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남도 서산시에 있는 동명의 사찰에 대한 내용은 부석사(서산)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221e1f,#fff> | }}} | ||
{{{#!wiki style="color:#fff; margin:-0px -10px -5px; min-height:26px" dark-style="color:#221e1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통도사 | 부석사 | 봉정사 | 법주사 |
마곡사 | 선암사 | 대흥사 | ||
}}}}}}}}} |
유네스코 세계유산 | |
<colbgcolor=#000>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Sansa, Buddhist Mountain Monasteries in Korea Sansa, monastères bouddhistes de montagne en Corée | |
<colcolor=#fff> 국가·위치 | <colbgcolor=#fff,#1f2023>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경상북도 영주시 |
등재유형 | 문화유산 |
지정번호 | 1562 |
등재연도 | 2018년 |
등재기준 | (ⅲ)[1] |
[clearfix]
1. 개요
▲ 부석사의 풍경과 전경 |
목조건축물로는 한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미(美)를 가지고 있는 건물이라고 할 수 있다.
부석사 무량수전에 대해서.
부석사 무량수전에 대해서.
한자 : 浮石寺 / 로마자 : Buseoksa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 소백산 국립공원의 봉황산에 위치한 사찰이며, 대한불교 조계종 제16교구 본사 고운사의 말사이다.
소개 영상
2. 역사
신라 문무왕 16년(676년)에 의상대사가 왕명으로 세운 화엄종(華嚴宗) 사찰이었다.부석사의 이름을 직역하면 '땅에서 뜬 돌'이란 뜻인데, 이는 의상이 부석사를 창건할 때의 설화와 관련이 있다.
의상이 당나라에 유학을 갔을 때, 그를 사모하던 선묘라는 여인이 있었다. 하지만 의상은 승려라서 끝내 선묘의 애정을 거절했고, 의상이 신라로 귀국하자 선묘는 바다에 몸을 던져 용이 되어서 의상의 귀국 뱃길을 안전하게 지켰다고 한다.
이후 의상이 부석사를 창건할 때 지역의 도적떼들이 이를 방해하자, 선묘가 큰 바윗돌이 되어서 하늘을 떠다니며 도적들을 물리쳤다. 그 바윗돌이 부석사 뒤뜰에 잇는 큰 바위인데, 지금도 땅에 살짝 떠 있어서 바위 밑으로 줄을 넣으면 통과된다 카더라. 그래서 절 이름이 뜰 부(浮), 돌 석(石)을 써서 부석사라고 전한다.(돌 석 자의 네모 안에 점이 하나 있는데, 바위가 하늘로 떠오르지 않도록 고정한다는 의미로 찍었다고 한다.) 이 설화에 따라, 부석사에는 선묘에게 제례를 지내는 선묘각이 있다. (선묘 항목 참조)
삼국사기 궁예전에 의하면 궁예가 후고구려를 건립한 후 전국 시찰중에 부석사에 이르었을 때 주지승으로부터 이 곳에 신라 왕의 어진[2]을 모셨다는 말을 들은 후 칼을 내리쳤다고 한다. 김부식은 (집필 당시인 고려 중기 기준으로) 아직도 부석사에 그 칼자국이 남아있다고 밝혔다. 2000년에 방영한 KBS 대하드라마 태조 왕건에서는 칼을 꽂은 자리에 피가 흘러 내리는 등의 무시무시한 연출도 나왔다. 후에 다른 승려들이 뽑으려 해도 뽑히지 않으나 왕건이 나서서 건들자 뽑히는 것을 보고는 주지승이 신기하게 여겨한다.[3]
고려시대에는 흥교사(興敎寺) 혹은 선달사(善達寺)로 불렸다는 기록이 남아있으며 공민왕 21년(1372년)에 주지가 된 진각국사(眞覺國師) 천희(千熙)[4]가 크게 증축했다. 한국에 남아 있는 가장 오래된 목조 건물 중 하나인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과 조사당 또한 이 때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2018년 6월 30일에는 전국 각지에 소재하는 산사들과 함께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이라는 명칭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3. 가람
현재 부석사는 전성기의 모습 그대로는 아니다. 문헌과 그림 등에 나온 과거의 가람 구조가 현재와는 다르다. 1840년에 발간된 '순흥읍지'에는 10세기 중반의 부석사의 모습이 적혀 있는데, 지금은 없어진 건물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1.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앞 석등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틀:대한민국의 국보 1~30호, version=27, uuid=b16ef97f-b363-494a-ab2a-e95ccd5f503f,
title2=틀:대한민국의 국보 31~60호, version2=23, uuid2=979147df-3a26-481f-b049-2bed6c206bdc,
title3=틀:대한민국의 국보 61~90호, version3=18, uuid3=a651288c-6ac5-4be6-aabd-d4ff8ce28b2d,
title4=틀:대한민국의 국보 91~120호, version4=16, uuid4=47b78863-c197-4fb3-8fa6-911be58d2f63,
title5=틀:대한민국의 국보 121~150호, version5=18, uuid5=38233d15-3cf9-4c93-833c-94c06a6fbf8b,
title6=틀:대한민국의 국보 151~180호, version6=15, uuid6=edf3cf60-9adb-4a8f-8ee0-0b7fbc07c52f,
title7=틀:대한민국의 국보 181~210호, version7=13, uuid7=dc5f6abf-c5c1-4679-b79e-a752e027eb8b,
title8=틀:대한민국의 국보 211~240호, version8=15, uuid8=0da4ae8e-4b56-4578-9135-01ed7dddf02a,
title9=틀:대한민국의 국보 241~270호, version9=13, uuid9=98999a90-809a-452b-9fd0-6721c558ff35,
title10=틀:대한민국의 국보 271~300호, version10=12, uuid10=d3cf8eb4-7dea-45c4-8db8-f764102672c0,
title11=틀:대한민국의 국보 301~330호, version11=21, uuid11=654db38a-ea8b-426b-a33e-245918ddd995,
title12=틀:대한민국의 국보 331~360호, version12=14, uuid12=6bc2ec27-8f76-40cf-9ef0-c2d80032b65e)]
대한민국 국보 제17호 | |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앞 석등 榮州 浮石寺 無量壽殿 앞 石燈 | |
소재지 |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사로 345 (부석면, 부석사) |
분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석등 |
수량/시설 | 1기 |
지정년도 | 1962년 12월 20일 |
제작시기 | 통일신라시대 |
<colbgcolor=#315288>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앞 석등 |
[clearfix]
무량수전 건물보다 오래된 통일신라 시대에 만들어진 석등이다. 4면의 보살상과 석등의 하단의 연꽃 무늬가 아름답게 새겨져 있고, 전체적으로 균형미가 아주 뛰어난 걸작이다.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과 마찬가지로 본전의 중앙 앞에 놓여져 있는데, 이는 빛을 부처님의 진리의 상징으로 여겨서 석등이 본전 앞을 상징적으로 밝히는 광명등(光明燈)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고려시대를 거쳐 조선시대에 이르면 석등이 가람 앞에 2개가 놓이는 형태로 바뀌었다. 석등이 광명등 역할을 상실하고 단순한 조명시설로 전락해버렸기 때문이다.
3.1.1. 국보 제17호
부석사 무량수전 앞에 세워져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석등으로 부처의 광명을 상징한다 하여 광명등(光明燈)이라고도 하며, 대개 대웅전이나 탑과 같은 중요한 건축물 앞에 세워진다. 불을 밝혀두는 화사석(火舍石)을 중심으로, 아래로는 3단의 받침돌을 두고, 위로는 지붕돌을 올린 후 꼭대기에 머리장식을 얹어 마무리한다.
4각 바닥돌은 옆면에 무늬를 새겨 꾸몄으며, 그 위의 아래받침돌은 큼직한 연꽃 조각을 얹어 가운데기둥을 받치고 있다. 전형적인 8각 기둥형태인 이 기둥은 굵기나 높이에서 아름다운 비례를 보이는데, 위로는 연꽃무늬를 조각해 놓은 윗받침돌을 얹어놓았다. 8각의 화사석은 불빛이 퍼져 나오도록 4개의 창을 두었고, 나머지 4면에는 세련된 모습의 보살상을 새겨놓았다. 지붕돌도 역시 8각인데, 모서리 끝이 가볍게 들려있어 경쾌해 보인다.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을 얹었던 받침돌만이 남아있다.
통일신라시대를 대표하는 가장 아름다운 석등으로, 비례의 조화가 아름답고, 화려하면서도 단아한 멋을 지니고 있다. 특히, 화사석 4면에 새겨진 보살상 조각의 정교함은 이 석등을 더욱 돋보이게 한다.
4각 바닥돌은 옆면에 무늬를 새겨 꾸몄으며, 그 위의 아래받침돌은 큼직한 연꽃 조각을 얹어 가운데기둥을 받치고 있다. 전형적인 8각 기둥형태인 이 기둥은 굵기나 높이에서 아름다운 비례를 보이는데, 위로는 연꽃무늬를 조각해 놓은 윗받침돌을 얹어놓았다. 8각의 화사석은 불빛이 퍼져 나오도록 4개의 창을 두었고, 나머지 4면에는 세련된 모습의 보살상을 새겨놓았다. 지붕돌도 역시 8각인데, 모서리 끝이 가볍게 들려있어 경쾌해 보인다.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을 얹었던 받침돌만이 남아있다.
통일신라시대를 대표하는 가장 아름다운 석등으로, 비례의 조화가 아름답고, 화려하면서도 단아한 멋을 지니고 있다. 특히, 화사석 4면에 새겨진 보살상 조각의 정교함은 이 석등을 더욱 돋보이게 한다.
3.2.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자세한 내용은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문서 참고하십시오.
3.3. 영주 부석사 조사당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틀:대한민국의 국보 1~30호, version=27, uuid=b16ef97f-b363-494a-ab2a-e95ccd5f503f,
title2=틀:대한민국의 국보 31~60호, version2=23, uuid2=979147df-3a26-481f-b049-2bed6c206bdc,
title3=틀:대한민국의 국보 61~90호, version3=18, uuid3=a651288c-6ac5-4be6-aabd-d4ff8ce28b2d,
title4=틀:대한민국의 국보 91~120호, version4=16, uuid4=47b78863-c197-4fb3-8fa6-911be58d2f63,
title5=틀:대한민국의 국보 121~150호, version5=18, uuid5=38233d15-3cf9-4c93-833c-94c06a6fbf8b,
title6=틀:대한민국의 국보 151~180호, version6=15, uuid6=edf3cf60-9adb-4a8f-8ee0-0b7fbc07c52f,
title7=틀:대한민국의 국보 181~210호, version7=13, uuid7=dc5f6abf-c5c1-4679-b79e-a752e027eb8b,
title8=틀:대한민국의 국보 211~240호, version8=15, uuid8=0da4ae8e-4b56-4578-9135-01ed7dddf02a,
title9=틀:대한민국의 국보 241~270호, version9=13, uuid9=98999a90-809a-452b-9fd0-6721c558ff35,
title10=틀:대한민국의 국보 271~300호, version10=12, uuid10=d3cf8eb4-7dea-45c4-8db8-f764102672c0,
title11=틀:대한민국의 국보 301~330호, version11=21, uuid11=654db38a-ea8b-426b-a33e-245918ddd995,
title12=틀:대한민국의 국보 331~360호, version12=14, uuid12=6bc2ec27-8f76-40cf-9ef0-c2d80032b65e)]
대한민국 국보 제19호 | |
영주 부석사 조사당 榮州 浮石寺 祖師堂 | |
소재지 |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사로 345 (부석면, 부석사) |
분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불전 |
수량/시설 | 1동 |
지정연도 | 1962년 12월 20일 |
제작시기 | 고려 시대 후기 |
<colbgcolor=#315288> 영주 부석사 조사당 |
[clearfix]
무량수전 뒤쪽으로 난 오솔길을 따라 5분 정도 올라가면 나오는 건물. 의상대사가 생전에 거처했다고 하며 이후에는 초상을 모시는 건물로 정면 3칸 측면 1칸의 작은 건물이지만, 무려 1377년에 세워진 건물로 무량수전만큼이나 굉장히 오래되었다. 일단 기록상은 그러한데 1201년에 단청을 했다는 기록도 있어 그보다 훨씬 더 오래됐을 가능성도 있다. 조사당 내부에는 사천왕, 보살상 등의 희귀한 고려시대의 불화가 있다.
조사당에는 정면 3칸 중 1칸을 차지하는 큰 철창이 있는데 그 안에 선비화(골담초)라는 작은 나무가 하나 있다. 내려오는 전설에 의하면 의상대사가 지팡이를 꽂았더니 거기서 뿌리가 나 지금까지 살아있다고 한다. 처마 아래에 있어 비나 이슬을 맞기 힘든데 그런 조건에서 수백 년 이상을 살아온 셈이다. 철창을 만든 이유는 이 나뭇잎을 따서 달여 먹으면 아들을 낳을 수 있다고 해서, 하도 많이 잎을 따가는 바람에 나무를 보호하기 위해서 만든 것이라고 한다.
단순히 전설로 치부할 수도 있고, 사실이라 해도 1300년 전의 일인만큼 믿기 어렵지만 의외로 이 나무는 이황이 지은 선비화(禪扉花)라는 시에서도 언급된다. 이황은 1548년에 풍기군수로 부임하였는데[5] 이 시기에 부석사에 들렸다가 남긴 시에 이 나무가 언급된다. 이 시는 지금으로부터 460년 전에 쓰여졌으니 지금의 나무가 그때도 있었다면 그만큼 오래됐다는 것이고 혹은 중간에 나무가 바뀌었다 해도 의상대사와 관련한 전설만큼은 지속적으로 유지된 것으로 보여진다.
擢玉森森依寺門(탁옥삼삼의사문) / 僧言卓錫化靈根(승언탁석화령근)
杖頭自有曺溪水(장두자유조계수) / 不借乾坤雨露恩(불차건곤우로은)
옥 같이 빼어난 무성한 줄기 절 문에 기대 사는데
스님이 말하길, 지팡이가 신기하게 뿌리를 내렸다 하네.
지팡이 끝머리에 절로 조계수가 생기니,
천지의 비와 이슬 은혜 빌리지 않았네.
杖頭自有曺溪水(장두자유조계수) / 不借乾坤雨露恩(불차건곤우로은)
옥 같이 빼어난 무성한 줄기 절 문에 기대 사는데
스님이 말하길, 지팡이가 신기하게 뿌리를 내렸다 하네.
지팡이 끝머리에 절로 조계수가 생기니,
천지의 비와 이슬 은혜 빌리지 않았네.
3.3.1. 국보 제19호
봉황산 중턱에 있는 부석사는 신라 문무왕 16년(676)에 의상대사가 왕명을 받들어 화엄의 큰 가르침을 펴던 곳이다. 무량수전 뒤에는 ‘부석(浮石)’이라고 새겨져 있는 바위가 있는데, 『송고승전』에 있는 설화를 보면, 의상대사가 당나라에서 유학을 마치고 귀국할 때 그를 흠모한 여인 선묘가 용으로 변해 이곳까지 따라와서 줄곧 의상대사를 보호하면서 절을 지을 수 있게 도왔다고 한다. 이곳에 숨어 있던 도적떼를 선묘가 바위로 변해 날려 물리친 후 무량수전 뒤에 내려 앉았다고 전한다. 또한 조사당 앞 동쪽 처마 아래에서 자라고 있는 나무는 의상대사가 꽂은 지팡이였다는 전설도 있다.
조사당은 의상대사의 초상을 모시고 있는 곳으로 고려 우왕 3년(1377)에 세웠고, 조선 성종 21년(1490)과 성종 24년(1493)에 다시 고쳤다.
앞면 3칸·옆면 1칸 크기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을 한 맞배지붕으로 꾸몄다. 처마 내밀기를 길게하기 위해 올린 공포가 기둥 위에만 있는 주심포 양식이며, 건물 자체가 작은 크기이기 때문에 세부양식이 경내에 있는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국보 제18호)보다 간결하다. 앞면 가운데 칸에는 출입문을 두었고 좌우로는 빛을 받아들이기 위한 광창을 설치해 놓았다.
건물 안쪽의 좌우에는 사천왕상·보살상 등 고려 후기에 그려진 벽화가 있었다. 이것들은 고려시대 회화 가운데 매우 희귀한 것으로, 고분벽화를 제외하면 가장 오래된 채색 그림 중 하나였다. 지금은 부석사 성보박물관에 보관하고 있으며, 원래 벽화가 있던 자리에는 본떠 그린 그림을 놓아 당시 벽화의 모습을 잘 전해주고 있다.
조사당은 의상대사의 초상을 모시고 있는 곳으로 고려 우왕 3년(1377)에 세웠고, 조선 성종 21년(1490)과 성종 24년(1493)에 다시 고쳤다.
앞면 3칸·옆면 1칸 크기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을 한 맞배지붕으로 꾸몄다. 처마 내밀기를 길게하기 위해 올린 공포가 기둥 위에만 있는 주심포 양식이며, 건물 자체가 작은 크기이기 때문에 세부양식이 경내에 있는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국보 제18호)보다 간결하다. 앞면 가운데 칸에는 출입문을 두었고 좌우로는 빛을 받아들이기 위한 광창을 설치해 놓았다.
건물 안쪽의 좌우에는 사천왕상·보살상 등 고려 후기에 그려진 벽화가 있었다. 이것들은 고려시대 회화 가운데 매우 희귀한 것으로, 고분벽화를 제외하면 가장 오래된 채색 그림 중 하나였다. 지금은 부석사 성보박물관에 보관하고 있으며, 원래 벽화가 있던 자리에는 본떠 그린 그림을 놓아 당시 벽화의 모습을 잘 전해주고 있다.
3.4. 영주 부석사 소조여래좌상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틀:대한민국의 국보 1~30호, version=27, uuid=b16ef97f-b363-494a-ab2a-e95ccd5f503f,
title2=틀:대한민국의 국보 31~60호, version2=23, uuid2=979147df-3a26-481f-b049-2bed6c206bdc,
title3=틀:대한민국의 국보 61~90호, version3=18, uuid3=a651288c-6ac5-4be6-aabd-d4ff8ce28b2d,
title4=틀:대한민국의 국보 91~120호, version4=16, uuid4=47b78863-c197-4fb3-8fa6-911be58d2f63,
title5=틀:대한민국의 국보 121~150호, version5=18, uuid5=38233d15-3cf9-4c93-833c-94c06a6fbf8b,
title6=틀:대한민국의 국보 151~180호, version6=15, uuid6=edf3cf60-9adb-4a8f-8ee0-0b7fbc07c52f,
title7=틀:대한민국의 국보 181~210호, version7=13, uuid7=dc5f6abf-c5c1-4679-b79e-a752e027eb8b,
title8=틀:대한민국의 국보 211~240호, version8=15, uuid8=0da4ae8e-4b56-4578-9135-01ed7dddf02a,
title9=틀:대한민국의 국보 241~270호, version9=13, uuid9=98999a90-809a-452b-9fd0-6721c558ff35,
title10=틀:대한민국의 국보 271~300호, version10=12, uuid10=d3cf8eb4-7dea-45c4-8db8-f764102672c0,
title11=틀:대한민국의 국보 301~330호, version11=21, uuid11=654db38a-ea8b-426b-a33e-245918ddd995,
title12=틀:대한민국의 국보 331~360호, version12=14, uuid12=6bc2ec27-8f76-40cf-9ef0-c2d80032b65e)]
대한민국 국보 제45호 | |
영주 부석사 소조여래좌상 榮州 浮石寺 塑造如來坐像 | |
소재지 | 경상북도 영주시 |
분류 | 유물 / 불교조각 / 소조 / 불상 |
수량/시설 | 1구 |
지정연도 | 1962년 12월 20일 |
제작시기 | 고려 중엽 |
<colbgcolor=#315288> 영주 부석사 소조여래좌상 |
[clearfix]
무량수전에 봉안되어 있는 불상.
소조(塑造) 불상은 목재로 뼈대를 먼저 제작한 후 흙을 빚어 붙여가며 모양을 만들고 마지막에는 금박을 덧입혀 금칠을 한 불상이다.[6] 소조 불상이라는 조형 자체만으로도 우리나라에는 흔치 않은 형태인데 특히 이 불상은 높이 2.8 m로 현존하는 소조 불상들 중에서도 가장 크고 이른 시기에 제작된 것이라 가치가 매우 높아 유일하게 국보에 지정됐다.
고려 초기의 불상으로 추정되며 무량수전의 주불은 원래 아미타여래이지만 이 불상은 수인이 석가모니가 취하는 항마촉지인을 하고 있어서 아미타여래가 맞는지 논란이 있다. 일단은 이 불상이 무량수전에 봉안된 불상이고 불상의 배치, 남아있는 기록 등을 토대로 아미타여래로 명명되어 있다. 아미타여래가 왜 석가모니의 모습을 하고 있는지에 대한 부분은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석굴암 문서 참조.
3.4.1. 국보 제45호
부석사 무량수전에 모시고 있는 소조불상으로 높이 2.78m이다. 소조불상이란 나무로 골격을 만들고 진흙을 붙여가면서 만드는 것인데, 이 불상은 우리나라 소조불상 가운데 가장 크고 오래된 작품으로 가치가 매우 크다.
얼굴은 풍만한 편이며, 두꺼운 입술과 날카로운 코 등에서 근엄한 인상을 풍기고 있다. 옷은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고 왼쪽 어깨에만 걸쳐 입고 있는데, 평행한 옷주름을 촘촘하게 표현하고 있다. 무릎 아래까지 이어지고 있는 이런 형태의 옷주름은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국보 제63호)에서도 보이는 것으로 이 작품이 고려 초기 불상들과 같은 계열임을 알 수 있다.
손모양은 석가모니불이 흔히 취하는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으로, 무릎 위에 올린 오른손의 손끝이 땅을 향하고 있다. 하지만 불상을 모신 장소가 서방 극락정토를 다스리는 아미타불을 모신 극락전이라는 사실과, 부석사에 있는 원융국사탑비 비문에 아미타불을 만들어 모셨다는 기록이 있는 점으로 보아 이 불상은 아미타불임이 확실하다.
부처의 몸에서 나오는 빛을 상징하는 광배(光背)는 불상의 뒤편에 나무로 따로 만들어 놓았는데, 가장자리에 불꽃이 타오르는 모양을 표현하였다. 머리광배와 몸광배는 원형으로 표현하고 그 안에는 화려한 꽃무늬를 장식하였으며, 작은 부처를 달았던 흔적이 곳곳에 남아 있다.
온화함이 사라진 근엄한 표정과 평행의 옷주름 등에서 형식화된 모습이 보이지만 고려시대 불상으로서는 상당히 정교한 솜씨를 보여주고 있는 작품이며, 특히 소조불상이란 점에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통일신라시대의 불상양식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은 점으로 보아 고려 초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얼굴은 풍만한 편이며, 두꺼운 입술과 날카로운 코 등에서 근엄한 인상을 풍기고 있다. 옷은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고 왼쪽 어깨에만 걸쳐 입고 있는데, 평행한 옷주름을 촘촘하게 표현하고 있다. 무릎 아래까지 이어지고 있는 이런 형태의 옷주름은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국보 제63호)에서도 보이는 것으로 이 작품이 고려 초기 불상들과 같은 계열임을 알 수 있다.
손모양은 석가모니불이 흔히 취하는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으로, 무릎 위에 올린 오른손의 손끝이 땅을 향하고 있다. 하지만 불상을 모신 장소가 서방 극락정토를 다스리는 아미타불을 모신 극락전이라는 사실과, 부석사에 있는 원융국사탑비 비문에 아미타불을 만들어 모셨다는 기록이 있는 점으로 보아 이 불상은 아미타불임이 확실하다.
부처의 몸에서 나오는 빛을 상징하는 광배(光背)는 불상의 뒤편에 나무로 따로 만들어 놓았는데, 가장자리에 불꽃이 타오르는 모양을 표현하였다. 머리광배와 몸광배는 원형으로 표현하고 그 안에는 화려한 꽃무늬를 장식하였으며, 작은 부처를 달았던 흔적이 곳곳에 남아 있다.
온화함이 사라진 근엄한 표정과 평행의 옷주름 등에서 형식화된 모습이 보이지만 고려시대 불상으로서는 상당히 정교한 솜씨를 보여주고 있는 작품이며, 특히 소조불상이란 점에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통일신라시대의 불상양식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은 점으로 보아 고려 초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3.5. 부석사 조사당 벽화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틀:대한민국의 국보 1~30호, version=27, uuid=b16ef97f-b363-494a-ab2a-e95ccd5f503f,
title2=틀:대한민국의 국보 31~60호, version2=23, uuid2=979147df-3a26-481f-b049-2bed6c206bdc,
title3=틀:대한민국의 국보 61~90호, version3=18, uuid3=a651288c-6ac5-4be6-aabd-d4ff8ce28b2d,
title4=틀:대한민국의 국보 91~120호, version4=16, uuid4=47b78863-c197-4fb3-8fa6-911be58d2f63,
title5=틀:대한민국의 국보 121~150호, version5=18, uuid5=38233d15-3cf9-4c93-833c-94c06a6fbf8b,
title6=틀:대한민국의 국보 151~180호, version6=15, uuid6=edf3cf60-9adb-4a8f-8ee0-0b7fbc07c52f,
title7=틀:대한민국의 국보 181~210호, version7=13, uuid7=dc5f6abf-c5c1-4679-b79e-a752e027eb8b,
title8=틀:대한민국의 국보 211~240호, version8=15, uuid8=0da4ae8e-4b56-4578-9135-01ed7dddf02a,
title9=틀:대한민국의 국보 241~270호, version9=13, uuid9=98999a90-809a-452b-9fd0-6721c558ff35,
title10=틀:대한민국의 국보 271~300호, version10=12, uuid10=d3cf8eb4-7dea-45c4-8db8-f764102672c0,
title11=틀:대한민국의 국보 301~330호, version11=21, uuid11=654db38a-ea8b-426b-a33e-245918ddd995,
title12=틀:대한민국의 국보 331~360호, version12=14, uuid12=6bc2ec27-8f76-40cf-9ef0-c2d80032b65e)]
대한민국 국보 제46호 | |
부석사 조사당 벽화 浮石寺 祖師堂 壁畵 | |
소재지 | 경상북도 영주시 |
분류 | 유물 / 불교회화 / 벽화 / 토벽화 |
수량/시설 | 6면(부석사 성보박물관 내 보관 중) |
지정연도 | 1962년 12월 20일 |
제작시기 | 고려 말기 |
<colbgcolor=#315288> 부석사 조사당 벽화 |
[clearfix]
부석사 조사당 내벽에 있었던 벽화. 지금은 부석사 조사당에 가도 볼 수는 없고, 조사당 안에 있는 그림들은 스님들의 영정들이다. 벽화는 떼어내어 부석사 성보박물관에서 보관하고 있다.
제석천(帝釋天)과 범천(梵天), 사천왕(四天王)이 6폭 벽화에 표현되어 있으며 이들은 불법을 지키는 호법신들이다. 특히 제석천과 범천은 호법신들 중 최상위의 신들로 이들의 직속부하가 바로 사천왕들이다. 이 벽화는 무덤벽화들을 제외하면 우리나라에 현전하는 가장 오래된 벽화로 조사당 안에 위치했던 의상대사의 초상을 보위하는 의미로 그려졌다고 한다.
사실 부석사 조사당 벽화말고도 예산 수덕사 대웅전에도 벽화가 있었어서 20세기 초까지만 해도 고려시대의 벽화가 유이하게 남아 있었다. 하지만 수덕사 대웅전의 벽화는 20세기 중엽 한국 전쟁의 동란 와중에 완전 소실되어서, 고려 시대의 벽화는 현재 남아 있는 부석사 조사당의 벽화가 유일하며 가장 오래된 것이다.
일제강점기인 1916년에 건물 보수를 이유로 떼어져 석고로 보존처리를 했는데[7], 문제는 시간이 지나면서 균열이 더 생겨서 훼손과 손상이 심각해 2020년 6월부터 국립문화재연구원으로 옮겨서 2026년까지 보존 처리를 받을 예정이다.
3.5.1. 국보 제46호
이 벽화는 부석사를 창건하고 우리나라에서 화엄종을 처음 시작한 의상대사를 모시고 있는 부석사조사당(국보 제19호) 안쪽 벽면에 사천왕과 제석천, 범천을 6폭으로 나누어 그린 그림이다. 현재는 일제강점기에 해체 분리된 벽화를 별도로 보관하고 있다.
흙벽 위에 녹색으로 바탕을 칠하고 붉은색·백색·금색 등으로 채색하였으며, 각각의 크기는 길이 205㎝, 폭 75㎝ 가량이다. 양쪽의 두 천부상은 우아한 귀족풍으로 양감이 풍만하며, 가운데 사천왕은 악귀를 밟고 서서 무섭게 노려 보는 건장한 모습이다. 훼손된 부분이 많고 후대에 덧칠하여 원래의 모습이 많이 사라졌지만 율동감 넘치는 유려한 선에서 고려시대 불화의 품격을 느낄 수 있다.
건물에서 발견된 기록을 통해 조사당을 세운 연대가 고려 우왕 3년(1377)임을 알게 되었으며, 벽화를 그린 연대도 같은 시기일 것으로 보인다. 현재 우리나라에 남아 있는 벽화 가운데 가장 오래된 작품으로 회화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흙벽 위에 녹색으로 바탕을 칠하고 붉은색·백색·금색 등으로 채색하였으며, 각각의 크기는 길이 205㎝, 폭 75㎝ 가량이다. 양쪽의 두 천부상은 우아한 귀족풍으로 양감이 풍만하며, 가운데 사천왕은 악귀를 밟고 서서 무섭게 노려 보는 건장한 모습이다. 훼손된 부분이 많고 후대에 덧칠하여 원래의 모습이 많이 사라졌지만 율동감 넘치는 유려한 선에서 고려시대 불화의 품격을 느낄 수 있다.
건물에서 발견된 기록을 통해 조사당을 세운 연대가 고려 우왕 3년(1377)임을 알게 되었으며, 벽화를 그린 연대도 같은 시기일 것으로 보인다. 현재 우리나라에 남아 있는 벽화 가운데 가장 오래된 작품으로 회화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4. 문화재
- 국보 제17호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앞 석등(無量壽殿 앞 石燈)
국보 제18호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無量壽殿)
국보 제19호 영주 부석사 조사당(祖師堂)
국보 제45호 영주 부석사 소조여래좌상(塑造如來坐像)
국보 제46호 영주 부석사 조사당 벽화(祖師堂 壁畵) - 보물 제220호 영주 북지리 석조여래좌상(北枝里 石造如來坐像)
보물 제249호 영주 부석사 삼층석탑(三層石塔)
보물 제255호 영주 부석사 당간지주(幢竿支柱)
보물 제735호 영주 부석사 고려목판(高麗木板)
보물 제1562호 영주 부석사 오불회 괘불탱(五佛會 掛佛幀)
보물 제1636호 영주 부석사 석조석가여래좌상(石造釋迦如來坐像)
보물 영주 부석사 안양루(安養樓)
보물 영주 부석사 범종각(梵鐘閣)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27호 영주 부석사 원융국사비(圓融國師碑)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30호 영주 부석사 삼층석탑(三層石塔)
5. 부석사를 거쳐간 스님들
6. 여담
2010년대에 쓰시마 섬에서 도난당해 대한민국에 반입된 불상의 소유권을 주장하는 부석사와는 한자가 서로 동일하다. 이는 영주 부석사와 서산 부석사 두 곳 모두 의상대사가 창건한 곳이기 때문. 영주 부석사가 676년, 서산 부석사가 677년으로 약 1년 먼저 지어졌다. 자세한 것은 부석사(서산) 참고.부석사 칭찬이 매우 체계적으로 정리된 책으로는 뭐니뭐니해도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2권이 있다. 또한 앞 책의 저자인 유홍준의 스승인 최순우가 지은 책 제목이 그 유명한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기대서서>이다. MBC 느낌표에서 이 책을 선정도서에 올렸던 적이 있어서, 책 내용은 몰라도 제목은 다들 들어보았을 것이다.
국내의 문학인들에게도 매우 사랑받는 명소이다. 시인 정호승이 이 곳을 탐방한 뒤 <그리운 부석사>라는 시를 남겼다.[8] 이 시의 서두인 '사랑하다가 죽어버려라'를 표제로 1997년 동명의 시집을 발간하기도 하였다.
소설가 신경숙의 <부석사>라는 소설도 있다. 이 소설로 신경숙은 제 25회 이상문학상을 수상하였으며, 해당 작품은 교과서에 수록되기도 하였다. 다만 소설 제목은 부석사지만, 소설에는 부석사가 나오지 않는다. 부석사를 향해 차를 타고 가는 주인공들의 여정 중 소설이 끝나버린다.
안양루 위에 걸린 부석사라는 현판은 1956년에 이승만이 이 곳을 방문하여 쓴 것인데 지금의 것은 그때 현장에서 쓴 것이 마음에 들지 않아 서울에 올라온 뒤 다시 써서 보내준 것이다. 그러나 이승만은 크리스천인데다 1954년에는 불교정화 유시를 내려 불교계와 사이가 좋지 않았던 적이 있음에도 현판은 지금도 걸려있다. 다만 이승만은 어린 시절 불자인 어머니를 따라 절에 다닌 적이 있다.
배낭여행 여행객이 찾아가기에는 교통이 불편하다. 이는 영주시 시내버스 집결지인 영주여객 차고지가 영주역과는 도보 20 ~ 30분 정도 떨어져 있고, 영주터미널과는 차로 10분 정도 떨어져 있기 때문이다. 그나마 영주터미널은 풍기 경유 부석사행 버스가 다니기는 하지만, 영주여객에서 곧바로 가는 것보다는 시간이 오래 걸린다. 기차로 찾아간다면 풍기역으로 찾아가는 것도 나쁘지 않다. 배차간격은 더 길지만, 역 바로 앞에서 버스를 탈 수 있기 때문이다. 풍기역 앞에서 27번 버스를 타면 동양대 캠퍼스를 관통하여 소수서원 - 영주 선비촌 - 순흥향교[9]를 지나 부석사로 간다. 상당히 거리가 먼데다 배차간격이 길어 미리 시간 계산을 해둬야 낭패를 보지 않는다.
부기영화에서 국내 최고의 절밥 맛집으로 뽑혔다. 불교에서 주요 모티브를 따온 영화 사바하의 리뷰에서 절밥 맛집을 소개했다. 실제로 부석사 절밥이 맛있기로 유명하다. 실제로 소백산 등산가는 사람들이 새벽에 산에 올라 아침에 비로봉을 찍고 점심쯤에 내려와 절밥 얻어먹으러 많이 찾아온다. 부기영화 작가진이 부석사 등 여러 곳의 사찰을 가봤던 모양. 다만 2020년 이후 코로나19로 인해 일반인들에게 절밥을 제공하지 않게 바뀌었다.
여기서 소백산 백두대간 종주를 할 수 있다. 부죽종주라고 불리며 부석사에서 시작해 늦은목이에서 백두대간길에 합류한 후 소백산 주능선을 종주하여 죽령으로 하산하는 코스이다. 총 거리는 약 42km이며 소백산 종주 코스들 중 최장거리를 자랑한다. 아울러 백두대간 종주 소백산 구간도 약 2/3을 돌기 때문에 백두대간 종주를 하면서 이 코스를 도는 경우가 있다.[10]
7. 교통
영주 버스 27번이 1일 14회 영주여객에서 영주종합터미널, 풍기, 동양대, 부석 등을 거쳐 이곳까지 들어오며, 부석사에서 영주여객까지 소요시간은 1시간 10분 정도이다. 주말 및 공휴일에는 28번도 1일 6회 운행한다. 935번 지방도를 경유하는 55번도 1일 13회 운행한다.8. 관련 항목
9. 둘러보기
- [ 2021~2022 ]
- ||<width=80px><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CCC,#1c1d20> 수도권 ||서울 5대 고궁 | 홍대거리 | 서울시립미술관 본관 | 동대문디자인플라자 | 롯데월드 어드벤처 | 남산 N서울타워 | 서대문형무소역사관 | 익선동 | 코엑스(스타필드) | 영종도 | 개항장 역사문화의 거리 | 인천 차이나타운(송월동 동화마을) | 강화 원도심 스토리워크 | 소래포구 | 송도 센트럴파크 | 수원화성 | 한국민속촌 | 용인 에버랜드 | 서울대공원(서울랜드) | 광명동굴 | 화담숲 | 임진각, 파주 DMZ | 두물머리 | 제부도 | 가평 아침고요 수목원 | 파주 헤이리 예술마을 | 농협경제지주 안성팜랜드 ||
강원권 설악산국립공원 | 남이섬 | 한탄강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 강릉 커피거리 | 대관령 | 비발디파크(오션월드) | 강릉 주문진 | 원주 소금산 출렁다리 | 원주 뮤지엄 산 | 원대리 자작나무 숲 충청권 장태산 자연휴양림 | 계족산 황톳길 | 청풍호반케이블카 | 의림지 | 청남대 | 만천하스카이워크, 단양강 잔도 | 예당호 출렁다리, 음악분수 | 대천해수욕장 | 안면도 꽃지해변 | 부여 백제유적지(부소산성 | 궁남지) | 공주 백제유적지(공산성 | 송산리 고분군) | 예산황새공원 | 아산 외암마을 | 신두리 해안사구 | 세종호수공원 일원 전라권 무등산국립공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익산 미륵사지 | 전주 한옥마을 | 마이산도립공원 | 내장산국립공원 | 옥정호 구절초 지방정원 | 남원시립김병종미술관 | 죽녹원 | 목포해상케이블카 | 오동도, 여수세계박람회장 | 퍼플섬 | 쑥섬(애도) | 보성 녹차밭(대한다원) | 순천만습지(순천만국가정원) 경상권 태종대 유원지 | 해운대해수욕장 | 용두산·자갈치 관광특구 | 감천문화마을 | 송정해수욕장 | 다대포 꿈의 낙조분수, 다대포해수욕장 | 흰여울문화마을 | 용궁구름다리, 송도해수욕장 | 팔공산 | 서문시장 | 수성못 | 태화강 국가정원 | 영남알프스 | 간절곶 | 대왕암공원 | 반구대 암각화 | 경주 대릉원 일대 (동궁과 월지 | 첨성대) | 불국사, 석굴암 | 울릉도와 독도 | 병산서원 | 안동 하회마을 | 부석사 | 창녕 우포늪 | 황매산군립공원 | 남해독일마을 | 거제 바람의 언덕 | 합천 해인사 제주권 성산일출봉 | 한라산국립공원 | 제주올레길 | 천지연폭포 | 카멜리아 힐 | 우도 | 제주 비자림
- [ 2019~2020 ]
- ||<width=80px><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CCC,#1c1d20> 수도권 ||서울 5대 고궁 | 익선동 | 홍대거리 | 서울로7017 | 동대문디자인플라자 | 코엑스 | 롯데월드 어드벤처 | 이태원 관광특구 | 명동거리 | 남산 N서울타워 | 월미도 | 소래포구 | 송도 센트럴파크 | 인천 차이나타운 | 수원화성 | 용인 에버랜드 | 서울대공원 | 광명동굴 | 제부도 | 양평 두물머리 | 광주 남한산성 | 광주 화담숲 | 포천아트밸리 | 가평 아침고요수목원 | 연천 한탄강 관광지 | 파주 DMZ ||
강원권 평창 대관령 | 강릉 커피거리 | 원주 소금산 출렁다리 | 설악산 | 오대산 | 강릉 주문진 | 춘천 남이섬 | 원주 뮤지엄 산 | 하이원 리조트 | 고성 DMZ 평화관광지 | 비발디파크 | 삼척 대이리 동굴지대 | 인제 원대리 자작나무 숲 충청권 계족산 황톳길 | 단양 만천하스카이워크 | 단양팔경 | 청남대 | 괴산 산막이 옛길 | 태안 안면도 | 대천해수욕장 | 서천 국립생태원 | 부여 백제유적지(궁남지 | 부소산성 | 낙화암) | 공주 백제유적지(공산성 | 무령왕릉) 전라권 무등산 | 양림동 역사문화마을 | 전주 한옥마을 | 군산 시간여행 | 내장산 | 마이산 | 무주 태권도원 | 순천만습지 | 여수 엑스포 해양공원 | 담양 죽녹원 | 곡성 섬진강 기차마을 | 강진 가우도 | 보성녹차밭 | 해남 미황사 경상권 해운대해수욕장 | 태종대 | 자갈치시장 | 송도해수욕장 | 마린시티 | 감천문화마을 | 서문시장 | 대구근대문화골목 | 김광석다시그리기길 | 팔공산 | 태화강 십리대숲 | 영남알프스 | 울릉도와 독도 | 불국사와 석굴암 | 경주 대릉원 일대(동궁과 월지 | 첨성대 | 대릉원 | 천마총 | 황리단길) | 청송 주왕산 | 안동 하회마을 | 포항운하 | 영덕 대게거리 | 영주 부석사 | 울진 금강송 숲길 | 통영 스카이라인 루지 | 거제 바람의 언덕 | 창녕 우포늪 | 외도 보타니아 | 남해독일마을 | 진주성 | 합천 해인사 제주권 한라산 | 올레길 | 성산일출봉 | 제주 비자림 | 섭지코지 | 우도 | 서귀포 매일올레시장 | 성읍 민속마을 | 제주 절물 자연휴양림
[1] 현존하거나 이미 사라진 문화적 전통이나 문명의 독보적 또는 적어도 특출한 증거일 것[2] 기록에서는 그냥 신라 왕이라고만 해서 어느 왕인지 모르지만, 드라마 태조 왕건에서는 드라마 설정상 궁예의 아버지인 경문왕의 영정으로 나온다.[3] 참고로 태조 왕건 당시 해당 장면을 사찰에서 실제로 찍었다! 궁예가 승려들과 신료들 앞에서 설법하는 장면은 무량수전에서... 그리고, 김제 금산사나 공주 마곡사에서도 태조 왕건을 촬영한 적이 있었다.[4] 1307~1395[5] 이때 한 일 중 하나가 소수서원을 사액서원으로 만든 것이다.[6] 소조 불상을 만든 다음 대부분은 금칠을 해서 완성하지만 소조 불상에 삼베를 여러 겹 씌운 후 건칠(乾漆, 옻칠)을 하는 불상들도 있다. 이런 불상들은 나중에 흙을 파내기 때문에 카테고리가 달라진다.[7] 지금으로서는 납득이 안 되지만, 당시에는 석고로 처리하는 것이 가장 최선의 방법이었다. 비슷한 시기에 보수를 했던 익산의 미륵사지 석탑과 석굴암도 붕괴 직전까지 간 상황에서 당시 최신 공법이었던 콘크리트를 사용했으니...[8] 재미있게도 정호승은 천주교 신자이다.[9] 순흥 안씨의 본관이다.[10] 나머지 1/3은 저수령 - 죽령 20km 구간이다. 국공영역을 벗어나기에 정비가 잘 되어있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