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7 09:58:55

두석

1. 놋쇠의 다른말2. 고대 중국 서진의 인물

1. 놋쇠의 다른말

豆錫
놋쇠. 황동(黃銅), 특히 구리아연(10~45%)을 섞어 합금한 것. 금에 비해 값이 저렴하면서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 금을 대체하는 용도로 사용되었다. 다만 조선시대에 황동, 청동, 백동 등 합금을 통칭하기도 해 혼동이 좀 있다.

한국의 전통공예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금속공예 <colbgcolor=#ffffff,#1c1d1f>유기 · 숟가락 · 장도 · 떨잠 · 두석
도자공예 가야토기 · 신라토기 · 고려청자 · 고려백자 · 분청사기 · 조선백자 ( 철화백자 · 청화백자 · 달항아리 ) · 조선청자 · 옹기 · 귀면와 · 청기와 · 잡상 · 토우
목공예 · 병풍 · 소반 · 반닫이 · 솟대 · 상여 · 꼭두 · 장승 · 나막신 · 채상 · 낙화 · 윤도
석공예 곡옥 · 석탑 · 석등 · 돌하르방
섬유공예 한복자수 · 오방낭 · 제웅 · 청사초롱 · 금줄 · 조각보 · 매듭 ( 노리개 · 선추 ) · ( 흑립 · 삿갓 ) · 망건 · 화문석 · · 고리짝
종이공예 한지 · · 종이 우산 · 접부채 ( 합죽선 · 칠첩선 ) · 채화
칠공예 나전칠기 · 화각
종합공예 열쇠패 · 곰방대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408080><tablebgcolor=#408080> 파일:정부상징.svg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1.#26 영산줄다리기
  1. 승무
  2. 나주의샛골나이
  3. 서도소리
  4. 가곡
  5. 낙죽장
  6.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dark-style="background: #383b40"
곡성의돌실나이[1]}}}
  1. 광주칠석고싸움놀이
  2. 강령탈춤
  3. 조각장
  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dark-style="background: #383b40"
판소리심청가[2]}}}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dark-style="background: #383b40"
화장[3]}}}
  1. 조선왕조 궁중음식
  2. 처용무
  3. 학연화대합설무
  4. 가사
  5. 악기장
  6. 수영야류
  7. 경산자인단오제
  8. 대금산조
  9. 피리정악및대취타
  10. 궁시장
  11. 단청장
  12. 송파산대놀이
  13. 영산재

[1] 국가무형유산 제140호 삼베짜기에 통합 재지정[2] 국가무형유산 제5호 판소리에 통합 재지정[3] 보유자 부재로 지정해제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51 남도들노래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dark-style="background: #383b40"
시나위[4]}}}
  1. 채상장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dark-style="background: #383b40"
끊음질[5]}}}
  1. 소목장
  2. 종묘제례
  3. 경기민요
  4. 줄타기
  5.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dark-style="background: #383b40"
판소리고법[6]}}}
  1. 장도장
  2. 은율탈춤
  3. 좌수영어방놀이
  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dark-style="background: #383b40"
북메우기[7]}}}
  1. 두석장
  2. 백동연죽장
  3. 망건장
  4. 탕건장
  5. 밀양백중놀이
  6. 하회별신굿탈놀이
  7. 양주소놀이굿
  8. 제주칠머리당영등굿
  9. 진도씻김굿
  10. 가산오광대
  11. 대목장
  12. 기지시줄다리기

[4] 보유자 부재로 지정해제[5] 국가무형유산 제10호 나전장에 통합 재지정[6] 국가무형유산 제5호 판소리에 통합 재지정[7] 국가무형유산 제42호 악기장에 통합 재지정[8] 보유자 부재로 지정해제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45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폐지 이후(번호없음)]⠀
{{{#!wiki style="margin:-10px 0"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

두석장은 이런 황동 판금을 가공해 장(가구) 등 전통 가구의 장식, 경첩, 자물쇠 등 부품, 즉 장석(裝錫)을 만들며, 대한민국의 국가무형유산 64호이다.

제작과정


위에 누락된 합금, 금속판 제조를 설명했고, 후반에 특히 비밀 자물쇠 원리, 제작을 집중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2. 고대 중국 서진의 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두석(서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두석(서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두석(서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