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6 07:36:48

금박


1.

🥇귀금속🥈
[ 펼치기 · 접기 ]
||<-2><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373a3c,#ddd>
종류
||
<colbgcolor=#ffd700> 원소 계열 구리족 원소 · 백금족 원소
일반적 귀금속
구리족 원소 계열 ·
백금족 원소 계열 백금
화학적 귀금속(넓은 의미로서의 포함)
구리족 원소 계열 구리
백금족 원소 계열 팔라듐 · 이리듐 · 로듐 · 루테늄 · 오스뮴
기타 계열 수은 · 레늄 · 티타늄 · 베릴륨 · 크로뮴 · 텅스텐
합금·도금
가공 방법 합금 · 도금
금+은 위주 합금 호박금
구리 위주 합금 백동 · 청동 · 황동
다른 금속도 섞이거나 합친 금속 스털링 · 화이트 골드
기타 관련 문서
미술·창작물 금동 · 금박 · 금/창작물 · 은/창작물 · 메달(올림픽 메달) · 실버 불렛
용도 금/용도 · 사모바르
단위 온스
순도 캐럿
경제 금화 · 은화 · 금괴 · 은괴 · 은자
역사 골드 러시 · 금모으기 · 엘도라도 · 은본위제도
가상의 귀금속 미스릴 · 오리할콘


1. 금이나 금빛 나는 물건을 두드리거나 압연하여 종이처럼 아주 얇게 눌러서 만든 것. 예) 금박 글자
2. 광물성 약재의 하나. 금을 얇게 가공한 것으로 사독(邪毒)과 열을 제거하고 십간을 진정시켜, 경간(驚癇)이나 경계(驚悸)에 쓴다.

(금박 박)의 뜻이 이 뜻이다.[1] 그러나 정작 '금박(金箔)'에는 鉑이 아닌 (발 박)을 쓴다.

식품첨가물로서, 음식의 장식용으로 쓰인다.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408080><tablebgcolor=#408080> 파일:정부상징.svg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1.#26 영산줄다리기
  1. 승무
  2. 나주의샛골나이
  3. 서도소리
  4. 가곡
  5. 낙죽장
  6.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dark-style="background: #383b40"
곡성의돌실나이[1]}}}
  1. 광주칠석고싸움놀이
  2. 강령탈춤
  3. 조각장
  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dark-style="background: #383b40"
판소리심청가[2]}}}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dark-style="background: #383b40"
화장[3]}}}
  1. 조선왕조 궁중음식
  2. 처용무
  3. 학연화대합설무
  4. 가사
  5. 악기장
  6. 수영야류
  7. 경산자인단오제
  8. 대금산조
  9. 피리정악및대취타
  10. 궁시장
  11. 단청장
  12. 송파산대놀이
  13. 영산재

[1] 국가무형유산 제140호 삼베짜기에 통합 재지정[2] 국가무형유산 제5호 판소리에 통합 재지정[3] 보유자 부재로 지정해제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51 남도들노래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dark-style="background: #383b40"
시나위[4]}}}
  1. 채상장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dark-style="background: #383b40"
끊음질[5]}}}
  1. 소목장
  2. 종묘제례
  3. 경기민요
  4. 줄타기
  5.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dark-style="background: #383b40"
판소리고법[6]}}}
  1. 장도장
  2. 은율탈춤
  3. 좌수영어방놀이
  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dark-style="background: #383b40"
북메우기[7]}}}
  1. 두석장
  2. 백동연죽장
  3. 망건장
  4. 탕건장
  5. 밀양백중놀이
  6. 하회별신굿탈놀이
  7. 양주소놀이굿
  8. 제주칠머리당영등굿
  9. 진도씻김굿
  10. 가산오광대
  11. 대목장
  12. 기지시줄다리기

[4] 보유자 부재로 지정해제[5] 국가무형유산 제10호 나전장에 통합 재지정[6] 국가무형유산 제5호 판소리에 통합 재지정[7] 국가무형유산 제42호 악기장에 통합 재지정[8] 보유자 부재로 지정해제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45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폐지 이후(번호없음)]⠀
{{{#!wiki style="margin:-10px 0"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

금박을 옷에 붙이는 금박장이 대한민국의 국가무형유산 119호이다.


미얀마에는 쉐다곤 파고다, 짜익티요 등 성지에 금박을 붙여 보시하는 문화가 있다. 덕분에 성물의 크기가 조금씩 늘어났다.

2.

사로잡아서 묶음.
[1] 금 외에도 여러 금속으로 만든 금속박을 가리키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