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구리에 금을 입힌 것
🥇귀금속🥈 | |||||
{{{#!wiki style="color: #000;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종류 | ||||
원소 계열 | <colcolor=#000,#ccc>구리족 원소 · 백금족 원소 | ||||
일반적 귀금속 | |||||
구리족 원소 계열 | 금 · 은 | ||||
백금족 원소 계열 | 백금 | ||||
화학적 귀금속(넓은 의미로서의 포함) | |||||
구리족 원소 계열 | 구리 | ||||
백금족 원소 계열 | 팔라듐 · 이리듐 · 로듐 · 루테늄 · 오스뮴 | ||||
기타 계열 | 수은 · 레늄 · 티타늄 · 베릴륨 · 크로뮴 · 텅스텐 | ||||
합금·도금 | |||||
가공 방법 | 합금 · 도금 | ||||
금+은 위주 합금 | 호박금 | ||||
구리 위주 합금 | 백동 · 청동 · 황동 | ||||
다른 금속도 섞이거나 합친 금속 | 금동 · 스털링 · 화이트 골드 | ||||
기타 관련 문서 | |||||
미술·창작물 | 금박 · 금/창작물 · 메달(올림픽 메달) · 실버 불렛 · 장신구 | ||||
단위 | 온스 | ||||
순도 | 캐럿 | ||||
경제 | 금화 · 은화 · 금괴 · 은괴 | }}}}}}}}} |
金銅
구리에 금을 도금하거나 금박을 씌운 것으로서 순금 100%로 하기엔 자원이 모자라 한 것이다. 한국에서는 금동 재질 불상[1] 등 문화유산으로 다수 있다. 다만 대부분 거의 천년이 지난 탓에 도금이 닳았는지 구리 녹 특유의 녹색이 보인다.
2. 지명
모두 한자로 '錦洞'이다. 목록은 다음과 같다.2.1. 광주광역시 동구 금동
- 행정동은 서남동이다.
2.2. 대전광역시 중구 금동
- 행정동은 산성동으로, 1998년 11월 22일까지는 산서동에 속했다.
2.3.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금동
- 행정동은 해신동으로, 1988년 9월 30일까지는 신풍동(법정동)과 함께 신풍동(행정동)에 속했다.
2.4.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금동
- 1981년 7월 1일 남원군 남원읍이 남원시로 승격되면서 설치된 행정동이다.
2.5. 전라남도 목포시 금동
- 행정동은 만호동으로, 1997년 1월 1일 영해동을 흡수 통합하기 이전부터 만호동에 속한 법정동이다.
[1] 위의 구리에 금을 입히는 것 말고 흙으로 빚어 금박을 씌운 것도 있다. 문서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