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리사 전경1 |
▲ 도리사 전경2 |
▲ 도리사 야경 |
도리사 | ||
다국어 표기 | ||
한자 | 桃李寺 | |
로마자 | Dorisa | |
유형 | 사찰 | |
소재지 |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도리사로 526 | |
개통일 | 삼국시대 신라[1] |
1. 개요2. 내용3. 가람
3.1. 극락전(極樂殿)3.2. 적멸보궁(寂滅寶宮)3.3. 태조선원(太祖禪院)3.4. 삼성각(三聖閣)3.5. 설선당(說禪堂)3.6. 범종각(梵鍾閣)3.7. 수선료(修善寮)3.8. 염화실(拈花室)3.9. 휴휴정(休休亭)3.10. 반야(般若)쉼터3.11. 일주문(一柱門)
4. 경내 중요문화재4.1. 화엄석탑(華嚴石塔)4.2. 목조아미타여래좌상(木造阿彌陀如來坐像)4.3. 석종형 세존사리탑(石鍾形 世尊舍利塔)4.4. 석가세존사리탑(釋迦世尊舍利塔)4.5. 아도화상사적비(阿道和尙事蹟碑)ㆍ불량답시주질비(佛糧畓施主秩碑)4.6. 금동6각사리함(金銅6角舍利圅)과 사리(舍利)
5. 교통1. 개요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도리사로 526번지에 위치한 신라시대 사찰이며, 대한불교 조계종 제8교구 본사 직지사의 말사이다.신라시대 최초 사찰로 전해진다.
2. 내용
도리사는 신라 제19대 눌지왕(417년) 때 고구려의 승려 아도화상이 불교가 없었던 신라에 포교를 위해 처음 세운 신라불교의 발상지이다. 아도화상이 수행처를 찾기위해 다니던 중 겨울인데도 이곳에 복숭아 꽃과 오얏꽃이 활짝 핀 모습을 보고 좋은 터임을 알고 이곳에 모례장자의 시주로 절을 짓고 이름을 복숭아와 오얏에서 이름을 따 도리사라 하였다. 신라불교 초전법륜지로 불교의 성지인 이곳에서 아도화상이 신라에 불교를 전하러 올 때에 모셔온 세존 진신사리가 1976년 세존 사리탑 보수 공사중 금동육각사리함에 봉안되어 발견되었다. 도리사 세존사리탑 금동 사리기는 8세기 중엽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이 되며, 국보 제208호로 지정되어 현재 직지사 성보박물관에 위탁 소장되어 있다.3. 가람
3.1. 극락전(極樂殿)[2]
도리사 극락전 |
3.2. 적멸보궁(寂滅寶宮)
도리사 적멸보궁 |
3.3. 태조선원(太祖禪院)
도리사 태조선원 |
3.4. 삼성각(三聖閣)
도리사 삼성각 |
3.5. 설선당(說禪堂)
도리사 설선당 |
3.6. 범종각(梵鍾閣)
도리사 범종각 |
3.7. 수선료(修善寮)
스님들의 거처하는 요사(寮舍)로 정면 5칸, 측면 4칸 규모의 팔작지붕 2층 건물이다. 1990년에 건립하였으며 1층은 공양간, 2층은 종무소와 요사로 사용하고 있다. 정면에는 「東國最初伽藍」ㆍ「太祖山 桃李寺」 등의 편액이 걸려 있다.3.8. 염화실(拈花室)
큰스님들이 거처하는 요사로 정면 5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 ㄱ자형 건물이다. 2007년에 건립하였다.3.9. 휴휴정(休休亭)
참배객들이 몸과 마음을 편히 쉬었다 갈 수 있도록 2007년에 세운 원두막형의 건물이다.3.10. 반야(般若)쉼터
도리사 반야쉼터 |
3.11. 일주문(一柱門)
도리사 일주문 |
4. 경내 중요문화재[5]
4.1. 화엄석탑(華嚴石塔)[6]
화엄석탑 |
4.2. 목조아미타여래좌상(木造阿彌陀如來坐像)[7]
목조아미타여래좌상 |
4.3. 석종형 세존사리탑(石鍾形 世尊舍利塔)
석존형 세존사리탑 |
4.4. 석가세존사리탑(釋迦世尊舍利塔)
석가세존사리탑[8] |
4.5. 아도화상사적비(阿道和尙事蹟碑)ㆍ불량답시주질비(佛糧畓施主秩碑)[9]
아도화상사적비ㆍ불량답시주질비 |
4.6. 금동6각사리함(金銅6角舍利圅)과 사리(舍利)[10]
자세한 내용은 도리사 세존사리탑 금동 사리기 문서 참고하십시오.5. 교통
- 선산터미널에서 구미 버스 74-4를 타고 이 곳으로 올 수 있다.
- 자가용으로 낙동대로(25번 국도) 도리사교차로에서 송곡삼거리까지 이동, 강동로 61m 이동 후 우회전, 도리사로 5.4km직진[가산IC]
- 자가용으로 낙동대로(25번 국도) 월곡교차로에서 월곡리, 도리사방면으로 우회전 후, 송곡삼거리까지 강동로 1.9km 이동 후 우회전, 도리사로 5.4km직진[도개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