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의 전통공예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목공예 | <colbgcolor=#ffffff,#1c1d1f>장 · 병풍 · 소반 · 반닫이 · 솟대 · 상여 · 꼭두 · 장승 · 나막신 · 채상 · 낙화 · 윤도 · 목기러기 |
| 석공예 | 곡옥 · 석탑 · 석등 · 돌하르방 | |
| 도자공예 | 가야토기 · 신라토기 · 고려청자 · 고려백자 · 분청사기 · 조선백자 ( 철화백자 · 청화백자 · 달항아리 ) · 조선청자 · 옹기 · 귀면와 · 청기와 · 잡상 · 토우 | |
| 금속공예 | 유기 · 숟가락 · 장도 · 떨잠 · 두석 · 칠보 | |
| 섬유공예 | 한복자수 · 오방낭 · 제웅 · 청사초롱 · 금줄 · 조각보 · 누비 · 매듭 ( 노리개 · 선추 ) · 갓 ( 흑립 · 삿갓 ) · 망건 · 화문석 · 발 · 고리짝 · 보료 | |
| 종이공예 | 한지 · 탈 · 종이 우산 · 접부채 ( 합죽선 · 칠첩선 ) · 채화 | |
| 칠공예 | 나전칠기 · 화각 | |
| 종합공예 | 열쇠패 · 곰방대 · 상감 | }}}}}}}}} |
1. 개요
한국의 전통 밥상. 전통적인 한식은 1인 1상을 기본으로 했고 좌식 문화에 식사를 방에서 했기에 필수품이었고 주칠은 주로 궁중이나 혼례에 쓰였고, 흑칠은 제사에 사용되었다.※|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408080><tablebgcolor=#408080> | }}} | ||||||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1. 종묘제례악 1.#26 영산줄다리기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51 남도들노래
1.#76 택견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45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폐지 이후(번호없음)]⠀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 }}}}}}}}}}}} |
대한민국의 국가무형유산 제99호로 소반장이 등록되어 있다.
2. 설명
2.1. 교자상과의 차이점
3. 종류
3.1. 다리 모양에 따른 분류
- 호족반
- 구족반
- 직각반
- 판각반
3.2. 상판 모양에 따른 분류
- 사각반
- 원형반
- 팔각반
- 화엽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