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000,#10100f><colcolor=#c5b356,#a99639> 역사 개관 | 고구려/역사 · /정치 · /왕조 · /연호 · /연표 · /역사귀속 및 계승인식 |
건국설화 · 졸본 · 고구려 오부 · 국내 천도 · 한사군 축출 · 중앙집권화 · 광개토대왕 시기 · 장수왕 시기 · 평양 천도 · 고구려-수 전쟁 · 고구려-당 전쟁 · 연씨 정권 · 고구려의 멸망 · 부흥운동 | ||
관련 틀 | 관직 · 대외관계 · 대외전쟁 · 고구려 오부 · 부흥운동 | ||
인물 | 고구려/인물 | |
관련 틀 | 왕실 · 역대 국왕 · 추존왕 및 비정통 군주 · 대리청정 및 섭정 · 태자 및 왕자 · 역대 왕후 · 역대 고구려 좌우보 · 역대 국상 · 대막리지 | ||
사회문화 및 제도 | 고구려/사회 · /문화 · /경제 · /건축 | |
고구려어 · 진대법 · 동맹 · 형사취수제 · 서옥제 · 온돌 · 황조가 | ||
군사 | 고구려/성과 요새 (흘승골성 · 졸본성 · 국내성 · 평양성 · 장안성 · 신성 · 책성 · 남소성 · 안시성 · 박작성) | |
고구려군 · 개마무사 · 맥궁 | ||
관련 틀 | 무기 · 요동방어선 | ||
유적과 유물 | 오녀산성 · 국내성 · 환도산성 · 평양성 · 대성산성 · 안학궁성 | 고구려의 적석총(태왕릉 · 장군총) · 고구려의 봉토벽화묘(안악 3호분 · 무용총 · 각저총 · 전 동명왕릉 · 강서삼묘) · 고구려 왕릉 · 통구 고분군 · 고대 고구려 왕국 수도와 묘지 · 고구려 고분군 | |
고구려의 금관·금동관 · 고구려의 토기 | ||
관련 틀 | 도성 및 궁궐 · 고대 고구려 왕국 수도와 묘지 · 고구려 고분군 · 남진과 관련된 성곽 유적 | ||
창작물 | 고구려/창작물 | |
기타 | 다물 · 맥적 · | |
관련 틀 | 고구려/디자인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4a2d5b><colcolor=#fbe673>역사 | 역사 전반 · 사로국 · 통일신라 · 후삼국시대 신라 |
상징 | 금척 · 삼기팔괴 · 신라삼보 · 천사옥대 · 황룡사 9층목탑 · 황룡사 장륙삼존불상 | |
왕사 | 왕사 전반 · 왕실 · 왕릉 · 왕비 · 국왕 · 추존 국왕 · 상왕 · 태자 · 왕후 | |
외교 | 외교 전반 · 대외관계 · 백제 · 고구려 · 가야 · 후백제 · 태봉 · 고려 · 당나라 · 발해 · 일본(삼국시대) · 일본(통일신라) · 탐라국 · 중동 | |
문화 | 문화 전반 · 문학 · 미술 · 음악 · 건축 · 여성 · 황금 · 종교 · 기록 · 과학 · 명절 · 정월대보름 · 추석 · 금척 · 김현감호 · 나막신 · 낭도 · 노옹화구 · 동경이 · 만파식적 · 백의민족 · 버선 · 사금갑 | |
사회 | 사회 전반 · 골품제 · 관직 · 화랑 · 원화 · 6부 | |
기타 | 신라신사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keep-all; min-height:2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fedc89,#670000><colcolor=#670000,#fedc89>시대 구분 | <colbgcolor=#fff,#1f2023>건국 초기(후삼국시대) → 문벌귀족기 → 무신정권기 → 원 간섭기(몽골복속기) → 말기(반원개혁기) |
관련 문서 | 역사 · 왕조 · 인물 · 문화 · 창작물 · 군사 · 외왕내제 여부 · 평가 (고대국가와의 비교 · 조선과의 비교) · 왕실 | |
기타 | 고려청자 · 패서 | |
경제 | 건원중보 · 활구 | |
관련 틀 | 국왕 · 제후왕 · 중앙정치기구 · 사회 지배층 · 재상지종 15가문 · 개국공신 · 배향공신 · 궁궐 · 왕립 사찰 · 대외 전쟁 · 군대 편제 · 건국설화 등장인물 | }}}}}}}}} |
[clearfix]
1. 개요
패서(浿西)옛날 황해도, 평안남도, 경기도 북서부[1] 일대를 아우르던 지명으로, 나말여초[2] 시기의 기록으로 주로 등장한다. 패서의 패(浿)는 패강, 이른바 지금의 대동강 또는 예성강을 뜻하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나말여초와 후삼국시대를 다룰 때 역사적으로 중요하게 다루는 이유는 바로 고려의 건국 세력인 패서 호족들[3]이 바로 이곳에서 태동했기 때문이다. 이후 패서 일대는 고려 내내 수도권이자 내지(內地)로서 기능하게 되었다. 이 지역이 포함된 현대 기준으로 황해~경기 일대가 고려 초 10도 편제 시절에 관내(關內)도인 것만 봐도 명확하다.
2. 역사
패서는 옛 고구려 남부인 동시에 핵심 배후지[4]였으며, 고구려 3경 중 한성[5]이 있었던 비옥한 곡창지대였다. 이곳을 토대로 성장한 고구려 유민[6] 출신의 패서 호족과 주민들의 지지와 도움을 얻고 궁예가 나라를 세우면서 국호도 옛 고구려 후기 명칭을 딴 고려로 정했다.[7]패서는 상대적 자치를 누리면서 통일신라의 영향력 안에서도 그 일대 호족들의 실력은 점차 상승하고 있었다. 이는 선덕왕이 갑자기 문득 한산주 일대에 내지(內地) 신라인들을 패강진에 대거 이주시키고, 흥덕왕 때 한산주 일대에서 부를 많이 쌓은 요사스런 부류의 행태에 대해 특별히 벌했다는 기록에서 나타난다. 다만 패서 일대는 원성왕계 신라 왕실의 예측과는 달리 오히려 신라 왕실 자체에 대해 우호적인 편이었고, 거꾸로 직접 지배 역사가 오래되어 이들이 다소 방심했던 옛 백제 지역에서 대대적인 반신라 감정이 일게 된다.[8]
후삼국을 통일한 시점에서는 고려의 핵심 지역이자 정치적 기반으로 거듭나게 되면서 번영을 구가하게 되었다. 무엇보다 발해가 멸망하면서 유입된 수만 호의 발해인들이 주로 북방[9]과 패서에 정착[10] 하게 되면서 영남 일대와 더불어 한반도의 양대 인구 밀집지로 다시금 성장하게 되었다.
3. 위치
일단 정설은 후삼국 시대까지 패서는 임진강 이북~대동강 이남, 대략 지금 북한의 미수복 경기도와 황해도 일대를 말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나 구체적 영역에 대해서는 이설이 있다. 일단 경기도 북부인 개성시, 개풍군, 파주시 지역도 나말여초에는 패서로 인식했기 때문에 왕륭, 왕건도 패서 호족으로 여겨졌다.[11] 고려 초기에 10도를 만들 때 패서도는 지금의 황해도가 아니라 평안도 지역이었다.신라 하대에 패서 지역을 지배한 신라의 특수 행정구역 패강진이 있었는데, 평양 지역까지 패서라는 범위에 포함되는가 아닌가에 대해서도 설이 나뉜다. 본래 신라의 북방 경계를 대동강~원산만으로 보던 보수적인 시각에서는 평양은 패서 지역이 아니었지만 궁예가 태봉을 건국하자 ‘평양성주’ 검용이 귀부한 사건, 고려사 지리지에서 평양을 신라령으로 비정한 구절 등을 미루어 볼 때 평양도 패서에 포함된다는 설 역시 설득력을 얻고 있다.
4. 패서 호족
고구려부흥운동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000> 연대 | 부흥운동 | 주요인물 | 결과 |
670~673 | 한성의 고구려국 | 검모잠 / 고연무 / 안승 | 실패 | |
681 | 안동도호부에서의 보장왕의 모반 | 보장왕 | 무산 | |
684 | 금마저에서의 보덕국의 반란 | 대문 | 실패 | |
696~698 | 요동 일대의 반당전쟁 | 걸걸중상 / 걸사비우 / 대조영 | 발해 | |
897~901 | 송악의 궁예 정권 | 궁예 | 후고구려 | |
918 | 왕건의 역성혁명 | 왕건 | 고려 | |
1217 | 최광수의 난 | 최광수 | 실패 |
고려 건국세력 패서 호족 浿西豪族 | |
인물 | 영역 |
후삼국시대 이전 | |
강호경(康虎景) | 송악(松嶽) |
두은점(豆恩坫) | 평주(平州) |
후삼국시대 | |
송악(松嶽) | |
송악(松嶽) | |
황보제공(皇甫悌恭) | 황주(黃州) |
유천궁(柳天弓) | 정주(貞州) |
유차달(柳車達) | 유주(儒州) |
유긍순(柳矜順) | 염주(鹽州) |
유금필(庾黔弼) | 평주(平州) |
윤신달(尹辛達) | 파평(坡平) |
김행파(金行波) | 동주(洞州) |
한총례(韓聰禮)[12] | 단주(湍州) |
검용(黔用) | 평양(平壤) |
박지윤(朴遲胤) 신라계 | 평주(平州) |
김락(金樂) 신라계 | 당악(唐岳) |
대광현(大光顯) 발해계 | 백주(白州) |
후삼국시대 이후 | |
최온(崔溫) | 대령(大寧) |
미천왕 대에 정복돼 장수왕 대부터 고구려의 핵심 수도권으로 기능하게 된 패서는 마찬가지로 고려 왕조의 발상지이자 수도권으로서 그 역할을 똑같이 수행하였다. 그 이전에는 이곳을 토대로 힘과 세력을 키운 고구려계 호족과 주민들이 있었는데, 이들을 통칭 패서 호족이라고 부른다. 단, 패서 호족을 구성하던 것이 비단 고구려계 주민들뿐만은 아니었다. 선덕왕 대부터 시작된 패서의 군현 설치와 그에 따른 신라인의 이주로 박지윤[13][14]의 사례처럼 현지에 동화된 왕경인 출신의 신라계 세력가들이 있었다. 반대로 같은 고구려계 동류 집단인 발해 유민들의 지도자였던 대광현처럼 식읍을 하사받아 패서에 기반을 마련하게 된 경우도 있었다.[15][16]
고구려의 삼경(三京) 중 하나로 황해도 재령군 일대에 위치했던 한성(漢城)과 그 주변은, 평양성과는 달리 강제 이주 정책이 시행되지 않았다. 이러한 상황에 더해 고구려부흥운동과 나당전쟁 과정에서 일대로 각지의 고구려인들이 몰려들고 훗날 영주 방면에서 탈주한 유민의 합류로 인해 패서는 고구려적 색채가 더욱 짙어졌다. 패서는 이후 신라의 영향권에 들어갔으나, 경주와의 거리가 워낙 멀었던 데다 신라의 세력 확장이 이루어지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또한, 신라 정부는 옛 백제 지역과는 달리 중앙의 행정력을 북방에 강하게 투사하지 않아, 이 지역 주민들은 신라 치하에서도 비교적 높은 자율성을 유지할 수 있었다. 옛적에 망한 나라의 문화와 인구가 이어질 수 있는 내부와 외부의 여건이 충족되면서 패서는 고려 건국의 주축이 될 고구려계 호족들이 발아하게 된다.
평안남도 일부와 황해도 전체, 그리고 경기도 북부 일대에 걸쳐 세력권을 형성한 패서 호족들은 육해상을 아우르는 사무역 등을 통해서 기반을 쌓고, 지정학적 조건들이 충족된 덕분에 마련된 반자치적 환경을 거름삼아 고구려 문화와 계승의식을 이어갔다. 익산보다 남쪽인 호남 일대 곳곳 및 서라벌로 계획적으로 나눠져 뿔뿔히 사민된 보덕국 고구려인들과는 정반대의 사례다. 물론, 신라의 영향권에 있었던만큼 제도[17]와 가치관[18] 등이 신라식으로 상당수 바뀐 것 또한 엄연한 사실이다. 고려 왕실의 왕릉들이 고구려적 특징들[19]을 일부 계승한 사실과는 별개로 신라 왕릉의 형식[20]을 따르는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민족사에서 패서 호족들이 가지는 역사적 의의는 막대하다. 고구려와 고려를 사실상 이어주는 혈통적, 문화적, 정치적 매개로서 고구려의 후계임을 내세워 후삼국을 통일했을 뿐만 아니라, 발해 유민들을 대거 수용함으로써 고구려를 한국사의 큰 본류(本流)로 끌어올리는 역할을 수행했기 때문이다. 당나라, 돌궐, 왜국 등으로 흘러들어간 고구려인들과는 달리, 멸망기 발해인들 상당수와 더불어 고구려인으로서의 정체성을 끝까지 유지한 덕에 비로소 고려가 고구려의 적통(嫡通) 지위를 가져갈 수 있었다. 나아가 통일신라가 끝내 실패한 삼국민의 융합과 의식 통합에도 성공한 패서 고구려인들로 말미암아 한민족이라는 민족 정체성이 비로소 완성될 수 있었으니, 후손인 한국인들이 해외에서 고려인(高麗人: Korean)이라고 불리는건 패서 고구려인들의 지분이 매우 크다. 오늘날 한민족의 주요 성본(姓本)들이 이들에게서 비롯되었거나 아닌들 대부분이 혈연적으로 관련되어 있다. 언어학적인 부분에서도 현대 한국어, 그 중에서도 표준어를 비롯한 중부 방언이 개경과 그 일대에서 고구려계 주민들이 사용하던 언어가 이식된 점을 감안하면, 정치와 언어뿐만 아니라 유형과 무형 문화를 가리지 않는 등 여러 분야에서 이들이 궁극적으로 끼친 영향력은 전방위적이다.
5. 여담
6. 같이보기
[1] 후술된 패서 호족 중에 왕륭의 송악, 유천궁의 정주 등은 현재 기준으로 경기도 북서부다.[2] 신라말부터 고려초까지의 시기[3] 왕륭, 유천궁, 황보제공, 유긍순, 류차달, 염형명, 윤신달, 유금필, 박지윤, 두은점, 강호경, 최온, 김락 등. 박지윤이나 김락처럼 본향이 신라인 사람들을 제외하면 대부분 고구려계다.[4] 미천왕 대에 고구려가 정복하면서 패권 국가로 발돋움할 수 있게한 핵심 기반이 된 사실상 수도권이었다. 패서 외에도 요동, 책성, 국내성 일대 또한 고구려의 대표적인 인구 밀집지였다.[5] 현 황해도 재령군으로 추정. 조선시대의 수도였던 한성/한성과는 이름만 같을 뿐 전혀다른 성이다. 고구려의 한성은 압록강 일대의 국내성과 수도인 평양성과 더불어 어깨를 나란히 하는 대성(大城)이자 인구 밀집지였다.[6] 패서는 요동이나 평양과는 달리 강제이주나 인구 유출이 없었던데다가 그곳에서 살던 기존 고구려인들 외에도 고구려 멸망 직후 흩어져 있던 타지 출신 고구려 유민들까지 대거 자리잡게 된 곳이다. 그런만큼 호로하(瓠蘆河)라 불리던 임진강 일대와 그 이북은 실질적으로 고구려 유민들의 앞마당이나 다름없었다.[7] 다만 궁예 본인은 경문왕의 서자인 배경이 유력했던데다 청주에서 성장했기에 그다지 고구려 유민 의식은 별로 없었다. 때문에 어렵게 얻은 고려란 국호를 마진에 이어 태봉으로 바꿔버리고, 수도도 패서 바깥 철원으로 옮기는 등 고구려색 빼기를 시도한다. 왕건을 필두로 한 쿠데타도 이것에 반발한 게 중요한 원인 중 하나였다.[8] 이 때문에 후백제는 신라의 서라벌을 침공하여 수도 경주시를 약탈하고 경애왕을 죽음으로 몰아간 뒤 신라인 상당수를 후백제 내지로 강제 이주시켰으나 패서지역이 중심이던 고려는 오히려 친신라 정책을 펴서 경순왕을 귀순하게 만들었다.[9] 제2수도인 서경과 철령 이북[10] 일례로 발해의 세자인 대광현은 오늘날 배천군 일대였던 백주(白州)를 식읍으로 하사받으면서 일대를 통치하였다.[11] 반면 개성-장단 이동의 임진강 이남 지역은 이미 진흥왕 시기부터 신라의 영토였고 패강진의 설치 역시 개성 지역부터 시작했기에 패서 지역이라 보기 어렵다.[12] 한언공의 부친으로, 왕건의 친모인 위숙왕후 한씨와 같은 집안으로 추정된다. 단주 한씨는 뿌리는 공유하는 것으로 보이나 청주 한씨에서 분적한 씨족은 아니다. 알 수 없는 시기에 남쪽으로 이주해간 것으로 추정되는 청주 한씨와는 달리, 단주 • 곡산 • 삼화 • 가주 본관의 한씨들은 고조선-낙랑군 시기부터 왕씨(王氏)들과 더불어 패서 일대에 계속 잔류 및 세거한 고구려의 낙랑계예맥계 토착 성본들이다. 즉, 고구려 멸망을 전후로 북부에서 압수(鴨水) 이남으로 남하한 요동의 두씨(豆氏)나 책성(柵城) 일대의 강씨(康氏) 족단과 달리, 한총례는 개성 왕씨들처럼 오래전 패서와 평양성을 기반으로 하던 고구려 중남부의 근본있는 집안에 뿌리를 둔 호족이라고 볼 수 있는 셈이다. 후손 가운데 고려 정종의 국구였던 한조와 문극겸의 외조부이자 한때 이자겸의 최대 정적이었던 한안인(韓安仁) 등이 있다. 『정운용, 2016. 樂浪關聯墓誌銘에 보이는 箕子繼承意識, 고려대학교.』 참조[13] 후손인 박경인(朴景仁)의 묘지명에서는 박직윤의 아버지인 박적오(朴赤烏)가 신라 죽주(竹州)에서 북경도위찰산후(北京都尉察山侯)를 지내면서 살다가 평주로 이주해 십곡성(十谷城) 등 13개의 성을 설치, 이후 궁예에게 귀의(歸于)했다고 적혀있다. 즉, 평주 박씨 일가는 신라에서 유력한 귀족 계층에 속하는 왕경인 이주집단으로서 패서에 정착한 부류라고 볼 수 있다. 다만 대에 걸쳐 패서의 고구려인들 틈속에서 살다보니 신라인으로서의 정체성이 희석되고 관직명인 대모달읍장(大毛達邑長)을 자처하는 등 이들은 점차 고구려인으로서의 정체성을 띄게 된다. 물론 박어(朴魚)나 박승(朴昇) 같은 발해 출신 박씨들의 존재가 확인되고 있기 때문에 패서에 있는 박씨들이 모두 신라계라고 섣불리 단정하기 어려운 부분도 어느 정도 있겠지만, 평주 박씨 가문의 경우 그 선계가 상당수 규명이 되는만큼 패서의 고구려계 사회에 동화된 왕경인 출신이라고 봐도 큰 무리가 없다. 때문에 통혼 등을 경로로 모계혈통을 통해서 고구려인의 피가 섞였을 여지는 있을지언정, 이들의 출자를 고구려 혹은 발해로 비정하는 것은 큰 비약이다.[14] 반대로 위에서 등장하는 동주 호족 김행파(金行波)나 그의 후계인 김치양은 신라계가 아닐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 해주 정씨 등과 같이 일대의 현지인들로서 새로 성씨를 하사받은 경우에 해당되기 때문이다.[15] 호족 이외에도 패서 계열 여러 씨족 집단이 있었다. 해주 정씨, 우봉 최씨, 제안 황씨, 곡산 척씨, 연주 현씨, 파주 염씨, 연안 차씨, 곡산 연씨 등이 대표적이다. 여기서 한가지 유의할 점은, 패서 계열의 씨족이 아니라고 해서 고구려계가 아니라고 부정하는 점이다. 그 반대도 마찬가지다. 패서 호족이라는 개념은 패서 지방을 기반으로 한다는 속지주의적인 관점에 고구려와의 혈연적 연관성을 필두로 한 속인주의적인 개념을 덧댄 것이기 때문이다. 즉, 출자가 신라나 백제라고 해도 대대로 패서에 기반한 호족이면 패서 호족으로 볼 수 있다. 다만 이들은 고구려계들을 주류로 하는 패서에 녹아들게 되면서 고구려계라고 봐도 큰 무리는 없기에, 크게 따지는 편은 아니다.[16] 패서 계열이 아니면서도 고구려계 씨족인 경우는 많다. 가령 고구려인을 시조로 삼는 진주 강씨, 성주 도씨, 익산 이씨, 토산 궁씨, 의흥 예씨, 상주와 초계 주씨 등이 있으며 중국계를 자처하지만 실상 고구려에서 남하했을 확률이 더 높은 8학사 계열(대표적으로 남양 홍씨 당홍계와 원주 원씨 등이 있다), 유씨(劉氏), 남씨(南氏), 모씨(牟氏) 등의 성본들이 상당수 전해지고 있다. 행주 기씨 등 발해 계통으로 추정되는 성씨들은 따로 멸망과 유민 항목 참고.[17] 신라의 관등 체계를 사용했던 것.[18] 왕실의 근친혼, 교종 등을 비롯한 불교 문화 사상, 삼한일통(三韓一通) 사상 등.[19] 고분 벽화와 별자리 그림 등.[20] 기본적으로 통일신라 시기 정립한 양식을 기본으로 한다. 불탑을 모방해 봉분 주변을 둘러싼 난간석, 12지신을 봉분 아래에 부조한 병풍석, 무덤 주변의 석물 배치는 확실히 원성왕릉 같은 신라 후기 양식을 이어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