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5 10:45:29

그레이트 헬름

🎩 모자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width:300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eee,#000>각모 · 갈모 · 감투 · · 개리슨 모 · 군모 · 굴레
나이트캡 · 남바위 · 너울 · 뉴스보이 캡
도깨비 감투 · 두건 · 듀렉
로가티프카
마녀 모자 · 맥주 모자 · 문라건 · 미니햇 · 밀짚모자
바이저 마스크 · 바이콘 · 버킷햇 · 베레모 · 보닛 · 보터햇 · 볼러 · 부니햇 · 비니 · 비레타 · 빵모자 · 버즈비 · 복건 · 베어스킨 햇
사모 · 삿갓 · 샤워캡 · 샤코 · 샴푸캡 · 선 바이저 · 솜브레로 · 스냅백 · 상모
아얌 · 야구 모자 · 오스트리아식 야전모 · 와룡관 · 우샨카 · 움직이는 토끼모자 · 은박 모자
전모 · 전역모 · 전투모 · 정모 · 정자관 · 제모 · 조우관 · 족두리 · 전립
초립 · 초선관
칸무리 · 키파 · 케피 · 케피예 · 코이프 · 캠페인 햇 · 카우보이 모자
탕건 · 터번 · 트리코른 · 탑햇 · 트릴비 햇
팔각모 · 패랭이 · 패트롤캡 · 페도라 · 페즈 · 프리기아 캡 · 플랫 캡 · 포크 파이 햇
학사모 · 학생모 · 헤어밴드 · 화관 · 휘항 · 흑립 · 홈버그 햇
왕관교황 삼층관 · 금관 · 네메스 · 러시아 제국 황제관 · 롬바르디아 철관 · 면류관 · 성 에드워드 왕관 · 성 이슈트반 왕관 · 신성 로마 제국 황제관 · 영국 제국관 · 오스트리아 제국 황제관 · 월계관 · 익선관 · 원유관(통천관) · 티아라
헬멧M1 철모 · 6B47 헬멧 · 90식 철모 · PASGT 헬멧 · 검투사 헬멧 · 공사장 헬멧 · 그레이트 헬름 · 면갑 · 방석모 · 방탄모 · 슈탈헬름 · 야구 헬멧 · 오토바이 헬멧 · 자전거/헬멧 · 조종사 헬멧 · 철모 · 투구 · 풋볼 헬멧 · 프로텍 헬멧 · 피스 헬멧 · 피켈하우베 · 핫부리 · 헤드기어 · 패디드 캡 · 쿠스토디안 헬멧}}}}}}}}}

1. 개요2. 상세3. 매체에서4. 기타

[clearfix]

파일:external/www.bestarmour.com/great_helm_1b.jpg

1. 개요

그레이트 헬름(great helm), 또는 배럴헬름(barrel helm) 12세기 말부터 14세기 중반까지 널리 쓰였던 기사들의 투구. 십자군과 기독교 성전의 상징이기도 하다.

2. 상세

바가지 모양으로 머리와 얼굴 전체를 가리고 눈구멍과 숨구멍만 뚫어 놓은 것이 주요 특징이다.

원래 중세 기사들은 바이킹들로부터 전래된 코가리개가 달린 슈팡겐 헬름[1]을 사용했다. 그러나 중무장한 기사들은 어느 전장에서나 제 1 목표가 되기 십상이었기에 더욱 방호력이 뛰어난 보호구가 필요했고, 그런 필요에 따라 등장한 것이 그레이트 헬름이었다.

대중적으론 기사하면 개폐형 면갑(바이저)이 달린 아흐멧 투구를 떠올리는 이들이 많다. 그러나 성전 기사단, 구호 기사단, 튜튼 기사단 등. 내로라하는 기사들이 사용했던 투구는 바로 이 그레이트 헬름이었다.

파일:external/www.bestarmour.com/great_helm_4c.jpg
시대에 따라 디자인에 곡선이 점점 추가되었는데, 특히 sugar-loaf(슈거로프)형이라 부르는 퇴출 직전의[2] 그레이트 헬름은 완전한 구형에 가까웠다. 이는 정수리 쪽을 원뿔이나 반구형으로 곡면 처리를 하면 구조적으로도 튼튼해지고, 적이 휘두른 칼이 곡면을 따라 미끄러지도록 한 개선이었다.

판타지 장르의 매체에선 인체 비율에 맞게 크기를 다소 수정해서 나오지만, 실제 그레이트 헬름은 '싸우다가 벗겨지지 않을까?' 싶을 정도로 그 크기가 크다. 이는 그레이트 헬름이 단독으로 착용하는 투구가 아니라, 완충제인 패디드 캡과 체인 후드를 쓰고 나서야 착용하는 투구이기 때문이다.

3. 매체에서

십자군 전쟁을 다룬 모든 매체에서 반드시 등장한다. 당시 기독교 측의 주 장구류였기 때문.

그레이트 헬름을 주로 쓴 튜튼 기사단이 과거 발트해 지역 주민들한테 저지른 학살과 노예 사냥이 악명 높았기에, 오늘날에도 발트 3국과 인근 동유럽의 매체에선 주로 악역들이 쓰고 나온다. 1938년작 <알렉산드르 넵스키>가 대표적. 우리나라에서 사무라이 투구가 그리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는 것과 일맥이 같다.

포 아너에서 컨쿼러(포 아너)의 주요 무구이기도 하다. 캠페인에서 등장하는 허비스 더브니는 날개 장식이 달린 화려한 금색 그레이트 헬름을 쓰고 나온다.

파일:나이트센티넬.jpg
둠 리부트 시리즈의 등장세력, 밤의 감시단원들은 이 그레이트 헬름에서 모티브를 딴 투구를 착용한다.

4. 기타

그레이트 헬름을 쓰고 수도권 전철 1호선을 탄 남자가 화제가 된 적 있다. 다만 복장만 저렇게 하였을 뿐, 특별한 민폐를 끼친 건 아니어서 1호선 빌런으로 분류되지는 않는다.


[1] 2개 이상의 둥근 판을 리벳으로 조여 만드는 투구.[2] 이 시기에는 이미 상술한 아흐멧 투구처럼 비슷한 방호력에 통풍이 더 잘 되는 투구가 여럿 나왔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