 고문을 통해 억지로 자백을 받아내고, 사형선고를 내린다고 비판하고 있다. 실제로 2014년 8월 사우디아라비아 당국은 두 형제를 대마초 밀수 혐의로 붙잡아 무자비한 고문을 한 뒤 자백을 받아냈고 결국 이 형제는 사형을 선고 받았다. 국제 앰네스티는 사실확인을 위해 사우디 내무부와 법무부 장관들과 접촉하려 했으나 아무 답변도 듣지 못했으며, 사우디아라비아 당국은 이러한 일들이 알려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 앰네스티 소속 연구원들의 입국을 불허하고 있다. 기사

국제 인권단체인 앰네스티는 사우디에서 2015년 들어서 최소 151명이 사형됐다며 이 수치는 20년 만에 가장 많은 수준이라고 밝혔다. 또한 지난 30년 동안 이런 식으로 사형집행을 받은 범죄자 중 절반이 외국인인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국제 앰네스티는 이렇게 많은 외국인들이 사형당한 이유가 많은 사형수들이 아랍어가 서툴러 법원에서 재판상황을 알아듣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특히나 2012년 3월에 겨우 15살의 나이에 정부 반대 시위행렬에 참여했다는 이유로 체포된 압둘라 알자헤르가 무자비한 고문을 당했으며 곧 참수형을 당할 것으로 보인다는 보도도 나온다.

무타와들의 권한이 축소되는 등 통제가 완화되어가고 있기는 한데 유가하락으로 복지혜택을 축소하는 바람에 청년실업률도 높아져서 반발여론이 거세지자 사회통제를 완화하는 식으로 수습하는 것이라고 분석된다.

4. 경제

또한 경제 상황도 매우 좋지 않은 상황에 처해있는데, 사우디아라비아의 재무부 발표에 따르면 사우디는 2015년에 3670억 리얄[9]에 달하는 재정적자를 기록했다고 한다. 이렇게 저유가가 계속됨으로 인해 2015년 말에는 전기와 수도 등에 대한 보조금을 삭감하는 등의 긴축 정책을 실시해야 했다.

5. 대(對) 시아파 강경책

즉위하자마자 2015년 3월, 예멘 내전에 개입하여 사우디군을 파병, 후티 반군에게 밀리는 수니파 정부군을 지원하였으나 사우디군보다 장비가 열악한 후티 반군에게 패배를 거듭하며 고전하고 있었다.

2011년 아랍의 봄으로 2011년 바레인 봉기가 발생해 시아파 국민이 준동하는 등 혁명 위기에 빠진 바레인에 대한 군사개입도 선대 국왕의 대를 이어 계속하고 있다.

2016년 새해가 밝자마자 1월 2일 시아파 지도자 니므르 알니므르(Nimr al-Nimr)를 반(反) 정부 시위 및 테러 주도 혐의로 알 카에다 테러리스트들과 함께 처형해버렸고, 이에 분노한 이란 시아파 강경 보수파 시위대가 이에 항의해서 사우디 대사관과 총영사관을 공격해 분쟁이 일어나게 되었다.

아랍의 봄 당시 시리아 내전으로 내전에 돌입한 시리아에서 살라프파 계열 알 누스라 전선이슬람주의 무장단체 아흐라르 알 샴이 주도하던 수니파 반군 연합체 정복의 군대를 사우디아라비아가 후원해 서방을 당황시키기도 했다.#

1월 6일 사우디는 이란과의 국교 단절을 선언했다. 이후 진행은 사우디아라비아-이란 분쟁 항목 참조.

파일:external/image.munhwa.com/2016010501070421301001_b.jpg
이러한 강경한 대(對) 이란 외교 노선은 살만 국왕의 묵인 하에 국방장관 무함마드 빈 살만의 주도하에 이루어지고 있다는 분석이 있다. 무함마드는 살만 왕의 아들로 2015년 4월 제2 왕위 계승자에 올랐는데 성격이 거칠고 돌출적이라는 평가가 곳곳에서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세이소 왕조
빌럼알렉산더르 하랄 5세 프레데리크 10세 레치에 3세
테멩공 가문
앙리 한스아담 2세 이브라힘 이스칸다르 알베르 2세
모하메드 6세 하마드 빈 이사 알할리파 프란치스코 필리프
볼키아 왕조
지그메 케사르 남기엘 왕축 하사날 볼키아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칼 16세 구스타프
펠리페 6세 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나얀 조안엔리크 비베스 이 시실리아 에마뉘엘 마크롱
들라미니 왕조
음스와티 3세 찰스 3세 하이삼 빈 타리크 알사이드
노로돔 왕조
압둘라 2세 나루히토 타밈 빈 하마드 알사니 노로돔 시아모니
미샬 알아흐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라마 10세 투포우 6세
왕위 계승자 · 대통령 및 총통 · 공산국가 지도부
총리 및 수상
}}}}}}}}}

[1] 사우디 이름에 들어가있는 뜻은 아버지 이름, 할아버지 이름, 가문, 출신지역, 이름이 포함되어 있다. '빈'이 많이 들어가 있는데, 뜻은 "~의 아들"이라는 뜻이고, 압둘은 ~의, 또는 the와 같은 의미이다. 따라서 해석상 사우드의 무함마드의 압둘라의 투르키의 파이살의 라흐반의 압둘아지즈 살만이다. 대부분의 이슬람 왕국의 군주의 이름에는 무함마드가 있는데, 이것은 무함마드는 알라(이슬람 신)의 사도로, 그의 이름을 따름으로써 자신은 '이슬람의 대가이다'라는 것을 표현한다.[2] 사우드 왕가 사람들이 장수하는 편이긴 하지만 원래 사람의 자연사란 개인차가 큰지라, 아무리 좋은 의료 서비스를 받으며 산다 하더라도 대략 확실한 장수노인으로 쳐주는 70 ~ 80세부터는 언제 돌연사해도 이상하지 않다.[3] 푸틴은 정상회담때 지각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도널드 트럼프와의 회담때도 지각할 정도다. 이때 당시 푸틴이 정치적인 의도로 20분 늦게 도착하였으나 트럼프는 뛰는 놈 위에 나는 놈이라고 그보다 20분 더 뒤에 나타나는 일이 있었다.[4] 무함마드는 3번째 왕비의 소생이다. 왕비가 낳은 6자녀 중 장남이다.[5] 다만 3년 뒤인 2018년에 여성 운전을 허용하긴 했다.[6] 심지어 옷을 갈아입고 그 옷이 어울리는지 지켜보는 것조차 금지하는데 일단 사놓고 집에 가서 입어본 뒤 마음에 안 들거나 사이즈가 다르면 환불하거나 교환을 하러 또 와야 한다.[7] 이슬람 여성의 전통 의상[8] 금지할 당시 여성운전이 허용된 오만이나 쿠웨이트 등 이웃 아랍국가 출신 여성들까지도 사우디 국경 지역에서 차를 타고 사우디로 육로 입국을 하려다가 국경 검문소의 사우디 군인들에 의해 여성의 운전을 금지하는 법규를 위반했다고 입국을 불허하기도 했다.[9] 약 114조 3860억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