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2 20:44:00

알리 알시스타니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생존 중인 마르자에 타끌리드만 나이 순으로 정렬
<rowcolor=#fff> 1 2 3 4
#!if 이름="style=\"margin: 0 -10px; font: 1em/1 monospace; font-family: revert\""
#!wiki 
[[호세인 바히드 호라사니]]
#!wiki 
[[호세인 누리 하마다니]]
#!wiki 
[[나세르 마카렘 쉬라지]]
#!wiki 
[[무사 샤비리 잔자니]]
<rowcolor=#fff> 5 6 7 8
#!wiki 
모하마드 라마티 시르자니
#!wiki 
자파르 소바니
#!wiki 
[[알리 알시스타니]]
#!wiki 
무하마드 이스하크 알파야드
<rowcolor=#fff> 9 10 11 12
#!wiki 
무하마드 타키 마즐레시 이스파하니
#!wiki 
압돌라 자바디아몰리
#!wiki 
호세인 마자헤리
#!wiki 
모하마드 에브라힘 잔나티
<rowcolor=#fff> 13 14 15 16
#!wiki 
알리 모하마드 다스트게이브 시라지
#!wiki 
미르자 야돌라 두즈두자니
#!wiki 
샴소딘 배지
#!wiki 
모하마드 알리 제라미 코미
<rowcolor=#fff> 17 18 19 20
#!wiki 
카짐 후세이니 알하에리
#!wiki 
모하마드 메흐디 칼레시
#!wiki 
[[알리 하메네이]]
#!wiki 
알리 아스가르 라히미 아자드
<rowcolor=#fff> 21 22 23 24
#!wiki 
야수베딘 야스테가르 주이바리
#!wiki 
모하마드 모하마드 타헤르 알레쇼바이르 카카니
#!wiki 
칼릴 쿠드시 메르 타브레지
#!wiki 
사디크 후세이니 시라지
<rowcolor=#fff> 25 26 27 28
#!wiki 
아사돌라 바야트 잔자니
#!wiki 
도스티 잔자니
#!wiki 
알리 카리미 자흐로미
#!wiki 
바시르 후세인 나자피
<rowcolor=#fff> 29 30 31 32
#!wiki 
누리 하팀 사디
#!wiki 
모하마드 타키 알모다레시
#!wiki 
알리 아스가르 다스트게이브
#!wiki 
아흐마드 하사니 바그다디
<rowcolor=#fff> 33 34 35 36
#!wiki 
알라에딘 고라이피
#!wiki 
모하마드 호세이니 잔자니
#!wiki 
살레 태에이
#!wiki 
알리 알살레
<rowcolor=#fff> 37 38 39 40
#!wiki 
자바드 알라비 보루제르디
#!wiki 
모하마드 아민 마마카니
#!wiki 
자와드 칼레시
#!wiki 
칼릴 모바셰르 카샤니
<rowcolor=#fff> 41 42 43 44
#!wiki 
후세인 에스마엘 알사드르
#!wiki 
파젤 말레키
#!wiki 
알리 하사니 바그다디
#!wiki 
모하마드 야스레비
<rowcolor=#fff> 45 46 47 48
#!wiki 
카말 하이다리
#!wiki 
모하마드 하디 가잔파리 칸사리
#!wiki 
무흐신 호자트 카불리
#!wiki 
모하마드 아민 호라사니
<rowcolor=#fff> 49 50 51 52
#!wiki 
모하마드 야쿠비
#!wiki 
레자 호세이니 나삽
#!wiki 
카셈 태에이
#!wiki 
모하마드 바쿼르 모바헤디 나자피
<rowcolor=#fff> 53
#!wiki 
모하마드 알사나드
#!wiki 
#!wiki 
#!wiki 
}}}}}}}}}

종교별 최고 지도자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기독교 가톨릭
정교회
콥트 정교회
성공회
구세군
이슬람 수니파
알아즈하르 대이맘파일:1px 투명.svg아흐메드 알타예브
시아파
이바디파
오만 대 무프티파일:1px 투명.svg아흐메드 빈 하마드 알칼릴리
유대교
세파르딤 최고 랍비파일:1px 투명.svg다비드 요세프
불교 티베트 불교
젭춘담바 후툭투파일:1px 투명.svg알탄나링 아귀다이

제켄포파일:1px 투명.svg지그메 초에다
상좌부 불교
태국 승왕파일:1px 투명.svg솜뎃 프라 마하 무니웡

캄보디아 승왕파일:1px 투명.svg부 크리, 논 넷
대승 불교
정토진종 문주파일:1px 투명.svg오타니 코준
원불교
시크교 }}}}}}}}}
<colbgcolor=#000000><colcolor=#fff> 대아야톨라 세예드
알리 알시스타니
سيد علی حسينی سيستانی[1]
파일:아야톨라 알시스타니.jpg
출생 1930년 8월 4일 ([age(1930-08-04)]세)
이란 제국 호라산 주 마슈하드
재임기간 이라크의 무슬림 지도자 겸
나자프 신학교 총장
1993년 ~ 현재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000><colcolor=#fff> 본명 알리 빈 무함마드 바키르 빈 알리 알후세이니 알시스타니
علي بن محمّد باقر بن علي الحُسَيني السيسْتاني
부모 아버지 무함마드 바키르 알시스타니
어머니[2]
자녀 무함마드 리다 알시스타니 外 1명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란|{{{#!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란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란}}}{{{#!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종교 이슬람 (시아파 / 12이맘파)
스승 후사인 보루예르디
아부 알카심 알코에이[3]
언어 아랍어, 페르시아어, 영어 }}}}}}}}}

1. 개요2. 생애3. 여담4. 둘러보기

1. 개요

이란 출신의 이슬람 시아파 최고 지도자. 이라크 나자프 지역을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다.

2. 생애

팔라비 왕조 시절, 마슈하드에서 한 성직자 집안의 아들로 태어났다.

어릴 때는 마슈하드에서 아버지에게 종교 교육을 받았고, 이후 에서 아야톨라 후사인 보루예르디에게 교육을 받았다.

나중에는 이라크 나자프로 건너가 아야톨라 아부 알카심 알코에이의 아래에서 교육을 받았고, 알코에이의 사후 그의 후계자로서 알코에이의 기반이었던 나자프를 거점으로 활동하게 된다.

바트주의 이라크 시절에는 수니파교도인 바트당 독재자 사담 후세인의 통치 아래에서 많은 시아파 성직자들이 구금, 살해, 탄압당했는데, 알시스타니의 경우에는 그가 운영하던 모스크가 1994년에 폐쇄되어 2003년 미국의 이라크 침공 전까지 운영되지 못했다고 한다.

이라크 전쟁 이후에는 이라크 내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중 하나로 여겨졌고, 그 뿐만 아니라 전세계 시아파 교계에 큰 영향을 끼치며 사실상 시아파 무슬림들의 영적 지도자로 평가받는다.
파일:세예드 알시스타니-프란치스코 교황.jpg
세예드 알리 알시스타니와 프란치스코 교황

시아파 이슬람의 원로 학자 중 한 명으로서 2021년 교황의 이라크 방문 기간 당시 프란치스코 교황과 만났다.

3. 여담

  • 이란에서 태어나 이라크로 활동 기반을 옮겼고, 이란으로부터 독립해 생활하고 있지만 국적은 계속 유지하고 있다. 때문에 선거권이 없어 이라크 정치 사회 영향을 끼치면서도 총선에서 투표하지 못한다.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025년 선정
1위 2위 3위 4위 5위
압둘라 2세 하비브 우마르 빈 하피즈 타밈 빈 하마드 알사니 알리 하메네이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6위 7위 8위 9위 10위
타키 우스마니 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나얀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알리 알시스타니 모하메드 6세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살만 알아우다 무함마드 빈 살만 알사우드 아흐마드 알타예브 마흐무드 마다니 안와르 이브라힘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사아두 아부바카르 압둘라 빈 바이야 프라보워 수비안토 야흐야 촐릴 스타쿠프 압델 파타 엘 시시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알리 고마 알리 알지프리 이브라힘 칼른 함자 유수프 아흐마드 티자니 알리 시세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우사마 알하즈하리 압둘 말리크 알후티 무스타파 호스니 압둘아지즈 알셰이크 일함 알리예프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루트피 빈 야흐야 타리크 자밀 무함마드 알야쿠비 호세인 나스르 사미아 술루후 하산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아가 칸 4세 우스만 타하 라시드 간누시 모하메드 살라 무크타다 알사드르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나자르 라흐만 티모시 윈터(압달하킴 무라드) 이브라힘 살레 알후사이니 하이바툴라 아훈드자다 일리야스 카디리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사이드 무함마드 나키브 알아타스 아므르 할리드 무스타파 아부 스와이 야히야 신와르 무함마드 유누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지명 인물 펼치기 · 접기 ]
압둘라 자와디 아물리 무함마드 알파야드 아리프 알리 나예드 아크바르 아흐마드 잉그리드 맷슨
마흐무드 압바스 조코 위도도 임란 칸 사디크 칸 사누시 라미도 사누시
아불 카심 노마니 무함마드 알비샤리 누 켈러 무함마드 알아리피 자키르 나이크
아헤드 타미미 루자인 알하틀룰 말랄라 유사프자이 사미 유수프 압둘라흐만 알수다이스
비산 오우다 사디오 마네 하빕 누르마고메도프 }}}}}}
The Muslim 500 선정
}}}}}}}}} ||


[1] 영어: Ali al-Sistani[2] 리다 알메레바니 알사라비의 딸.[3] 아야톨라 알코에이 사후, 알시스타니가 그의 제자로서 정신적 후계자로 인정받았고, 알코에이 생전 그를 따르던 사람들과 코에이가 가졌던 영향력을 대부분 물려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