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교구 및 본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9A26A, #B9A26A 20%, #B9A26A 80%, #B9A26A); color: #231916; min-height: 31px" {{{#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231916> 직할교구 | 제2교구 | 제3교구 | 제4교구 | 제5교구 |
조계사 | 용주사 | 신흥사 | 월정사 | 법주사 | |
<rowcolor=#231916> 제6교구 | 제7교구 | 제8교구 | 제9교구 | 제10교구 | |
마곡사 | 수덕사 | 직지사 | 동화사 | 은해사 | |
<rowcolor=#231916> 제11교구 | 제12교구 | 제13교구 | 제14교구 | 제15교구 | |
불국사 | 해인사 | 쌍계사 | 범어사 | 통도사 | |
<rowcolor=#231916> 제16교구 | 제17교구 | 제18교구 | 제19교구 | 제20교구 | |
고운사 | 금산사 | 백양사 | 화엄사 | | |
<rowcolor=#231916> 제21교구 | 제22교구 | 제23교구 | 제24교구 | 제25교구 | |
송광사 | 대흥사 | 관음사 | 선운사 | 봉선사 | |
군종특별교구 · 해외특별교구 | }}}}}}}}}}}} |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221e1f,#fff> | }}} | ||
{{{#!wiki style="color:#fff; margin:-0px -10px -5px; min-height:26px" dark-style="color:#221e1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통도사 | 부석사 | 봉정사 | 법주사 |
마곡사 | 선암사 | 대흥사 | ||
}}}}}}}}}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유명한 불교 절(사찰, 寺刹) 목록을 정리한 문서.2. 수도권
2.1. 서울특별시
- 조계사 : 대한불교 조계종 총본산 / 종로구 수송동 / 현임 주지는 원명 스님
- 정각원 : 대한불교 조계종 / 중구 필동3가 / 동국대학교 서울캠퍼스의 법당
- 봉은사 : 대한불교 조계종 / 강남구 삼성동 / 현임 주지는 원명 스님[1]
- 도선사 : 대한불교 조계종 / 강북구 우이동
- 화계사 : 대한불교 조계종 / 강북구 수유동
- 연화사 : 대한불교 조계종 / 동대문구 회기동
- 영화사 : 대한불교 조계종 / 광진구 구의동
- 호압사 : 대한불교 조계종 / 금천구 시흥동
- 봉원사 : 한국불교 태고종 총본산 / 서대문구 봉원동
- 관문사 : 대한불교 천태종 / 서초구 우면동
- 구룡사 : 대한불교 조계종 / 서초구 양재동
- 길상사 : 대한불교 조계종 / 성북구 성북동
- 보문사 : 대한불교 보문종 총본산 / 성북구 보문동 / 경주시의 석굴암을 본떠서 만든 석굴암이 있으며, 비구니 사찰이다.
- 봉국사 : 대한불교 조계종 / 성북구 정릉동
- 수국사 : 대한불교 조계종 / 은평구 구산동
- 진관사 : 대한불교 조계종 / 은평구 진관동
- 묘각사 : 대한불교 관음종 총본산 / 종로구 숭인동
- 흥천사 : 대한불교 조계종 / 성북구 돈암동
- 서울구도회 : 한국불교연구원[2] / 종로구 익선동
2.2. 경기도
- 용주사 : 대한불교 조계종 제2교구 본사 / 화성시
- 봉선사 : 대한불교 조계종 제25교구 본사 / 남양주시 진접읍
- 현등사 : 대한불교 조계종 / 가평군 조종면
- 흥국사 : 대한불교 조계종 / 고양시 덕양구
- 여래사 : 대한불교 조계종 / 고양시 일산동구
- 봉정사 : 대한불교 조계종 / 김포시 대곶면
- 묘적사 : 대한불교 조계종 / 남양주시 와부읍
- 봉국사 : 대한불교 조계종 / 성남시
- 수종사 : 대한불교 조계종 / 남양주시 조안면
- 흥국사 : 대한불교 조계종 / 남양주시 별내면
- 석왕사 : 대한불교 조계종 / 부천시 원미구
- 대광사 : 대한불교 천태종 / 성남시 분당구
- 봉녕사 : 대한불교 조계종 / 수원시 팔달구
- 수원사 : 대한불교 조계종 / 수원시 팔달구
- 반야사 : 대한불교 조계종 / 수원시 영통구
- 용광사 : 대한불교 천태종 / 수원시 장안구
- 삼막사 : 대한불교 조계종 / 안양시 만안구
- 안양사 : 한국불교 태고종 / 안양시 만안구
- 자재암 : 대한불교 조계종 / 동두천시
- 회암사 : 대한불교 조계종 / 양주시 / 조선 왕실의 왕사(王寺)
- 용문사 : 대한불교 조계종 / 양평군 용문면
- 능원사 : 여주시 북내면
- 성불사 : 대한불교 조계종 / 가평군 가평읍
- 신륵사 : 대한불교 조계종 / 여주시
- 법륜사 : 대한불교 조계종 /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 와우정사 : 대한불교 열반종 / 용인시 처인구
- 화운사 : 대한불교 조계종 / 용인시 처인구
- 용화사 : 대한불교 조계종 / 의왕시
- 청계사 : 대한불교 조계종 / 의왕시
- 보광사 : 대한불교 조계종 / 파주시 광탄면
- 용암사 : 대한불교 조계종 / 파주시 광탄면
- 약천사 : 대한불교 조계종 / 파주시 교하면
- 수도사 : 대한불교 조계종 / 평택시 포승읍
- 칠장사 : 대한불교 조계종 / 안성시 죽산면
- 유마정사 : 한국불교연구원 / 광주시 곤지암읍
- 홍법사 : 대한불교 조계종 / 화성시 서신면
2.3. 인천광역시
- 보문사 : 대한불교 조계종 / 강화군 삼산면[3] / 현임 주지는 선조 스님
- 백련사 : 대한불교 조계종 / 강화군 하점면
- 의선당 : 중구 북성동2가 [4]
- 적석사 : 대한불교 조계종 / 강화군 내가면
- 전등사 : 대한불교 조계종 / 강화군 길상면
- 청련사 : 대한불교 조계종 / 강화군 강화읍
- 황룡사 : 대한불교 천태종 / 서구 백석동
- 흥륜사 : 대한불교 관음종 / 연수구 동춘동
3. 강원특별자치도
- 신흥사 : 대한불교 조계종 제3교구 본사 / 속초시
- 월정사 : 대한불교 조계종 제4교구 본사 / 평창군 진부면
- 상원사 : 대한불교 조계종 / 평창군 진부면
- 건봉사 : 대한불교 조계종 / 고성군 거진읍
- 선정사 : 양구군 양구읍
- 낙산사 : 대한불교 조계종 / 양양군 강현면
- 삼화사 : 대한불교 조계종 / 동해시
- 구룡사 : 대한불교 조계종 / 원주시 소초면
- 국형사 : 대한불교 조계종 / 원주시
- 석경사 : 대한불교 조계종 / 원주시
- 백담사 : 대한불교 조계종 / 인제군 북면
- 봉정암 : 대한불교 조계종 / 인제군 북면
- 오세암 : 대한불교 조계종 / 인제군 북면
- 법흥사 : 대한불교 조계종 / 영월군 무릉도원면
- 정암사 : 대한불교 조계종 / 정선군 고한읍
- 도피안사 : 대한불교 조계종 / 철원군 동송읍
- 청평사 : 대한불교 조계종 / 춘천시 북산면
- 삼운사 : 대한불교 천태종 / 춘천시
- 현지사 : 춘천시 사북면
4. 충청도권
4.1. 대전광역시
- 갑사 대전포교당 법천사: 대전광역시 중구 계룡로 768[5].
- 비래사: 대전광역시 대덕구 비래골길 47-74.
- 죽림정사: 대전광역시 대덕구 신탄진로36번길 177[6]. 지역 봉사활동이 활발하다.
- 광제사(홈피/카페)/중앙불교회관[7]: 대전광역시 동구 자양동 89-9[8]. 1,2층을 열린 도서관으로 개방하고 있으며, 주기적으로 경로잔치/어린이청소년 수련회 등을 열어 사회봉사도 하고 있다.
- 금강반야원/금강유치원: 대전광역시 동구 성남동 35-5.
- 보현불교대학/보현문화회관: 대전광역시 동구 대자양5길 5. 교회를 매입해 사찰로 쓰는 곳으로, 숭산이 세운 공성회가 모체다.
- 약불사[9]: 대전광역시 동구 동대전로 105. 1996년 대전 약불사 방화사건으로 인해 불상 5점과 탱화 7점이 소실되는 피해를 입었다.
- 백제불교회관/백제불교문화대학/(사)백불복지회(링크): 대전광역시 서구 계룡로491번길 56.
- 생활불교회관: 사단법인 대한생활불교회 관할. 대전광역시 서구 계룡로536번길 20. #
- 세등선원: 대전광역시 서구 탄방로 35 세등선원. 창시자 세등 비구니의 법명을 따 명칭을 지은 곳으로, 대전광역시 도심 속 비구니 수행정진 사찰.
- 영선사: 대전광역시 서구 배재로91번길 22-11. 사찰요리로 유명하다.
- 충효사: 대전광역시 서구 남선로 14[10].
- 화암사/도솔노인복지센터: 대전광역시 서구 변동서로 27번길 20-3. 2007년 문을 연 곳으로, 노인복지와 무료 급식/한방치료 봉사도 하고 있다.
- 한국불교연구원 대전구도회: 대전광역시 서구 신갈마로 262 대업빌딩 302호.
- 광수사: 대전광역시 유성구 학하서로63번길 26 광수사. 천태종 사찰.
- 봉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문화원로6번길 48[11]. 1층의 열린 도서관 겸 카페와 무료미용실으로 인해 사회봉사가 활발하다.
- 신흥사: 대전광역시 유성구 동서대로735번길 24-9. 대한불교정토종 사찰이다.
- 여래사: 대전광역시 유성구 현충원로 399-9.
- 여진선원/여진미술관: 대전광역시 유성구 엑스포로 624[12]. 불교미술관을 겸하는 곳인 지라 오전 9시~오후17시 30분까지 개관한다. 분위기가 보통 절들하곤 많이 다르지만 엄연히 조계종 관할.
- 자광사: 대전광역시 유성구 학하동.
- 관음사/대전비구니청림회[13]문화회관/제16호 사찰도서관: 대전광역시 중구 보문산공원로 197번안길 59.[14]
- 대한불교금강회관: 대전광역시 중구 보문로 342.
- 덕수암: 대전광역시 중구 보문산공원로497번길 42.
- 만불선원/대전불교대학: 대전광역시 중구 보문로291번길 24. 불교인재 양성교육과 각종 사회 봉사활동이 활발하다.
- 보문사: 대전광역시 중구 보문산공원로 440. 고려 때 사찰 유적인 대전 보문사지와는 별개의 작은 암자 수준의 절이다.[15] 본래 대웅전은 양옥이 아니었으나 1999년 이교도의 방화로 원래 대웅전은 전소되었다.
- 복전암(복전선원): 대전광역시 중구 보문로115번길 29. 재단법인 선학원 소속의 비구니 수행사찰.
- 불광사: 대전광역시 중구 보문산공원로497번길 72.
- 용수사(통도사 대전포교원/통도사대전불교대학): 대전광역시 중구 동서대로 1191 2층.
- 삼문사/삼문사유치원: 대전광역시 중구 보문로115번길 29. 천태종 사찰.
- 송학사: 대전광역시 중구 보문산공원로 364.
- 연화사/맑고향기롭게 대전지부: 대전광역시 중구 문화2동 583-7.
- 정수사/수덕사대전불교대학: 대전광역시 중구 대흥로111번길 17.
- 태조사: 대전광역시 중구 보문로199번길 55. 테미공원 근처의 태고종 사찰이다.
- 형통사: 대전광역시 중구 보문로 179-12. 테미공원 근처의 조계종 사찰이다.
- 형통사: 대전광역시 중구 보문산공원로497번길 81-10. 24시간 개방하는 지장기도 도량이다.
4.2. 세종특별자치시
- 영평사: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구절초축제로 유명하며, 세종특별자치시 편입 이전에는 충청남도 공주시 장기면이었다.
- 비암사: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진입로 일부가 도깨비도로로 불리며, 세종특별자치시에서 출토된 국보 중 하나가 바로 이 곳에 있었다. 현재는 국립청주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 황룡사: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공주 마곡사 말사.
- 대한불교조계종 광제사: 행정중심복합도시내에 건설된 유일한 절이며 2022년에 준공되었다. 국회세종의사당, 대통령 집무실부지 인근이라 세종동 일대가 개발되면 많은 관광객들이 몰릴 것으로 보인다. 시에서 전통 문화 센터도 운영한다 [16]
4.3. 충청북도
- 법주사 : 대한불교 조계종 제5교구 본사 / 보은군 속리산면 /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 구인사 : 대한불교 천태종 총본산 / 단양군 영춘면
- 각연사 : 대한불교 조계종 / 괴산군 칠성면
- 학림사 : 대한불교 조계종 / 괴산군 괴산읍 (학군교)
- 덕주사 : 대한불교 조계종 / 제천시 한수면 / 마의태자 전설로 알려져 있다.
- 정방사 : 대한불교 조계종 / 제천시 수산면
- 원각사 : 한국불교 태고종 / 제천시
- 용화사 : 대한불교 조계종 / 청주시
4.4. 충청남도
- 각원사: 충청남도 천안시
- 갑사: 충청남도 공주시.
- 개태사: 충청남도 논산시.
- 고란사: 충청남도 부여군.
- 관촉사: 충청남도 논산시.
- 동학사: 충청남도 공주시.
- 마곡사: 충청남도 공주시. 조계종 제6교구본사.
- 무량사: 충청남도 부여군.
- 보원사: 충청남도 서산시.
- 부석사: 충청남도 서산시. 쓰시마 섬에서 반출된 불상이 봉안되어 있었던 절이다. 쓰시마 불상 도난 사건 항목 참조.
- 보덕사: 충청남도 예산군.
- 수덕사: 충청남도 예산군. 조계종 제7교구본사.
- 신원사: 충청남도 공주시.
- 쌍계사: 충청남도 논산시.
- 장곡사: 충청남도 청양군. 대웅전이 2곳 있다.
- 정암사: 충청남도 홍성군.
5. 전라도권
5.1. 광주광역시
5.2. 전북특별자치도
- 동국사: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일본식 사찰건물로 유명하다.
- 금산사: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조계종 제17교구본사. 미륵전으로 유명하다.
- 실상사: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 내소사: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 선운사: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조계종 제24교구본사.
- 송광사: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 개암사: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5.3. 전라남도
- 보림사: 전라남도 장흥군.
- 송광사: 전라남도 순천시. 조계종 제21교구본사. 삼보사찰 중 승보(僧寶)사찰로 꼽힌다.
- 선암사: 전라남도 순천시. 태고종 총림. 종단 간 분쟁이 있었다.
- 흥국사: 전라남도 여수시.
- 석천사: 전라남도 여수시.
- 향일암: 전라남도 여수시.
- 백양사: 전라남도 장성군. 조계종 제18교구본사.
- 대흥사: 전라남도 해남군. 조계종 제22교구본사.
- 도갑사: 전라남도 영암군.
- 미황사: 전라남도 해남군.
- 백련사: 전라남도 강진군.
- 법천사: 전라남도 무안군.
- 화엄사: 전라남도 구례군. 조계종 제19교구본사지만 화엄종이 아니다.
- 천은사: 전라남도 구례군.
- 운주사: 전라남도 화순군. 천불천탑으로 유명하다.
- 쌍봉사: 전라남도 화순군.
- 불갑사: 전라남도 영광군.
- 불회사: 전라남도 나주시.
- 대원사: 전라남도 보성군. (천봉산)
- 구암사: 전라남도 순창군.
- 관음사: 전라남도 곡성군. 심청전의 유래가 된 근원설화가 전하는 절이다.
- 무위사: 전라남도 강진군 조계종 제22교구.
6. 경상도권
6.1. 부산광역시
- 범어사: 부산광역시 금정구. 조계종 제14교구 본사.
- 광명사: 부산광역시 금정구.
- 홍법사: 부산광역시 금정구.
- 장안사: 부산광역시 기장군.
- 해광사:부산광역시 기장군.
- 해동용궁사: 부산광역시 기장군. 게임 오버워치의 부산맵의 배경이 된 사찰.
- 마하사: 부산광역시 연제구. 부산 최초의 사찰로 알려져있다.
- 삼광사: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 선암사: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 석불사: 부산광역시 북구.
- 운수사: 부산광역시 사상구. 운수사 대웅전은 부산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건물이다.
- 내원정사: 부산광역시 서구. 절보다는 유치원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 대각사: 부산광역시 중구. 영화 <달마야 서울가자> 촬영지이기도 하다.
- 복천사: 부산광역시 영도구. 야경 명소로 유명하다.
- 수능엄사: 부산광역시 강서구.
- 태종사: 부산광역시 영도구. 수국으로 유명하다.
- 묘관음사: 부산광역시 기장군. 임제종 사찰.
6.2. 대구광역시
- 동화사: 대구광역시 동구. 조계종 제9교구 본사.
- 안일사: 대구광역시 남구.
- 은적사: 대구광역시 남구.
- 임휴사: 대구광역시 남구.
- 대견사: 대구광역시 달성군. 원래 폐사되어 대견사지라고 불리다가 근래 들어 복원되었다.
- 용연사: 대구광역시 달성군.
- 유가사: 대구광역시 달성군. 2010년 6월부터 주지였던 계성 스님이 음력 초하루법회를 없애고 일요법회를 강화했다.
- 부인사: 대구광역시 동구. 몽골의 난 때 소실된 고려 전기 대장경을 보관한 곳으로 유명하다.
- 파계사: 대구광역시 동구. 영조의 탄생설화로 유명하다.
- 관음사[18]: 대구광역시 중구 공평로8길 15 관음사. 전라북도 군산시의 동국사처럼 일본식 건물이다.
- 동대사: 대구광역시 수성구
- 자등명사: 대구광역시 군위군 삼국유사면
6.3. 울산광역시
- 광덕사: 울산광역시 울주군 온산읍 덕동길 33-20.
- 망해사: 울산광역시 울주군.
- 석남사: 울산광역시 울주군.
- 안민사: 울산광역시 남구 선암동 선암호수공원에 있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작은 절. 2011년 10월 4일에 건설되었다.
- 백양사: 울산광역시 중구.
- 정광사: 울산광역시 남구. 1998년 6월에 건설되었다.
6.4. 경상북도
- 갓바위(선본사)[19]: 경상북도 경산시. 팔공산에 소재한 전국적으로 기도처로 매우 유명하다.
- 고운사: 경상북도 의성군. 조계종 제16교구 본사.
- 골굴사: 경상북도 경주시. 템플 스테이로 한국인보다 외국인 관광객들한테 오히려 더 유명하다.
- 기림사: 경상북도 경주시.
- 김룡사: 경상북도 문경시.
- 도리사: 경상북도 구미시.
- 만불사: 경상북도 영천시. 불상이 많은 사찰로 유명하다.
- 반룡사: 경상북도 고령군.
- 백률사: 경상북도 경주시.
- 법장사: 경상북도 경주시.
- 보경사: 경상북도 포항시.
- 봉암사: 경상북도 문경시.
- 봉정사: 경상북도 안동시. 국내 최고(最古)의 건물 극락전으로 유명하다.
- 부석사: 경상북도 영주시. 무량수전으로 유명하다.
- 분황사: 경상북도 경주시.
- 불국사: 경상북도 경주시. 조계종 제11교구 본사.
- 불굴사: 경상북도 경산시.
- 불담사: 경상북도 경산시
- 불영사: 경상북도 울진군.
- 석굴암: 경상북도 경주시.
- 선석사: 경상북도 성주군.
- 성불사: 경상북도 울릉군.
- 송림사: 경상북도 칠곡군.
- 수도사: 경상북도 영천시.
- 심원사: 경상북도 성주군.
- 인각사: 경상북도 대구광역시
- 오어사: 경상북도 포항시.
- 용문사: 경상북도 예천군.
- 운문사: 경상북도 청도군.
- 은해사: 경상북도 영천시. 조계종 제10교구본사.
- 제석사: 경상북도 경산시.
- 중생사: 경상북도 경주시.
- 직지사: 경상북도 김천시. 조계종 제8교구본사.
- 천해사: 경상북도 구미시.
- 축서사: 경상북도 봉화군.
- 청량사: 경상북도 봉화군. (청량산)
- 해도사: 경상북도 울릉군.
6.5. 경상남도
- 관룡사: 경상남도 창녕군.
- 길상사: 경상남도 창녕군.
- 다솔사: 경상남도 사천시.
- 만어사: 경상남도 밀양시.
- 보리암: 경상남도 남해군.
- 백암사: 경상남도 함안군.
- 청곡사: 경상남도 진주시.
- 칠불사: 경상남도 하동군.
- 통도사: 경상남도 양산시. 조계종 제15교구본사. 삼보사찰 중 불보(佛寶)사찰로 꼽힌다.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 미타암: 경상남도 양산시
- 수도사: 경상남도 의령군.
- 봉림사: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 성주사: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 쌍계사: 경상남도 하동군. 조계종 제13교구본사.
- 용문사: 경상남도 남해군.
- 의곡사: 경상남도 진주시.
- 은하사: 경상남도 김해시. 영화 <달마야 놀자> 촬영지이기도 하다.
- 표충사: 경상남도 밀양시.
- 홍제사: 경상남도 밀양시. 사명대사비가 있는 절로 유명한데, 이에 대한 전설이 잘 알려져 있다.[20]
- 해인사: 경상남도 합천군. 조계종 제12교구본사. 해인사 팔만대장경 및 장경판고로 유명하다. 삼보사찰 중 법보(法寶)사찰로 꼽힌다.
- 혜양사: 경상남도 거제시.
7. 제주특별자치도
- 관음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계종 제23교구본사.
- 천왕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 약천사: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 영원사: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남국선원: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8. 북한
북한 지역 사찰의 경우 해당 사이트에서 북한 지역 사찰 소개(고화질)를 잘 다루고 있다.8.1. 관북 지방
- 개심사: 함경북도 명천군.
- 귀주사: 함경남도 함흥시.
- 동덕사: 함경남도 단천군(현 단천시).
- 명적사: 함경남도 문천군(현 북한 강원도 원산시).
- 석왕사: 함경남도 안변군(현 북한 강원도 고산군).
- 양천사: 함경남도 고원군.
- 용흥사: 함경남도 함주군(현 함경남도 영광군).
8.2. 관서 지방
- 개원사: 평안북도 정주군(현 곽산군).
- 광법사: 평안남도 대동군(현 평양시 대성구역).
- 금광사: 평안북도 의주군.
- 만년사: 평안북도 구성군(현 구성시).
- 법운암: 평안남도 대동군(현 평양시 만경대구역 룡봉리).
- 법흥사: 평안남도 평원군.
- 보현사: 평안북도 영변군(현 향산군).
- 상원암: 평안북도 영변군(현 향산군).
- 안국사: 평안남도 순천군(현 평성시).
- 용문사: 평안북도 영변군(현 구장군).
8.3. 해서 지방
- 강서사: 황해도 연백군(현 황해남도 배천군).
- 귀진사: 황해도 서흥군(현 황해북도 서흥군 송월리).
- 성불사: 황해도 황주군(현 황해북도 사리원시).
- 월정사: 황해도 안악군(현 황해남도 안악군 월정리).
8.4. 미수복 경기도
8.5. 미수복 강원특별자치도
- 보덕암: 강원특별자치도 회양군(현 북한 강원도 금강군).
- 신계사: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현 북한 강원도 고성군).
- 정양사: 강원특별자치도 회양군(현 북한 강원도 금강군).
- 표훈사: 강원특별자치도 회양군(현 북한 강원도 금강군). 금강산 4대 사찰 중 현존하는 유일한 사찰.
9. 폐사지
9.1. 대한민국
9.1.1. 서울특별시
9.1.2. 경기도
- 개경사: 경기도 구리시.
- 노온사: 경기도 광명시.
- 안양사: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 중흥사: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북한동 북한산 경내. 1915년 홍수 때 산사태로 소실되었다가 2012년에 대웅전과 요사채가 복원되었다.
- 회암사: 경기도 양주시.
9.1.3. 인천광역시
9.1.4. 강원특별자치도
9.1.5. 충청북도
9.1.6. 충청남도
9.1.7. 전북특별자치도
- 경복사: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고덕산에 있었던 사찰. 현재 남아있는 절터는 전라북도기념물 제108호로 지정되어 있다.
- 만복사: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김시습의 한문소설 <만복사저포기>의 배경이 되는 절이다. 가상의 공간으로 알고 있는 사람이 많지만 실재했던 절이며, 현재는 절터만 남아있다.
- 미륵사: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9.1.8. 전라남도
9.1.9. 부산광역시
9.1.10. 울산광역시
9.1.11. 경상북도
- 갈항사: 경상북도 김천시.
- 감은사: 경상북도 경주시.
- 곤원사: 경상북도 경주시.
- 동천사: 경상북도 경주시.
- 망덕사: 경상북도 경주시.
- 무장사: 경상북도 경주시.
- 물산사: 경상북도 고령군.
- 미탄사: 경상북도 경주시.
- 사천왕사: 경상북도 경주시.
- 삼랑사: 경상북도 경주시.
- 석장사: 경상북도 경주시.
- 숭복사: 경상북도 경주시.
- 영묘사: 경상북도 경주시.
- 원원사: 경상북도 경주시.
- 장항리 절터: 경상북도 경주시.
- 정혜사: 경상북도 경주시. 정혜사지 십삼층석탑이 남아서 국보로 지정되었다.
- 창림사: 경상북도 경주시.
- 천관사: 경상북도 경주시.[23]
- 황룡사: 경상북도 경주시.
- 황복사: 경상북도 경주시.
- 흥륜사: 경상북도 경주시.
9.1.12. 경상남도
- 단속사: 경상남도 진주시.
9.1.13. 제주특별자치도
- 법화사: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하원동 1071. 1980년대에 와서 절의 건물이 일부 세워지기는 했다.
- 수정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외도일동 소재.
- 원당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원당로16길 41.
9.2. 북한
9.2.1. 관북 지방
9.2.2. 관서 지방
- 영명사: 평안남도 평양시(현 평양시 모란봉구역).
- 정릉사: 평안남도 중화군(현 평양시 력포구역 무진리).
- 청암리 사지: 평안남도 대동군(현 평양시 대성구역 청암동).
- 청호리 절터: 평안남도 대동군(현 평양시 대성구역 청호동).
9.2.3. 해서 지방
9.2.4. 미수복 경기도
9.2.5. 미수복 강원특별자치도
- 마하연사: 강원특별자치도 회양군(현 북한 강원도 금강군).
- 유점사: 강원특별자치도 회양군(현 북한 강원도 금강군). 금강산 4대 사찰 가운데 하나.
- 장안사: 강원특별자치도 회양군(현 북한 강원도 금강군). 금강산 4대 사찰 가운데 하나.
10. 틀
일제강점기의 불교 31본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4a2d5b> 경기도 | 봉은사 · 봉선사 · 용주사 · 전등사 |
충청도 | 법주사 · 마곡사 | |
경상도 | 동화사 · 은해사 · 고운사 · 김룡사 · 기림사 · 해인사 · 통도사 · 범어사 | |
전라도 | 위봉사 · 보석사 · 백양사 · 화엄사 · 선암사 · 송광사 · 대흥사 | |
강원도 | 건봉사 · 유점사 · 월정사 | |
황해도 | 패엽사 · 성불사 | |
평안도 | 영명사 · 법흥사 · 보현사 | |
함경도 | 석왕사 · 귀주사 |
25교구 및 본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9A26A, #B9A26A 20%, #B9A26A 80%, #B9A26A); color: #231916; min-height: 31px" {{{#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231916> 직할교구 | 제2교구 | 제3교구 | 제4교구 | 제5교구 |
조계사 | 용주사 | 신흥사 | 월정사 | 법주사 | |
<rowcolor=#231916> 제6교구 | 제7교구 | 제8교구 | 제9교구 | 제10교구 | |
마곡사 | 수덕사 | 직지사 | 동화사 | 은해사 | |
<rowcolor=#231916> 제11교구 | 제12교구 | 제13교구 | 제14교구 | 제15교구 | |
불국사 | 해인사 | 쌍계사 | 범어사 | 통도사 | |
<rowcolor=#231916> 제16교구 | 제17교구 | 제18교구 | 제19교구 | 제20교구 | |
고운사 | 금산사 | 백양사 | 화엄사 | | |
<rowcolor=#231916> 제21교구 | 제22교구 | 제23교구 | 제24교구 | 제25교구 | |
송광사 | 대흥사 | 관음사 | 선운사 | 봉선사 | |
군종특별교구 · 해외특별교구 | }}}}}}}}}}}} |
[24]
대한민국의 삼보사찰 | ||
불보사찰 | 법보사찰 | 승보사찰 |
통도사 | 해인사 | 송광사 |
대한민국의 총림 | |||
가야총림 해인사 | | 금정총림 범어사 | 덕숭총림 수덕사 |
| 영축총림 통도사 | 조계총림 송광사 | 팔공총림 동화사 |
[1] 조계사의 주지인 원명 스님과 다른 스님이다.[2] 한국 근현대의 대표적인 원효사상 연구자인 불연 이기영 동국대 교수가 설립한 단체이다.[3] 석모도 안에 있는 절. 주소는 인천광역시 강화군 삼산면 삼산남로 828번길.[4] 차이나타운 내에 위치.[5] 지번: 대전광역시 중구 오류동 188-2[6] 지번: 대전광역시 대덕구 연축동 27[7] 광제사 바로 옆에 있다. 현재는 광제사에서 카페로 영업하고 있다.[8] 계족산 근처.[9] 네이버 지도 상에는 대동약불사라 나오지만 실제 절 현판에는 약불사라고만 되어 있다. 대전광역시 중구 유천1동의 약불사라는 곳은 절이 아니며, 무속인이 경영하는 점집이다.[10] 지번: 대전광역시 서구 탄방동 1083[11] 지번: 대전광역시 유성구 장대동 281-1[12] 지번: 대전광역시 유성구 탑립동 442-1[13] 대전광역시 지역 비구니 스님들의 모임. 네이버 지도엔 이렇게 검색해야 바로 나온다.[14] 지번: 대전광역시 대전 대사동 198-23. 다만 사실상 개인사찰이기 때문에 외부인의 출입은 인근 절에 비해 좀 힘들다.[15] 대전 보문사지는 대전 보문산 안인 대전광역시 중구 무수동에 있으며, 현 대전 보문사와는 정 반대에 있는 절터다.[16] 부강면에 동명의 작은 절이 존재한다.[17] 지번: 충청남도 공주시 신관동 476-1[18] 대구광역시 남구에 불교대학인 관음사가 하나 더 있다.[19] 갓바위 주차장에서 갓바위 방향이 아닌 오른쪽으로 조금만 올라가면 있다. 팔공산 갓바위를 관리하고 있는 절.[20] 일명 "땀 흘리는 비석"으로 유명한데, 나라에 큰 국난이 닥치기 전 , 땀을 흘리는 것으로 유명하다. 실제로 가 보면 표충비가 있는 곳 부근에 땀을 흘린 기록이 적혀 있는 게시판이 있다. 대부분 역사적 사건(ex. 3.1 운동)과 연관되어 있는데, 1997년 이후에는 외교/정치적 마찰 등을 우려하여 그냥 몇 리터(몇 되) 한출됨 이라는 기록만 적혀 있으니 참조.[21] 은평뉴타운 건설 예정 부지 안에 있다.[22] 현재의 탑골공원이 위치한 곳이다.[23] 전라남도 장흥군에도 동명의 절터가 있지만 사용하는 글자가 다르다. 경주시는 天官寺, 장흥군은 天冠寺.[24] 본사 - 말사 체계로 각 교구의 본사가 대표명이므로 기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