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 0%, #000 20%, #000 80%, #000); color: #c5b356;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대막리지 겸직 | |||
<rowcolor=#c5b356,#a99639>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
연개소문 | 연남생 | 연남건 | 연남산 | |
<colbgcolor=#000> 고려[1] 연씨 정권 | 淵氏政權 | |||
| |||
군기 | |||
<nopad> | |||
642년 ~ 668년 (26년) | |||
성립 이전 | 멸망 이후 | ||
고구려 | 당 안동도호부 | 발해 | |
소고구려 고구려부흥운동 | |||
신라 패서 호족 • 보덕국 | |||
위치 | 한반도 중 · 북부, 랴오닝성, 지린성, 헤이룽장성, 프리모리예 지방 일대 | ||
역사 | 642년 연개소문의 쿠데타 및 집권 645년 고구려-당 전쟁 발발 664년 연개소문 사망[2] 666년 연남생이 당에 투항, 연정토가 신라에 투항 668년 11월 보장왕이 당에 투항 668년 12월 평양성 함락 및 완전 멸망 | ||
수도 | 평양성 | ||
민족 | 예맥, 한(韓), 말갈[3] | ||
언어 | 고구려어 (고대 한국어) | ||
문자 | 한자, 구결 | ||
종교 | 무속[4], 불교 | ||
정치 체제 | 군주제 (군사독재) | ||
국가원수 | 태왕(太王) | ||
정부수반 | 대막리지 | ||
태왕 | 제28대 보장왕 | ||
대막리지 | 초대 연개소문 제2대 연남생 제3대 연남건 제4대 연남산 | ||
국성 | 고(高) |
1. 개요
고구려 말기에서 파생된 연씨의 세습 정권. 무려 26년 동안 존속하며 4대를 걸친 정권이다.2. 상세
642년 10월 영류왕을 제거한 연개소문은 그의 정권을 차지하여 집권에 성공한다. 그는 보장왕을 세웠고 이후 제1차 고구려-당 전쟁에서 승리하였다.3. 고구려-당 전쟁과 정권의 붕괴
하지만 연개소문이 사망하고 연남생이 대막리지의 직위에 올랐으나, 자신의 두 아우였던 연남건과 연남산의 갈등으로 자신의 무리들과 거란, 말갈병 등을 이끌고 그의 아들 연헌성과 함께 당나라에 투항해 버렸다. 이후 고구려를 통치하던 그 아들들 사이에서 내분이 일어나버려 결국 당 고종과 신라에 침략할 기회를 허용하게 되었고 668년에 연씨 정권과 고구려는 멸망하고 말았다.4. 역대 집권자
고구려의 대막리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제28대 보장왕대 | <colbgcolor=#c5b356> 태대대로 | 연개소문 | |
태대막리지 | 연남생 | |||
막리지 | 연남건 | |||
태대막리지 | 연남산 | |||
* 삼국사기, 연남생 묘지명, 연헌성 묘지명, 연남산 묘지명 원문 기준 각각 가장 높은 관직명 기술. | ||||
고구려 (좌우보 · 국상 · 대막리지) · 백제 (좌우보 · 상좌평) 신라 (대보 · 시중 · 상대등) · 발해 대내상 · 태봉 시중 · 고려 문하시중 조선 영의정 · 대한제국 내각총리대신 · 임시정부 부수반 · 대한민국 국무총리 | }}}}}}}}} |
대수 | 이름 | 재임기간 |
1 | 연개소문 | 642년 ~ 666년 |
2 | 연남생 | 666년 ~ ? |
3 | 연남건 | ? ~ 668년 |
4 | 연남산 | 668년 |
5. 유사 사례
- 고려: 무신정권 - 최씨 정권 및 임씨 정권[5]
- 일본: 헤이케[6]
- 일본: 막부(정이대장군)
- 대월: 찐씨 정권
- 네팔 왕국: 라나 가문
- 마라타 제국: 바트 가문(페슈와)
- 프랑크 왕국: 피핀 가문(궁재)
[1] 장수왕 시대 이후부터 멸망할 때까지 고구려의 국호는 고려였다.[2] 665년이라는 설도 있다. 자세한 내용은 연개소문 참조.[3] 흑수말갈, 속말말갈, 백산말갈 등[4] 고구려/종교 문서로.[5] 임연 - 임유무 부자세습.[6] 일본의 중앙정부를 장악했으나, 키요모리 사후 후계자가 무능해서 겐페이 합전에서 패하고 멸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