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2 18:35:57

최씨 정권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 min(1em, 4.2vw); text-align: center;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ff,#101010>상고​시대<nopad>부여<nopad><nopad>진국<nopad>탐​라<nopad>우​산
원삼국​시대한사군[2]<nopad>마한<nopad>변한<nopad>진한
<nopad>낙랑<nopad>동예<nopad>옥저<nopad>고구려
삼국​시대고구려<nopad>백제<nopad>가야[3]<nopad>신라
고구려
<nopad>신라
남북국​시대발해통일신라
후삼국​시대<nopad>태봉 <nopad>후​백제신라
고려
고려​시대고려
조선​시대조선
개화기대한제국
일제​강점기식민지 조선[4]대한​민국​임시​정부
현대<nopad>조선건국준비위원회
소련군정[4]미군정[4]
<nopad>북한<nopad>
[1] 기자조선은 현대 주류 학설에서는 인정되지 않음.
주요 민족: 한민족 (예맥 · 삼한)}}}}}}}}}


파일:고려 의장기 문양.svg
무신정권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연립정권 제1대 제2대
이고 · 이의방 · 정중부 이의방 정중부
제3대 제4대 제5대 제6대 제7대
경대승 이의민 최충헌 최우 최항
제8대 문신 제9대 제10대 제11대
최의 류경 김준 임연 임유무
기타
  조원정 · 두경승 · 안경공 · 이소응 · 정균
고려 국왕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00 0%, #000000 20%, #000000 80%, #000000);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진주 공작 겸직
<rowcolor=#fff>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경성공 광렬공 광정공 최의

}}}}}}}}} ||
고려
최씨 정권 | 崔氏政權
파일:고려의 행정구역.png
1196년 ~ 1258년
성립 이전 붕괴 이후
무신정권
[[이의민|{{{#!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무신정권
[[김준(고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수도 <colbgcolor=#fff,#191919>개경 (1196 ~ 1232)
강도 (1232 ~ 1258)
국성 개성 왕씨
지도자 초대 최충헌
제2대 최우[1]
제3대 최항[2]
제4대 최의
국왕 제19대 명종
제20대 신종
제21대 희종
제22대 강종
제23대 고종
언어 중세 한국어
문자 한자, 구결
역사 1196년 최충헌 집권
1216년 거란 유민들의 고려 침공
1219년 최충헌 사망, 최우 집권
1231년 고려-몽골 전쟁 발발
1232년 강도로 천도
1249년 최우 사망, 최항 집권
1257년 최항 사망, 최의 집권
1258년 최의 피살, 정권 붕괴

1. 개요2. 상세3. 통치기구4. 여몽전쟁과 정권의 붕괴5. 역대 공작6. 관련 사료7. 유사 사례8. 둘러보기

1. 개요

고려 중기 무신정권에서 파생된 최씨의 세습 정권. 무려 62년 동안 존속하며 4대에 걸쳐 세습되었던 정권이다. 무신정권 시대 전부가 그랬던 것처럼, 이 당시에 고려의 왕족은 여전히 왕씨였으나 실질적인 통치자들은 모두 이 최씨 정권의 집권자들이었다.

2. 상세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무신정권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이의민을 제거한 최충헌은 그의 정권을 차지하여 집권에 성공한다. 그는 명종을 폐위하고 신종을 세웠고 이후 희종을 폐위시키고 고종을 즉위시키는 등 왕권을 약화시켰다. 그리고 반대파(문신), 반란세력을 억압, 견제세력의 부재를 바탕으로 세습 정권의 기초를 만들었다.

그리고 이러한 체제는 수완이 뛰어난 아들 최우 대에 이르러 더욱 강화된다. 그러나 몽골의 본격적인 침략이 시작되고, 고려 왕실과 최씨 정권은 강화도로 들어가 지루한 지구전이 시작된다.

3. 통치기구

4. 여몽전쟁과 정권의 붕괴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여몽전쟁/무신정권 비판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이후 3대 집권자인 최항이 죽고 그의 아들 최의가 야별초를 비롯한 세력들에게 옹립받아 집권했으나, 그 최의는 집권 초기에는 나름 정치를 잘했지만 이후 역대급 폭정을 저지르면서 민심을 잃었다. 그의 폭정으로 인해 고려의 조정과 백성들은 숱한 만행을 벌인 최씨 정권을 더 이상 지지하지 않았고 몽골의 재침입으로 항쟁하는 와중에도 최의는 폭정을 멈추지 않았으며, 결국 그에게 불만을 품은 부하 김준을 비롯한 삼별초가 최의를 실각시키면서 그 영원할 것만 같았던 최씨 세습 정권은 이로써 완전히 붕괴되었다.

5. 역대 공작

대수 시호 성명 재임기간(연도·군주)
추존 익정공(翼靖公) 최원호 - -
1 경성공(景成公) 최충헌 1196 ~ 1219 명종
신종
희종
강종
고종
2 광렬공(匡烈公) 최우 1219 ~ 1249 고종
3 광정공(光正公) 최항 1249 ~ 1257
4 - 최의 1257 ~ 1258

6. 관련 사료

7. 유사 사례

8. 둘러보기

한국의 역사
무신정권의 전개
고려
무신정권
고려
무신 정권(최씨)
고려
무신정권

[1] 개명 후 최이[2] 개명 전 최만전[3] 연개소문 - 연남생 부자세습.[4] 이자연(고려) - 이호(경원백) - 이자겸 삼대세습[5] 임연 - 임유무 부자세습.[6] 일본 막부와의 유사성으로 고려의 최씨 정권이 자주 언급되며 아예 최씨 막부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