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17 17:48:22

말라야 비상사태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2664, #000 40%, #000 60%, #cc0000)"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국가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33%"
{{{#000,#ddd {{{#!folding [ 자본주의 진영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1세계
맹주
유럽
· · · · · · · · · · · · · · ·
[[튀르키예|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터키 ]]
· ·
아시아 & 오세아니아
· · · · · · · · · · · · · · · · · · · · ·
아프리카
· · · · · · · · · ·
북아메리카
· · · · · · · · · · · · · · · ·
남아메리카
· · · · · · · · ·
}}}}}}}}}}}}
{{{#!folding [ 공산주의 진영 ] 
{{{#!folding [ 비동맹 진영 ] 
}}} ||
<colbgcolor=#222> 주요 사건
제2차 세계 대전 후
(1945~1947)
<colcolor=#000,#ddd>봉쇄정책 · 언싱커블 작전 · 제2차 국공내전 · 철의 장막 · 그리스 내전 · 미소공동위원회 · 트루먼 독트린
전반부
(1947~1969)
마셜 플랜 · 1948년 체코슬로바키아 쿠데타 · 제1차 중동전쟁 · 베를린 봉쇄 · 티토-스탈린 결렬 · 소련의 미국개입유도설 · 6.25 전쟁 · 쿠바 혁명 · 제네트릭스 계획 · 1956년 포즈난 시위 · 1956년 헝가리 혁명 · 제2차 중동전쟁 · 1958년 레바논 위기 · 진먼 포격전 · 스푸트니크 쇼크 · 콩고 내전 · 중소결렬 · U-2 격추 사건 · 1962년 버마 군사반란 · 나는 베를린 시민입니다 · 존 F. 케네디 대통령 암살 사건 · 베트남 전쟁 · 캄보디아 내전 · 피그만 침공 · 쿠바 미사일 위기 · 제3차 중동전쟁 · 68 운동 · 프라하의 봄 · 브레즈네프 독트린 · 우주 경쟁 · 중국-소련 국경분쟁 · 매카시즘 · 상호확증파괴 · 죽의 장막 · 로젠버그 부부 간첩 사건 · 과테말라 내전 · 북예멘 내전 · 해군 당포함 격침 사건
데탕트
(1969~1979)
닉슨 독트린 · 동방 정책 · 닉슨-마오쩌둥 회담 · 7.4 남북 공동 성명 · 핵확산금지조약 · 전략무기제한협정 · 제4차 중동전쟁 · 앙골라 내전 · 베트남 통일 ·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 · 독일의 가을 · 중일평화우호조약 · 이란 혁명 · 중국-베트남 전쟁 · 엘살바도르 내전 · 니카라과 혁명
후반부
(1979~1985)
흑묘백묘론 · 악의 제국 연설 ·그레나다 침공· 이 장벽을 허무시오 ·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 이란-이라크 전쟁 · 스타워즈 계획 ·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 · 콘트라
냉전의 종식
(1985~1991)
글라스노스트 & 페레스트로이카 · 도이머이 ·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 · 북방정책 · 1988 서울 올림픽 · 천안문 6.4 항쟁 · 베를린 장벽 붕괴 · 몰타 회담 · 1989년 동유럽 혁명 · 예멘 통일 · 동서독 통일 · 걸프 전쟁 · 8월 쿠데타 · 남북기본합의서 · 소련 붕괴
탈냉전
국제 기구
·
TIAR · SEATO · ANZUS · CENTO | 경제상호원조회의(СЭВ | COMECON)
군사 대결 구도
미군 vs 소련군 }}}}}}}}}}}}

말라야 비상사태
Malayan Emergency
Darurat Tanah Melayu
馬來亞緊急狀態
மலாயா அவசரகாலம்
냉전의 일부
파일:The_Malayan_Emergency_1948-1960_MAL35.jpg
날짜 <colbgcolor=#fff,#191919>1948년 6월 16일 ~ 1960년 7월 31일
장소 말라야 연방
결과 말라야 연방의 승리
영향 1957년 8월 31일 말라야 연방의 독립
교전 국가 및 세력

[[영국|]][[틀:국기|]][[틀:국기|]] 대영제국


[[말라야 연방|]][[틀:국기|]][[틀:국기|]]

파일:싱가포르 식민지 국기.svg 영국령 싱가포르

[[호주|]][[틀:국기|]][[틀:국기|]]

[[뉴질랜드|]][[틀:국기|]][[틀:국기|]]

[[로디지아 니아살랜드 연방|
로디지아 니아살랜드 연방
]][[틀:국기|]][[틀:국기|]] 로디지아 니아살랜드 연방

[[피지|]][[틀:국기|]][[틀:국기|]]
파일:말라야 공산당 당기.svg 말라야 공산당
지원 국가
[ 펼치기 · 접기 ]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

[[태국|]][[틀:국기|]][[틀:국기|]]

[[미국|]][[틀:국기|]][[틀:국기|]]
[ 펼치기 · 접기 ]
파일:중국 국기.svg 중화인민공화국

[[소련|]][[틀:국기|]][[틀:국기|]]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민주 공화국

[[북한|]][[틀:국기|]][[틀:국기|]]

[[쿠바|]][[틀:국기|]][[틀:국기|]]
지휘관
[ 펼치기 · 접기 ]
파일:영국 국기.svg 클레멘트 애틀리
파일:영국 국기.svg 윈스턴 처칠
파일:영국 국기.svg 앤서니 이든
파일:영국 국기.svg 해럴드 맥밀런
파일:영국 국기.svg 해럴드 브릭스
파일:영국 국기.svg 로이 우르쿠하트
파일:영국 국기.svg 에드워드 겐트
파일:영국 국기.svg 헨리 거니
파일:영국 국기.svg 제럴드 템플러
파일:영국 국기.svg 윌리엄 구드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투앙쿠 압둘 라만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툰쿠 압둘 라만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압둘 라작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이스마일 압둘 라만
파일:싱가포르 식민지 국기.svg 데이비드 마샬
파일:싱가포르 식민지 국기.svg 림유혹
파일:싱가포르 식민지 국기.svg 리콴유
파일:호주 국기.svg 로버트 멘지스
파일:호주 국기.svg 헨리 웰스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시드니 홀랜드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월터 내쉬
[ 펼치기 · 접기 ]
파일:말라야 공산당기.png 칭 펭
파일:1920px-Flag_of_the_Malayan_National_Liberation_Army.svg.png 압둘라 CD
파일:1920px-Flag_of_the_Malayan_National_Liberation_Army.svg.png 리사드 마이딘
파일:1920px-Flag_of_the_Malayan_National_Liberation_Army.svg.png 샴시아 파케
파일:1920px-Flag_of_the_Malayan_National_Liberation_Army.svg.png S. A. 가나파티
파일:1920px-Flag_of_the_Malayan_National_Liberation_Army.svg.png 라우 유
파일:1920px-Flag_of_the_Malayan_National_Liberation_Army.svg.png 권 영
파일:1920px-Flag_of_the_Malayan_National_Liberation_Army.svg.png 매트 인데라
파일:1920px-Flag_of_the_Malayan_National_Liberation_Army.svg.png 리 멍
파일:1920px-Flag_of_the_Malayan_National_Liberation_Army.svg.png 라우 리
병력
[ 펼치기 · 접기 ]
파일:영국 국기.svg 영연방군 40,000명
파일:말라야 연방 국기.svg 말레이시아군 250,000명
파일:말라야 연방 국기.svg 말레이시아 경찰 61,000명
[ 펼치기 · 접기 ]
파일:1920px-Flag_of_the_Malayan_National_Liberation_Army.svg.png 말라야 민족 해방군 7,000명
파일:1920px-Flag_of_the_Malayan_National_Liberation_Army.svg.png 동조자 1,000,000명
피해 규모
[ 펼치기 · 접기 ]
파일:말라야 연방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말레이시아군 & 영연방군
전사 1,865명
부상 2,406명
[ 펼치기 · 접기 ]
파일:1920px-Flag_of_the_Malayan_National_Liberation_Army.svg.png 말라야 민족 해방군 & 동조자
전사 6,710명
부상 1,289명
포로 1,287명
투항 2,702명
1. 개요2. 배경3. 전개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1948년부터 1960년동안 영국령 말라야에서 공산주의자들과 중국 공산화에 자극받은 현지 화교 반군이 영국 세력 타도를 위해 일으킨 게릴라 전쟁이다.

2. 배경

말라야 공산당에서는 이른바 "민족해방전쟁" (Anti–British National Liberation War)이라고 불리지만 영국과 말레이시아인 다수에게는 "비상사태" 라고 불린다. 일본 제국의 침공 이후 영국령 말라야는 식량 가격이 폭등하고 주민 다수의 삶의 질이 급격히 하락하는 등 심각한 경제난을 겪었다. 일본 제국이 격퇴되고 나서는 쿨리로서 유입된 중국인 광부와 중국인 플랜테이션 농부들과 고무 생산에 종사하던 무슬림 말라야인 사이에 긴장이 높아지고 경제 문제가 해결되지 않자 말레이시아 공산당이 폭동과 파업을 선동하며 반영 선전을 일삼는 등 정쟁 불안이 심화된다. 영국이 1948년 6월 17일 말라야에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공산주의자들과 동조자들이 밀림 속으로 도망가 "말라야 민족 해방군"(MNLA)을 결성했고 MNLA는 영국의 군사기지를 습격하기 시작했다. 이에 영국은 제초제 공중 살포를 통해 MNLA를 굶겨 죽이려고 했다. 그러나 이런 시도는 민간인 보호에 관한 제네바 협약 위반이었다.

MNLA는 게릴라 전술로 교통 시설을 주로 파괴했다. MNLA는 당시 말라야에 거주하던 가난한 중국인 이민자들에게 큰 지지를 얻었는데, 그만큼 MNLA의 게릴라 대원들 중 90%가 중국인이었고 나머지 10%가 말레이인, 인도네시아인, 인도인이었다. 여기에 화교 공산반군 수뇌부들은 직접 베이징으로 가 마오쩌둥을 알현하기도 했다.

3. 전개

중국의 공산화로 현지 공산주의 세력에 직접적으로 무기와 식량, 물자 등을 공급할 수 있는 통로가 생겨 진압하려던 프랑스도 극심히 고전하고 결국 패퇴한 인도차이나 전쟁에 비해 말레이시아에서는 중국 공산당의 지원이 지리적 여건 등의 이유로 미비했다. 여기에 이슬람교를 신앙하는 말레이인 다수가 가진 비무슬림인 화교에 대한 반감 때문에 반군은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서와 달리 폭넓은 지지를 받지 못했다. 클레멘트 애틀리 내각 역시 세계대전 후에도 식민제국을 유지하고 싶어했던 윈스턴 처칠 내각이나 네덜란드, 프랑스와는 대조적으로 식민지들의 자치 확대, 종국적으로는 독립은 불가항력으로 보고 있었기에 말레이시아 비상사태는 인도차이나 전쟁이나 알제리 전쟁, 인도네시아 독립전쟁 등에 비해 지저분한 식민지 전쟁이라는 인식이 없었다. 결국 영국과 말레이군은 화교 공산반군을 축출하고 반란을 진압했다. 친 펑 등의 공산반군 수뇌부는 국외로 망명하게 된다.

4.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