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20 13:41:02

야구 모자

🎩 모자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eee,#000>각모 · 갈모 · 감투 · · 개리슨 모 · 국민모 · 군모 · 굴레
나이트캡 · 남바위 · 너울 · 뉴스보이 캡
도깨비 감투 · 두건 · 듀렉
로가티프카
마녀 모자 · 맥주 모자 · 문라건 · 미니햇 · 밀짚모자
바이저 마스크 · 바이콘 · 버킷햇 · 베레모(군용) · 보닛 · 보터햇 · 볼러 · 부니햇 · 비니 · 비레타 · 빵모자 · 버즈비 · 복건 · 베어스킨 햇
사모 · 사방관 · 삿갓 · 샤워캡 · 샤코 · 샴푸캡 · 선 바이저 · 솜브레로 · 스냅백 · 상모 · 수병모
아얌 · 야구 모자 · 오스트리아식 야전모 · 와룡관 · 우샨카 · 움직이는 토끼모자 · 은박 모자
전모 · 전역모 · 전투모 · 정모 · 정자관 · 제모 · 조우관 · 족두리 · 전립주케토주립
초립 · 초선관
칸무리 · 키파 · 케피 · 케피예 · 코이프 · 캠페인 햇 · 카우보이 모자
탕건 · 터번 · 트리코른 · 탑햇 · 트릴비 햇
파파카 · 팔각모 · 패랭이 · 패트롤캡 · 페도라 · 페즈 · 프리기아 캡 · 플랫 캡 · 포크 파이 햇
학사모 · 학생모 · 헤어밴드 · 헤제트화관 · 휘항 · 흑립 · 홈버그 햇
👑
왕관
교황 삼층관 · 금관 · 네메스 · 러시아 제국 황제관 · 롬바르디아 철관 · 면류관 · 성 바츨라프 왕관 · 성 에드워드 왕관 · 성 이슈트반 왕관 · 신성 로마 제국 황제관 · 영국 제국관 · 오스트리아 제국 황제관 · 월계관 · 익선관 · 원유관(통천관) · 티아라
🪖⛑️헬멧M1 철모 · 6B47 헬멧 · 90식 철모 · IBH 헬멧 · PASGT 헬멧 · SSh-68 · 검투사 헬멧 · 공사장 헬멧 · 그레이트 헬름 · 면갑 · 방석모 · 방탄모 · 슈탈헬름 · 알틴 헬멧 · 야구 헬멧 · 오토바이 헬멧 · 자전거/헬멧 · 전차 헬멧 · 조종사 헬멧 · 철모 · 투구 · 풋볼 헬멧 · 프로텍 헬멧 · 피스 헬멧 · 피켈하우베 · 핫부리 · 헤드기어 · 아밍 캡 · 쿠스토디안 헬멧 · 간주형 투구 · 첨주형 투구 · 원주형 투구}}}}}}}}}

파일:attachment/baseball_cap.jpg

1. 개요2. 역사3. 여담4. 야구 모자 착용 캐릭터
4.1. 게임

1. 개요

Baseball cap.

야구를 할 때 쓰는 모자(캡), 혹은 그런 형태를 가진 일상용 캡 모자. 패션용어로는 베이스볼 캡을 줄인 볼캡이라 불린다.

2. 역사

기원은 야구가 급성장하던 19세기 중반 미국에서 출발했다. 최초의 야구 모자는 1849년 뉴욕 닉스가 밀짚으로 만들어진 모자를 쓰고 나오면서 부터이다. 그러나 경기에서 매우 불편하고 가렵기도 해서 닉스는 몇년도 채 안되어 펙앤스나이더(Peck & Snyder)에서 만든 양모 모자로 바꿨다. 메리노 울 소재로 사실상 머리덮개라고 할 만한 수준의 장식용 챙이나 혹은 챙이 없는 그런 물건이었다. 리그가 본격화되고 거대화됨에 따라 대부분의 야구 선수들이 이 모자를 쓰기 시작했다. 이후 1860년 아마추어 야구팀 브루클린 엑셀시어스가 선수의 시야를 확보할 목적으로 햇빛을 가리기 위해 챙이 아주 긴 오늘날 볼캡과 비슷한 형태를 썼다. 수평 줄무늬 라운드 크라운과 평평한 버튼 탑이 있는 볼캡인 '필박스'를 포함하여 다음 40년 동안 다른 스타일이 도입되었지만 엑셀시어가 도입한 '브루클린 스타일' 캡은 1900년, 대부분의 메이저 리그 팀이 이 스타일이나 이와 유사한 유니폼을 완성했다.

이 챙이 긴 모자는 야구가 미국의 국민 스포츠가 됨에 따라 그 팬들이 사서 쓰고 다니게 되었고, 얼마 지나지 않아 야구와는 무관하게 모자로써 제작되고 쓰고 다니는 물건이 되어 버렸다. 뉴에라는 1934년에 메이저 리그 선수들에게 최초의 프로 볼캡을 공급하기 시작했다. 클리블랜드 인디언스를 시작으로 선수에게 볼캡을 맞춤 제작한 최초의 회사였다. 1950년대가 되면서 대부분의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팀이 뉴에라 모자를 착용하게 되었다.

한국에서는 뉴에라 모자가 직접 들어오기도 하고, 메이저리그와 라이센스를 맺고 판매하는 제품도 있다. 흔히 힙합 모자로 알려진 일자챙 모자 59fifty은 뉴에라의 제품이고, 챙이 좀 휘어진 모자는 뉴에라의 39thirty, pinch hitter도 있고, 라이센스 제품들도 있다.

3. 여담

본래 야구경기를 할 때는 타석에 나올때조차 이걸 쓰고 나왔지만, 야구공에 선수가 맞아 죽는 사고가 일어나자 타석에선 헬멧을 착용하고 나오도록 룰이 변경되었다. 자세한 사항은 야구 헬멧 참조. 마운드의 투수가 타구를 맞는 일도 발생하다 보니, 투수 보호용 모자의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일종의 패션 아이템으로 인식되어 팀의 팬과는 무관하게 단순히 편하다는 이유[1]로 쓰고 다니는 사람이 많다. 특히 뉴욕 양키스, 디트로이트 타이거즈, 보스턴 레드삭스, 시카고 화이트삭스,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등이 인기팀.

이 외에 해당 구단에 팬심을 부각하기 위해 특정 야구 구단의 모자를 착용하는 성향은 패션 목적을 겸해서 구단에 대한 팬심을 부각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야구 모자는 일반적으로 팀의 로고나 심볼이 새겨져 있어 해당 팀의 팬임을 나타내는 일종의 상징물로 여겨진다. 따라서 해당 구단에 팬심을 가진 사람들은 야구 모자를 착용함으로써 자신의 팬심을 표현하고자 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성향은 특히 야구 리그가 활성화되어 있는 국가에서 두드러진다. 예를 들어, 전자에 언급한 야구의 종주국인 미국에서는 전자에 언급한 구단들을 응원하는 팬들이 많아, 해당 팀의 모자를 착용하는 사람들이 많다. 또한, 한국, 일본대만에서도 프로야구(한국의 KBO, 일본의 NPB, 대만의 CPBL)가 활성화되어 있어, 해당 야구단을 응원하는 팬들이 야구 모자를 착용하며 자신의 팬심을 드러낸다. 이러한 야구 팬들은 일반적으로 해당 팀에 대한 애정과 충성도가 강하고, 팀의 경기를 열심히 응원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야구에 대한 관심이 높고, 야구 문화를 즐기고자 하는 욕구가 강한 편이다.

구체적으로, 야구 모자를 패션 목적 및 팬심으로 착용하는 야구 팬의 특성은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다.
  • 패션 목적
    • 야구 모자는 캐주얼한 스타일과 잘 어울리는 액세서리로, 젊은 층 사이에서 특히 인기가 많다.
    • 야구 모자는 다양한 디자인과 색상으로 출시되어 있어,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는 데에도 적합하다.
  • 구단에 대한 애정과 충성도
    • 야구 팬들은 해당 팀의 모자를 착용함으로써 자신의 팬심을 표현하고, 팀에 대한 애정과 충성도를 드러내고자 한다.
    • 야구 팬들은 팀의 경기를 열심히 응원하고, 팀의 승리를 기원한다.

야구단 로고가 들어가지 않는 모자들도 야구에 쓰이던 특징을 반영해 이마 부분에 로고가 들어가는 일이 많다. 힙합 스타일로 모자를 거꾸로 쓰는 방식도 존재. 이 경우 제 역할이 안된다. 아예 챙을 잘라낸 사람도 있다(…) 만화에서 그려질 때는 이렇게 쓰고 머리 크기 조절 구멍으로 긴 앞머리를 튀어나오게 그리는 일이 많다. 또한 푹 눌러 쓴 모자로 어두운 인상, 혹은 익명성을 표현하기도 한다. 같은 속성의 후드티와 같이 코디되면 그러한 요소가 더욱 강화된다. 챙 아래 검게 드리워진 그림자 사이로 눈만 번뜩인다던지.. 그래서 범죄자들이 이런 모습으로 잘 그려지곤 한다. 또한 범죄자들이 경찰에게 검거될 때나 현장검증할 때에도 얼굴을 가리기 위해 마스크와 같이 착용하기도 한다.

야구 모자의 정수리에 부착된 작은 단추는 여러 패널을 합쳐서 모자를 만들면 모든 패널들이 합쳐지는 정수리 부분에 바느질 실밥이 모여서 보기 흉하므로 이 부분을 가려주는 역할을 한다. 의외로 이름도 따로 있는데 스쿼치(squatchee)라 한다. 참고로 제작 공정이 비슷한 뉴스보이 캡에도 마찬가지로 정수리 부분에 스쿼치가 달려 있다.

현대에는 워낙 널리 퍼진 패션 아이템이다 보니 단순히 야구팀 외에 다른 스포츠팀에서도 팀 로고를 새겨넣은 야구 모자를 파는 것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축구, 농구, 미식축구, 하키 등 종목에 관계없이 웬만한 구단이라면 다양한 야구 모자를 판다.

1984년부터 2016년 상반기까지 야구모자 형태의 경찰 근무모로 썼었다.

소방서에서는 야구모자를 기반으로 기동모, 근무모로 사용중이다.

육ㆍ해ㆍ공군의 전투모로는 1984년부터 사용중이다. 색상은 1990년, 2011년에 변경되어 지금에 이른다. 육군은 2011년부터 베레모만 쓰다가 2020년 7월부터 다시 전투모가 도입되었다.

육군의 체육모는 병사용은 2014년부터 도입되었고 2019년에 변경되었다. 장교/부사관/준사관용은 검정색/흰색 그대로다.

해군 근무모 B형이 이 디자인이다.

해병대에서는 체육모가 빨간색이다.

공군 약복에서 2011년까지 사용되면서 경비원으로 오인받는 일이 있었으며 2012년부터 개리슨 모로 교체되었다.

축구 골키퍼들도 가끔 이 모자를 착용할 때가 있다. 특히 햇빛이 강한 지역에서 낮에 경기가 열릴 때 햇빛이 골대 쪽으로 강하게 비출 경우 시력에도 좋지않고, 시야도 나빠지니까, 이걸 아는 골키퍼들은 그 날 날씨에 따라 착용하기도 한다.

4. 야구 모자 착용 캐릭터

4.1. 게임


[1] 대학생의 경우는 술먹고 과제하다 두어시간 잔 후에 머리 감기 귀찮아서 쓰고 나가는 등.[2] 교복일때 빼고 사복 차림일때 항상 착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