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1c63, #032ea1 20%, #032ea1 80%, #011c63); color: #F0D657;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 착토묵 시대 | |||
<rowcolor=#F0D657>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
보롬 리치아 2세 | 나라야나 라마티파티 | 리치아 라마티파티 | 스리 스리요티 2세 | |
<rowcolor=#F0D657> 제5대 | 제6대 | |||
토모 레차 1세 | 스리 스콘토르 | |||
롱벡 시대 | ||||
<rowcolor=#F0D657> 제7대 | 제8대 | 제9대 | 제10대 | |
네이 칸 | 앙 찬 1세 | 보롬 레차 1세 | 사타 1세 | |
<rowcolor=#F0D657> 제11대 | ||||
체이 체타 1세 | ||||
스레이 산토르 시대 | ||||
<rowcolor=#F0D657> 제12대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
프레아 람 1세 | 프레아 람 2세 | 보롬 레차 2세 | 보롬 레차 3세 | |
<rowcolor=#F0D657> 제16대 | 제17대 | |||
카에브 후아 1세 | 보롬 레차 4세 | |||
우동 시대 | ||||
<rowcolor=#F0D657> 제18대 | 제19대 | 제20대 | 제21대 | |
체타 2세 | 토모 레차 2세 | 앙 통 레차 | 보톰 레차 | |
<rowcolor=#F0D657> 제22대 | 제23대 | 제24대 | 제25대 | |
레메아 티피티 1세 | 보롬 레차 5세 | 체타 3세 | 프레아 케오 2세 | |
<rowcolor=#F0D657> 제26대 | 제27대 | 제28대 | 제29대 | |
앙 논 | 체타 4세 | 떼이여성 | 우떼이 1세 | |
<rowcolor=#F0D657> 제30대 | 제31대 | 제32대 | 제33대 | |
앙 엠 | 토모 레차 3세 | 사타 2세 | 토모 레차 4세 | |
<rowcolor=#F0D657> 제34대 | 제35대 | 제36대 | 제37대 | |
앙 통 | 체타 5세 | 우떼이 2세 | 앙 논 2세 | |
<rowcolor=#F0D657> 제38대 | 제39대 | 제40대 | 제41대 | |
앙 엥 | 앙 찬 2세 | 앙 메이여성 | 앙 두옹 | |
프랑스령 캄보디아 | ||||
<rowcolor=#F0D657> 노로돔 왕조 | 시소와스 왕조 | 노로돔 왕조 | ||
노로돔 | 시소와스 | 시소와스 모니봉 | 노로돔 시아누크 | |
캄보디아 제1왕국 | ||||
<rowcolor=#F0D657> 노로돔 왕조 | 시소와스 왕조 | |||
노로돔 수라마리트 | 시소와스 코사막여성 | |||
캄보디아 제2왕국 | ||||
<rowcolor=#F0D657> 노로돔 왕조 | ||||
노로돔 시아누크복위 | 노로돔 시아모니 | |||
<rowcolor=#F0D657> 푸난 · 첸라 · 크메르 · 캄보디아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세이소 왕조 | ||||
빌럼알렉산더르 | 하랄 5세 | 프레데리크 10세 | 레치에 3세 | |
테멩공 가문 | ||||
앙리 | 한스아담 2세 | 이브라힘 이스칸다르 | 알베르 2세 | |
모하메드 6세 | 하마드 빈 이사 알할리파 | 레오 14세 | 필리프 | |
볼키아 왕조 | ||||
지그메 케사르 남기엘 왕축 | 하사날 볼키아 |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 칼 16세 구스타프 | |
펠리페 6세 | 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나얀 | 주제프류이스 세라노 이 펜티나트 | 에마뉘엘 마크롱 | |
들라미니 왕조 | ||||
음스와티 3세 | 찰스 3세 | 하이삼 빈 타리크 알사이드 | ||
노로돔 왕조 | ||||
압둘라 2세 | 나루히토 | 타밈 빈 하마드 알사니 | 노로돔 시아모니 | |
미샬 알아흐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 라마 10세 | 투포우 6세 | ||
왕위 계승자 · 대통령 및 총통 · 공산국가 지도부 총리 및 수상 | }}}}}}}}} |
1. 개요
캄보디아 국왕은 캄보디아의 국가원수 칭호이며, 현재 노로돔 시아모니 국왕이 재위하고 있다. 왕통 자체는 크메르 제국 이래 쭉 이어오고 있다.2. 권한
전성기인 크메르 제국 시절에는 신왕(데바라자)[1]이라고 칭할 정도로 높은 권위와 절대권력을 동시에 가진 존재였다. 프랑스로부터 독립한 이후 입헌군주제를 실시한 캄보디아 제1왕국(1953 ~ 1970) 시절에도 옆나라 태국 국왕 이상으로 막강한 권력을 가졌고, 실권이 없어진 지금도 헌법상으로는 상당한 권한이 있다.명목상으로는 총리와 부총리 및 장관을 임명하고 의회에서 통과된 법에 대한 재가할 권한을 비롯해 캄보디아군 최고통수권, 대법원 판사ㆍ헌법위원회 위원 임명권, 국가선거관리위원회 위원 임명권, 경찰청장ㆍ국세청장ㆍ관세소비세청장ㆍ검찰형사총장ㆍ기타 정부부처 산하기관장ㆍ캄보디아 적십자사 회장ㆍTVK 회장ㆍTVR 회장ㆍ주지사 임명권을 가지고 있다.
현대에는 실질적으로 훈 센 전 총리와 그의 뒤를 이은 훈 마넷 총리가 절대권력을 쥐고 있어 헌법에 명시된 국왕의 권한은 명목에 불과하다. 국왕의 여러 권한도 총리와 내각의 권고에 따라서만 행사된다. 오히려 노로돔 시아모니 국왕은 왕궁에 유폐된 채 감시를 받는 부자유한 삶을 살고 있으며, 왕궁 밖에서 열리는 행사에 참석하거나 해외순방을 할 때도 항상 감시자들이 따라붙는다.
3. 국왕 선거
대부분의 군주국에서 왕위가 세습인 것과 달리 캄보디아는 선거군주제를 채택하고 있다. 국왕은 스스로 후계자를 지명할 수 없고 국왕 사후나 생전 퇴위 후에 차기 국왕을 선출한다. 그래도 선출직 공무원이 아닌 엄연한 군주이라서 종신직이다.물론 대통령제처럼 일정 연령 이상의 국민이면 누구나 선출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노로돔 왕조와 시소와스 왕조라는 두 왕가의 30세 이상 남성 구성원들만 피선거권을 가진다.[2]
국왕은 총리와 원로원 ㆍ국회의장 및 부의장, 승왕[3] 등 9명으로 구성된 왕권왕립위원회에서 선출한다. 그러나 캄보디아는 전 총리 훈 센과 그의 아들 훈 마넷 총리가 철권을 휘두르는 독재 국가라서 총리를 제외한 위원들은 무조건 찬성표를 던지는 거수기에 불과하다. 실질적으로는 훈 센 부자(父子)의 이해관계에 맞는 왕족 1명이 단독 후보로 출마해서 당선되는, 사실상 추대에 가깝다.
아직까지는 노로돔 왕조 출신만이 국왕 선거에서 당선되었지만, 훈 센 총리 또는 그 후계자[4]의 결정에 따라 시소와스 왕조 출신이 왕위에 오를 가능성도 있다.
4. 역대 국왕
4.1. 프놈 (부남)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5e00, #008000 20%, #008000 80%, #005e00); 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소마 여왕 | 카운디냐 1세 | 혼반황 | 혼반반 | |
<rowcolor=#fff> 제5대 | 제6대 | 제7대 | 제8대 | |
범사만 | 범금생 | 범전 | 범장 | |
<rowcolor=#fff> 제9대 | 계보 미상 | 제?대 | 계보 미상 | |
범심 | 찬다나 | |||
<rowcolor=#fff> 제?대 | 제?대 | 계보 미상 | 제?대 | |
카운디냐 2세 | 슈리 인드라바르만 | 자야바르만 카운디냐 | ||
<rowcolor=#fff> 제?대 | 제?대 | |||
쿨라프라바바티 여왕 | 루드라바르만 | |||
<rowcolor=#fff> 푸난 · 첸라 · 크메르 · 캄보디아 | }}}}}}}}}}}} |
4.2. 첸라 (진랍)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198a84 0%, #20B2AA 20%, #20B2AA 80%, #198a84); color: #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진랍 |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제5대 | |
<rowcolor=#000> 슈루타바르만 | 슈레슈타바르만 | 비라바르만 | 캄부자라자 락슈미 여왕 | 바바바르만 1세 | |
제6대 | 제7대 | 제8대 | 제9대 | 제10대 | |
<rowcolor=#000> 마헨드라바르만 | 이샤나바르만 1세 | 바바바르만 2세 | 자야바르만 1세 | 자야데비 여왕 | |
수진랍 | |||||
제11대 | 제12대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
<rowcolor=#000> 푸슈카락샤 | 샴부바르만 | 라젠드라바르만 1세 | 마히파티바르만 | 자야바르만 2세 | |
샴부푸라 | |||||
제11대 | 제12대 | 제13대 | 제14대 | ||
<rowcolor=#000> 인드라니 여왕 | 느르파텐드라데비 여왕 | 자옌드라바 여왕 | 지에슈타리아 여왕 | ||
푸난 · 첸라 · 크메르 · 캄보디아 | }}}}}}}}}}}} |
4.3. 크메르 제국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크메르 제국#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크메르 제국#|]]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55752e 0%, #6F993C 20%, #6F993C 80%, #55752e); color: #fff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제5대 |
자야바르만 2세 | 자야바르만 3세 | 인드라바르만 1세 | 야소바르만 1세 | 하르샤바르만 1세 | |
제6대 | 제7대 | 제8대 | 제9대 | 제10대 | |
이샤나바르만 2세 | 자야바르만 4세 | 하르샤바르만 2세 | 라젠드라바르만 2세 | 자야바르만 5세 | |
제11대 | 대립 | 제12대 | 제13대 | 제14대 | |
우다야디티야바르만 1세 | 자야비라바르만 | 수리야바르만 1세 | 우다야디티야바르만 2세 | 하르샤바르만 3세 | |
제15대 | 제16대 |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
자야바르만 6세 | 다란인드라바르만 1세 | 수리야바르만 2세 | 다란인드라바르만 2세 | 야소바르만 2세 | |
제20대 | 제21대 | 제22대 | 제23대 | 제24대 | |
트리부바나디티야바르만 | 자야바르만 7세 | 인드라바르만 2세 | 자야바르만 8세 | 인드라바르만 3세 | |
제25대 | 제26대 | 제27대 | 제28대 | 제29대 | |
인드라자야바르만 | 자야바르만 9세 | 트라사크 파엠 | 니피안 바트 | 롬퐁 리치아 | |
제30대 | 제31대 | 제32대 | 제33대 | 제34대 | |
소랴봉 | 보롬 리치아 1세 | 토마 사오크 | 인 리치아 | 보롬 리치아 2세 | |
푸난 · 첸라 · 크메르 · 캄보디아 | }}}}}}}}}}}} |
4.4. 후기 크메르 왕국
이 당시에도 크메르 제국의 왕통 자체는 계속 이어졌으며 아래의 시대 구분은 왕조 교체가 아니라, 일본의 나라 시대, 헤이안 시대처럼 수도 이전에 따른 시대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짝또묵 시대 (1431년 ~ 1525년)
- 롱 벡 시대 (1525년 ~ 1594년)
- 스레이 산토르 시대 (1594년 ~ 1620년)
- 우동 시대 (1620년 ~ 1863년)
4.5. 프랑스령 캄보디아
이 당시의 왕들은 프랑스의 허수아비로 전락한 상태였으며, 크메르 제국 시절부터 단일 혈통으로 이어지던 캄보디아 왕실은 노로돔 왕조와 시소와스 왕조라는 두 계통으로 분열되었다.4.6. 캄보디아 왕국(괴뢰국)
일본 제국이 시아누크 국왕에게 독립을 선언하게 하여 수립한 괴뢰국이다.- 초대: 노로돔 시아누크 (1945년)
4.7. 프랑스령 캄보디아
전후 일본이 철수한 뒤 프랑스가 귀환하여 다시 캄보디아를 식민지화했다.- 4대: 노로돔 시아누크 (1945년 ~ 1953년)
4.8. 캄보디아 제1왕국
프랑스로부터 독립하면서 캄보디아 역사상 최초로 입헌군주제가 실시되었는데, 시아누크는 헌법 제정 이후에도 계속 실권을 장악했다.4.9. 캄보디아 왕실연합정부
론 놀의 쿠데타로 인해 크메르 공화국이 수립되자, 시아누크 전 국왕이 국외로 도피하여 수립한 망명정부다.- 초대: 노로돔 시아누크 (1970년 ~ 1976년)
4.10. 캄보디아 제2왕국 (현재)
1993년 왕정복고가 실현되면서 시아누크가 복위했는데, 이전과는 달리 실권은 전혀 행사할 수 없게 되었고, 캄보디아 역사상 최초로 선거군주제가 실시되었다.[1] 데바(신) + 라자(왕)[2] 두 가문은 본래 한 가문이었지만, 프랑스의 식민지배 당시 두 계통으로 갈라져서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3] 캄보디아 불교의 수장[4] 훈 센이 노로돔 시아모니 국왕보다 1살 많아서 노로돔 시아모니 이후의 국왕은 훈 센 사후에 결정될 가능성이 있다.[5] 노로돔의 이복동생인데, 프랑스에 의해 노로돔의 자식들을 제치고 왕으로 추대되었다.[6] 노로돔 왕의 증손자이자 시소와스 모니봉 왕의 외손자로서 왕위를 계승했다.[7] 노로돔 왕의 손자이자 시아누크의 아버지인데, 아들에게 양위받아 왕으로 즉위했다.[8] 시소와스 코사막은 시소와스 모니봉 왕의 딸이자 수라마리트 왕의 아내, 시아누크 왕의 어머니라서 아버지, 남편, 아들이 모두 왕이었던 인물이다. 수라마리트 사후 실권을 장악하고 있던 시아누크 전 국왕은 자신이 복위하거나 어머니 코사막이 전권을 가진 여왕이 되는 대신에 어머니에게 의례적인 군주 역할만 맡겼다. 그리고 시아누크 자신은 국가원수라는 직함으로 취임하여 사실상 다시 왕이 된 것과 다름이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