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408080><tablebgcolor=#408080> | }}} |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1. 종묘제례악 1.#26 영산줄다리기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51 남도들노래
1.#76 택견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45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폐지 이후(번호없음)]⠀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 }}}}}}}}}}}} |
1. 개요
학연화대합설무(鶴蓮花臺合設舞, Crane Dance and Lotus Flower Dance) 조선시대의 궁중 정재이다. 1971년 01월 08일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2. 설명
학연화대합설무는 학무와 연화대가 합쳐진 일종의 궁중무용이다. 학연화대합설무는 학모습의 탈을 쓰고 추는 학무와 연꽃에서 동기가 태어나는 연화대무로 구성된다. 학연화대합설무는 동물과 인간과의 교감세계를 표현한 독특한 춤으로 예술성이 높고, 내용이나 형식에 있어서 오랜 역사성과 전통성을 간직하고 있다. 여기서 학무는 청학이나 백학, 청학이나 황학 또는 백학 한 쌍이 마주하여 춤을 추는 것이다. 1935년 한성준의 창작 학무로 춤의 명맥이 이어져 내려왔다.학무는 임금을 송축하기 위해 학탈을 쓰고 추는 춤으로 고려때부터 궁중의례에서 행해 왔으며, 새의 탈을 쓰고 추는 춤으로는 우리나라에서 유일하다. 연화대무는 두 여자 아이가 연꽃술로 태어났다가 왕의 덕망에 감격하여 춤과 노래로써 그 은혜에 보답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온몸에 학의 탈을 쓴 두 무용수가 춤을 추다가 미리 설치된 꽃봉우리 두 개를 부리로 쪼면, 연꽃이 벌어지며 여자 아이가 튀어나오고 학은 놀라서 뛰어 나간다. 그 후 두 여자아이가 추는 춤이 연화대무이다. 공연상 두 춤은 불가분의 관계를 맺으며 오랜 세월 전승되어 왔다. 반주음악으로는 세령산, 삼현도드리, 타령이 학춤을 출 때 사용되며, 연화대무에서는 궁중음악만을 사용한다.
3. 전승자
- 이흥구
- 손경순
- 홍웅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