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8 02:09:59

천사옥대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A2646, #4A2D5B 20%, #4A2D5B 80%, #3A2646)"{{{#!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4A2D5B><tablebgcolor=#4A2D5B> 파일:경주 천마총 장니 천마도.png진평왕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4A2D5B,#2d2f34><colcolor=#fbe673,#f9d537> 생애 및 활동 <colbgcolor=#fff,#1f2023>생애
관련 문서 진평왕릉 · 천사옥대 · 경주 남산 신성비 · 혜성가
연호 건복
}}}}}}}}} ||



1. 개요2. 역사3. 관련 문서

1. 개요

신라 상대 진평왕 즉위년에 옥황상제가 내려보낸 선녀에게서 받은 신성한 옥대(허리띠). 신라삼보 중 하나.

하늘의 신들이 쓰던 허리띠를 왕위 즉위년에 하늘에서 하사한 선물이라고 할 수 있다.

2. 역사

삼국유사에 따르면 579년 진평왕이 즉위할 때 선녀가 옥대를 가지고 내려와 왕에게 바친 뒤 사라졌다고 한다. 형태는 금으로 새겨서 옥으로 장식해 만든 네모난 판형 62마디를 연결한 허리띠로, 각 마디에는 하늘에서 정한 계시가 씌었다고 한다.

천사옥대는 길이가 10위(圍)(1.5 m)였다고 하는데, 보통 사람은 감히 찰 수 없을 만큼 허리띠치고는 길이가 매우 길다. 진평왕의 체구가 매우 컸다는 기록도 있음을 생각하면 앞뒤가 맞는다. 물론 고대에는 군주의 위엄을 과시하기 위해 군주의 체구를 과장한 사례가 많으므로 이 옥대도 그 과장한 표현에서 유래했을 가능성도 없지는 않다. 전왕인 진지왕이 문제가 있어 재위 4년(579)에 폐위되었기 때문인지 진평왕 대에는 신성한 왕권을 공고히 다잡을 필요가 있어 이런 신물을 부각한 듯하다. 진평왕은 천사옥대를 중요행사 때 반드시 착용해 왕권의 권위를 확고히 세우고자 했던 것 같다.

다만 진평왕 이후 언젠가부터는 신라 왕이 직접 착용하지는 않고 비공개된 채로 창고에 보관했다. 수백 년이 지나 10세기 초 후삼국시대 경명왕 대에 신라 사신 김율고려 왕건에게 갔다. 그에게 왕건이 신라삼보에 대해 물었는데, 김율은 다른 둘은 잘 알았지만 천사옥대의 행방에 대해서는 대답하지 못했다. 이후 서라벌의 창고를 뒤져서 다시 찾아냈다고 한다.

창고에서 천사옥대를 찾아내는 데에도 전하는 일화가 있다. 고려사에 따르면 당시 황룡사에 살던 나이 아흔이 된 노승에게 물어서 천사옥대가 아직 신라에 있음을 알았다. 그래서 보관된 창고를 찾아서 꺼내려고 하자 구름과 안개가 자욱하게 일어서 도무지 찾을 수가 없었다. 제사를 지내고서야 안개가 걷혀서 찾을 수 있었다고 한다. 이에 대해선 신라의 국체를 지키려는 세력이 고려에게 저항했음을 상징적으로 표현했다는 주장도 있다.[1] 신라가 나라를 고려에 바친 후 937년에 신라의 마지막 왕 경순왕이 왕건에게 바쳤다. 위와 같이 예전부터 왕건이 관심을 두었기 때문이었던 듯.

왕건이 보물에 관심을 두었음은 유학자의 입장에서 보면 비판받을 만한 일이다. 그래서 12세기 고려 중기의 학자 김부식삼국사기에 사론을 달아 왕건을 위해 변명했지만, 왕건을 폄하해도 상관없는 조선 시대에는 왕건이 천사옥대를 탐낸 부분을 가차없이 비판했다. 하지만 왕건의 입장에서는 신라의 정통성을 자신이 흡수했다는 프로파간다를 위해서도 그 신라의 상징적인 보물이라고 할 수 있는 천사옥대를 신라로부터 빼앗아 이전해서 자신이 보관하는 것이 오히려 권력 획득에 도움이 되었다는 점에서 유학자들의 말은 어폐가 있다. 그리고 기록에는 왕건이 김율에게 신라삼보에 대해 물었을 때에 왕건이 콕 집어 성제대를 묻자 김율이 성제대의 존재를 대답하지 못하고, 이때 왕건이 "경은 지위가 높은 신하로서 어찌 나라의 큰 보배를 모르는가?"라고 되물어서 김율이 부끄럽게 여겼고 신라로 돌아와 아뢰었으나 신라왕과 신하들도 알지 못해 황룡사의 노승에게 물어서 알게 되었다, 는 이야기 전개를 보면 왕건이 성제대에 관심을 둔 게 아니라 "니들은 니네 나라 보물이 어디에 있는지도 모르냐?"라고 비웃는, 그리고 왕건의 말대로 (당시 신라의 입장에서는 북쪽 변방인 고려 땅의 왕건도 아는) 자기 나라의 보물조차 알지 못하는 신라왕과 신하들의 어리석음이 부각되는 전개를 독자들에게 드러내 보이기 위해서라는 게 확인된다.

천사옥대는 이후 고려의 창고(內庫)에 두었다고 하니, 중국의 전국옥새처럼 고대 한국에서 천명을 상징하는 물건이었던 모양이다. 야사에 의하면 조선시대까지도 보관되었다고 한다.

천사옥대의 실제 모양은 행방이 묘연한 지금은 모른다. 뉴스 기사 등에서 천사옥대를 설명할 때 참고 이미지로 지금까지 남은 다른 신라 허리띠인 천마총 금제 허리띠, 황남대총 북분 금제 허리띠, 금관총 금제 허리띠를 첨부하는 경우가 많다.#

북한에 있는 왕건의 후손이라는 왕명찬이라는 사람이 왕건이 직접 쓰던 옥새, 옥대, 족보 등을 북한 당국에 기증했다고 한다.[2] 이 중 옥대는 왕건이 이전부터 천사옥대에 관심이 많았고 결국 후삼국 통일 후 챙겼다는 기록을 감안하면 이 천사옥대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허나 현재까지도 매체를 통해 공개된 적은 없다.

3. 관련 문서



[1] 수장고에 어떤 유물들이 있는지 현황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해서 헤매는 일은 현대에도 자주 있다.# 정말 있는데 못 찾았던 것일지도 모르고, 진평왕의 직계는 사실상 선덕여왕을 마지막으로 끊어지기 때문에 이후의 신라왕들이 자신들의 권위를 굳이 진평왕에게 찾아야 할 필요도 없었으니만큼 김율 같은 후대 신라인들이 '옛날에 그런 보물도 있었지' 정도로 인식하고 더 관심을 두지 않았다고 해도 이상할 것은 없다. 똑같이 후대에 직계가 단절되었어도 부계쪽만 단절되고 모계로는 그럭저럭 왕계에 피가 이어졌고, 후대에는 아예 종묘의 불천위로 삼아 버렸던 태종 무열왕-문무왕과는 상황이 많이 다르다. 만파식적 항목 참조.[2] 그의 조상이 왕조가 망하면서 이 보물들을 챙겨서 산골로 들고 가 성을 바꾸고 살면서 대대로 내려온 유물이라고 한다. 북한에서는 진품으로 본다. 대가 없이 기증한 데다, 기증자가 맡기면서 김일성 주석에게 전해 달라고 말한 점 등 정황을 보면 가품일 리는 없을 것이다. 감히 지도자에게 가품을 줬다가는 멸문지화를 입는 동네이니... 물론 기증자는 진품이라고 믿었지만 실제로는 아닐 수도 있고 저 사례 자체가 북한의 조작일 가능성도 있으니 진품이라고 확신할 수 없다. 설령 조작이라고 해도 북한 정권 특성상 진품이라고 선언해 버리면 그만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