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金箔
🥇귀금속🥈
- [ 펼치기 · 접기 ]
- ||<-2><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373a3c,#ddd>종류||
<colbgcolor=#ffd700> 원소 계열 구리족 원소 · 백금족 원소 일반적 귀금속구리족 원소 계열 금 · 은 백금족 원소 계열 백금 화학적 귀금속(넓은 의미로서의 포함)구리족 원소 계열 구리 백금족 원소 계열 팔라듐 · 이리듐 · 로듐 · 루테늄 · 오스뮴 기타 계열 수은 · 레늄 · 티타늄 · 베릴륨 · 크로뮴 · 텅스텐 합금·도금가공 방법 합금 · 도금 금+은 위주 합금 호박금 구리 위주 합금 백동 · 청동 · 황동 다른 금속도 섞이거나 합친 금속 스털링 · 화이트 골드 기타 관련 문서미술·창작물 금동 · 금박 · 금/창작물 · 은/창작물 · 메달(올림픽 메달) · 실버 불렛 용도 금/용도 · 사모바르 단위 온스 순도 캐럿 경제 금화 · 은화 · 금괴 · 은괴 · 은자 역사 골드 러시 · 금모으기 · 엘도라도 · 은본위제도 가상의 귀금속 미스릴 · 오리할콘
1. 금이나 금빛 나는 물건을 두드리거나 압연하여 종이처럼 아주 얇게 눌러서 만든 것. 예) 금박 글자
2. 광물성 약재의 하나. 금을 얇게 가공한 것으로 사독(邪毒)과 열을 제거하고 십간을 진정시켜, 경간(驚癇)이나 경계(驚悸)에 쓴다.
鉑(금박 박)의 뜻이 이 뜻이다.[1] 그러나 정작 '금박(金箔)'에는 鉑이 아닌 箔(발 박)을 쓴다.
식품첨가물로서, 음식의 장식용으로 쓰인다.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408080><tablebgcolor=#408080> | }}} |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1. 종묘제례악 1.#26 영산줄다리기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51 남도들노래
1.#76 택견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45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폐지 이후(번호없음)]⠀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 }}}}}}}}}}}} |
금박을 옷에 붙이는 금박장이 대한민국의 국가무형유산 119호이다.
미얀마에는 쉐다곤 파고다, 짜익티요 등 성지에 금박을 붙여 보시하는 문화가 있다. 덕분에 성물의 크기가 조금씩 늘어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