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E674E, #008751 20%, #008751 80%, #2E674E); color: #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제1공화국 | |||
<rowcolor=#fff> 초대 | ||||
은남디 아지키웨 | ||||
군사 정권 | ||||
<rowcolor=#fff> 제2대 | 제3대 | 제4대 | 제5대 | |
존슨 아구이이론시 | 야쿠부 고원 | 무르탈라 무하메드 | 올루세군 오바산조 | |
제2공화국 | ||||
<rowcolor=#fff> 제6대 | ||||
셰후 샤가리 | ||||
군사 정권 | ||||
<rowcolor=#fff> 제7대 | 제8대 | 제9대 | 제10대 | |
모하마두 부하리 | 이브라힘 바방기다 | 어니스트 쇼네칸 | 사니 아바차 | |
<rowcolor=#fff> 제11대 | ||||
압둘살라미 아부바카르 | ||||
[[나이지리아| 제4공화국 ]] | ||||
<rowcolor=#fff> 제12대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
올루세군 오바산조 | 우마루 야르아두아 | 굿럭 조너선 | 모하마두 부하리 | |
<rowcolor=#fff> 제16대 | ||||
볼라 티누부 | }}}}}}}}}}}} |
나이지리아 연방 공화국 제7·15대 대통령 모하마두 부하리 Muhammadu Buhari | |||
| |||
<colbgcolor=#008751><colcolor=#fff> 출생 | 1942년 12월 17일 | ||
영국령 나이지리아 북부주 다우라 (現 나이지리아 카치나주 다우라) | |||
사망 | 2025년 7월 13일 (향년 82세) | ||
영국 런던 | |||
재임기간 | 제7대 대통령 | ||
1983년 12월 31일 ~ 1985년 8월 27일 | |||
제15대 대통령 | |||
2015년 5월 29일 ~ 2023년 5월 29일 | |||
링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8751><colcolor=#fff> 배우자 | 사피나투 부하리 (1971년 결혼 ~ 1988년 이혼) 아이샤 부하리 (1989년 결혼) | |
자녀 | 10명 | ||
학력 | 나이지리아 국립사관학교 몬스 장교 생도 학교 미국 육군참모대학교 | ||
정당 | [[전진보회의| 전진보회의 ]] | ||
군사 경력 | |||
복무 | 나이지리아군 | ||
1962년 ~ 1985년 | |||
최종 계급 | 소장 | ||
참전 경력 | 나이지리아 내전 차드-나이지리아 전쟁 | }}}}}}}}} |
1. 개요
나이지리아의 제7·15대 대통령.2. 생애
풀라족 추장 출신 아버지와 카누리족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나이지리아는 북부의 무슬림 하우사족과 남부의 기독교인 요루바족과 이보족이 3대 세력으로 갈라져 종교/민족적으로 갈등을 빚는 상황인데, 이런 상황에서 제3자를 중재할 만한 또 다른 인물로 풀라족-카누리족 출신인 부하리가 대통령이 되었다.이름 부하리(Buhari)는 오늘날 우즈베키스탄 부하라(Bukhara) 출신 하디스 수집가 무함마드 빈 이스마일(محمد بن إسماعيل)의 존칭 알 부하리(Al Bukhari; البخاري)에서 따온 이름이다.
2023년 대선에는 불출마하였으며, 같은 '전진보회의'당의 볼라 티누부 후보가 대통령에 당선되면서 '전진보회의'의 정권 연장을 이룩했다. 이로써 그는 쿠데타로 집권한 독재 정권과 국민의 투표로 뽑힌 민주 정권을 전부 이끌어보게 되었다.
2025년 7월 13일, 향년 82세로 사망했다.#
3.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025년 선정 | ||||||||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압둘라 2세 | 하비브 우마르 빈 하피즈 | 타밈 빈 하마드 알사니 | 알리 하메네이 |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 |||||
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타키 우스마니 | 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나얀 |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 알리 알시스타니 | 모하메드 6세 | |||||
11위 | 12위 | 13위 | 14위 | 15위 | |||||
살만 알아우다 | 무함마드 빈 살만 알사우드 | 아흐마드 알타예브 | 마흐무드 마다니 | 안와르 이브라힘 | |||||
16위 | 17위 | 18위 | 19위 | 20위 | |||||
사아두 아부바카르 | 압둘라 빈 바이야 | 프라보워 수비안토 | 야흐야 촐릴 스타쿠프 | 압델 파타 엘 시시 | |||||
21위 | 22위 | 23위 | 24위 | 25위 | |||||
알리 고마 | 알리 알지프리 | 이브라힘 칼른 | 함자 유수프 | 아흐마드 티자니 알리 시세 | |||||
26위 | 27위 | 28위 | 29위 | 30위 | |||||
우사마 알하즈하리 | 압둘 말리크 알후티 | 무스타파 호스니 | 압둘아지즈 알셰이크 | 일함 알리예프 | |||||
31위 | 32위 | 33위 | 34위 | 35위 | |||||
루트피 빈 야흐야 | 타리크 자밀 | 무함마드 알야쿠비 | 호세인 나스르 | 사미아 술루후 하산 | |||||
36위 | 37위 | 38위 | 39위 | 40위 | |||||
아가 칸 4세 | 우스만 타하 | 라시드 간누시 | 모하메드 살라 | 무크타다 알사드르 | |||||
41위 | 42위 | 43위 | 44위 | 45위 | |||||
나자르 라흐만 | 티모시 윈터(압달하킴 무라드) | 이브라힘 살레 알후사이니 | 하이바툴라 아훈드자다 | 일리야스 카디리 | |||||
46위 | 47위 | 48위 | 49위 | 50위 | |||||
사이드 무함마드 나키브 알아타스 | 아므르 할리드 | 무스타파 아부 스와이 | 야히야 신와르 | 무함마드 유누스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지명 인물 펼치기 · 접기 ] | 압둘라 자와디 아물리 | 무함마드 알파야드 | 아리프 알리 나예드 | 아크바르 아흐마드 | 잉그리드 맷슨 | ||||
마흐무드 압바스 | 조코 위도도 | 임란 칸 | 사디크 칸 | 사누시 라미도 사누시 | |||||
아불 카심 노마니 | 무함마드 알비샤리 | 누 켈러 | 무함마드 알아리피 | 자키르 나이크 | |||||
아헤드 타미미 | 루자인 알하틀룰 | 말랄라 유사프자이 | 사미 유수프 | 압둘라흐만 알수다이스 | |||||
비산 오우다 | 사디오 마네 | 하빕 누르마고메도프 | }}}}}} | ||||||
The Muslim 500 선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