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틀:대한민국의 국보 1~30호, version=27, uuid=b16ef97f-b363-494a-ab2a-e95ccd5f503f,
title2=틀:대한민국의 국보 31~60호, version2=23, uuid2=979147df-3a26-481f-b049-2bed6c206bdc,
title3=틀:대한민국의 국보 61~90호, version3=18, uuid3=a651288c-6ac5-4be6-aabd-d4ff8ce28b2d,
title4=틀:대한민국의 국보 91~120호, version4=16, uuid4=47b78863-c197-4fb3-8fa6-911be58d2f63,
title5=틀:대한민국의 국보 121~150호, version5=18, uuid5=38233d15-3cf9-4c93-833c-94c06a6fbf8b,
title6=틀:대한민국의 국보 151~180호, version6=15, uuid6=edf3cf60-9adb-4a8f-8ee0-0b7fbc07c52f,
title7=틀:대한민국의 국보 181~210호, version7=13, uuid7=dc5f6abf-c5c1-4679-b79e-a752e027eb8b,
title8=틀:대한민국의 국보 211~240호, version8=15, uuid8=0da4ae8e-4b56-4578-9135-01ed7dddf02a,
title9=틀:대한민국의 국보 241~270호, version9=13, uuid9=98999a90-809a-452b-9fd0-6721c558ff35,
title10=틀:대한민국의 국보 271~300호, version10=12, uuid10=d3cf8eb4-7dea-45c4-8db8-f764102672c0,
title11=틀:대한민국의 국보 301~330호, version11=21, uuid11=654db38a-ea8b-426b-a33e-245918ddd995,
title12=틀:대한민국의 국보 331~360호, version12=14, uuid12=6bc2ec27-8f76-40cf-9ef0-c2d80032b65e)]
대한민국 국보 제320호 | |
월인천강지곡 권상 月印千江之曲 卷上 | |
소재지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하오개로 323 (운중동, 한국학중앙연구원) |
분류 | 기록유산 / 전적류 / 활자본 / 금속활자본 |
수량/시설 | 1책(71장) |
지정연도 | 2017년 1월 2일 |
제작시기 | 1447년(세종 29)경 |
[clearfix]
1. 개요
月印千江之曲. 제목을 해석하면 '달이 즈믄[1] 가람에 비치는 노래'이다.조선 세종대왕이 수양대군이 지은 석보상절을 본 후, 각 구절마다 찬가찬송의 형식으로 직접 지은 송시 500여 수를 첨한 장편 한글 찬불가. 상중하 3권으로 구성되었으나 현존하는 책은 상권뿐이다.
현재 한국학 중앙 연구원 장서각이 소장 중이고[2] 국보 제320호로 지정되었다.
2. 내용
부톄 百億 世界예 化身ᄒᆞ야 敎化ᄒᆞ샤미 ᄃᆞ리 즈믄 ᄀᆞᄅᆞ매 비취요미 ᄀᆞᆮᄒᆞ니라
부처님이 백억 세계에 화신하여 교화하심이 달이 일천 개의 강에 비치는 것과 같으니라.
《월인석보(1459)》에 실린 월인천강지곡 제1 주석 中
세종 28년(1446) 소헌왕후가 사망하자 수양대군[3]은 충격을 받고 죽은 어머니의 명복을 빌기 위해 스스로 불교 서적을 공부한 후 한글로 석보(釋譜), 즉 석가모니의 일대기를 지어 모친의 영전에 바쳤다.부처님이 백억 세계에 화신하여 교화하심이 달이 일천 개의 강에 비치는 것과 같으니라.
《월인석보(1459)》에 실린 월인천강지곡 제1 주석 中
이를 보고 세종이 수양대군에게 석보를 개인적인 작품을 넘어 모든 이가 볼 수 있게 완성하라는 명을 내리자, 고승 신미와 함께 다른 불경들 또한 모두 완독하여 우리 나라 최초의 한글 불경 언해서를 완성했는데, 이것이 바로 석보상절이다.
세종 29년(1447) 세종은 완성된 석보상절을 읽어본 후 그 내용과 완성도, 작품성에 크게 감동하여 석보상절의 각 구절마다 그에 대한 찬가를 직접 지었다. 현재 남아있는 월인천강지곡 권상에 수록된 찬가는 총 194곡이고, 수년 후 석보상절과 월인천강지곡을 합철하여 세조대에 발간한 월인석보에 나오는 찬가의 수는 총 440곡이다. 상중하 전체로는 찬가 580여 곡인데 세종이 직접 지어 수록했던 듯하다.
한글로 표기된 작품으로 한글 창제 극초기의 국어학 연구와 출판 인쇄사를 연구하는 데에는 용비어천가와 함께 쌍벽을 이루는 역대 최고의 자료라 국보로 지정되었다.
현존하는 월인천강지곡은 상권 하나뿐으로 총 194곡만이 남았다. 하지만 세조가 재위 5년(1459) 월인천강지곡의 내용을 합철하여 우리나라 불교계 제일의 강창문학(講唱文學)으로 손꼽히는 월인석보를 펴낸 덕분에 월인천강지곡의 내용 자체는 현재까지 전해지고 있다.
3. 여담
- 가사는 남아있었으나 음정은 전수되지 않았는데 영화 나랏말싸미에서 곡을 붙인 버전이 나왔다. 가사는 월인천강지곡 기2곡의 내용이며, 전미선 배우의 유작이기도 한 작품에서 공교롭게도 '진혼곡'으로 재생되어 슬픔을 더했다.世솅尊존ㅅ 일 ᄉᆞᆯᄫᅩ리니, 萬먼里링外ᅌᅬㅅ 일이시나 눈에 보논가 너기ᅀᆞᄫᆞ쇼셔.世솅尊존ㅅ 말 ᄉᆞᆯᄫᅩ리니, 千쳔載ᄌᆡᆼ上쌰ᇰㅅ 말이시나 귀예 듣논가 너기ᅀᆞᄫᆞ쇼셔.세존의 일 사뢰리니, 만 리 밖의 일이시지만 눈에 보는 듯 여기시옵소서.세존의 말 사뢰리니, 천 년 전의 말이시지만 귀에 듣는 듯 여기시옵소서.《월인천강지곡》 기2곡
세존 일 여쭈리니 / 만 리 밖 일이오나 / 눈에 보는가 여기소서 / 세존 말 여쭈리니 / 천 년 전 말이시나 / 귀에 보는가 여기소서
나랏말싸미 OST에서 번안된 가사
나랏말싸미 OST에서 번안된 가사
- 정설은 아니지만 월인천강지곡 안에 세종의 정실부인이었던 소헌왕후에 대한 비밀 메시지가 있다는 해석이 있다. 상술한 월인천강지곡 기2곡의 내용이 바로 소헌왕후를 향한 메시지라는 견해이다.
소헌왕후는 시아버지인 태종에 의해 친정이 멸문의 화를 입었다. 당시 세종은 군권을 쥐고 있던 태종에 맞서 처가의 멸문을 수수방관할 수밖에 없었음을 안타까워했으며, 이후 소헌왕후도 폐위하라는 상소가 빗발쳤으나 세종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한다.[4] 소헌왕후가 승하한 후 세종은 창덕궁 곁에 불당을 세우려 했고, 대소 신료들이 강하게 반발하였으나 '나는 어진 임금이 아니니 불당 하나쯤 지을 수 있는 거 아니냐?' 하는 논리로 건설을 강행하기도 하였다.
4. 외부 링크
- 한국어 위키백과 : 월인천강지곡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월인천강지곡 권상
- 국어국문학자료사전 : 월인천강지곡
- 한국고전용어사전 : 월인천강지곡
- 한국 미의 재발견 : 월인천강지곡
- 한국고중세사사전 : 월인천강지곡
5. 국보 제320호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은 한글을 창제한 세종이 그의 아내인 소헌 왕후의 공덕을 빌기 위하여 직접 지은 찬불가이다. 훈민정음 창제이후 가장 빠른 시기에 짓고 활자로 간행한 점에서 한글 창제 후 초기의 국어학 연구와 출판 인쇄사를 연구하는 데 매우 중요한 문헌이다. 비록 3분의 1 정도만 남은 零本이나 이 책이 갖는 국어학적, 내지 출판 인쇄사적 가치는 매우 높다는 점에서 국보로 승격할 가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