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0 21:22:33

대덕구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00ae4d>
파일:대전광역시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자치구
파일:동구(대전광역시) CI.svg
동구
파일:중구(대전광역시) CI.svg
중구
파일:서구(대전광역시) CI.svg
[[대전광역시청|
시청
]] 서구
파일:유성구 CI.svg
유성구
파일:대덕구 CI.svg
대덕구
}}}}}}}}}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0071bc>
파일:대덕구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행정동 법정동
<colbgcolor=#0071bc> 오정동
구청
오정동
대화동 대화동
회덕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와동 장동 }}}
비래동 비래동
송촌동 송촌동
법1, 2동 법동
중리동 중리동
신탄진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갈전동 미호동 부수동 삼정동
신탄진동 용호동 이현동 황호동 }}}
석봉동 석봉동
덕암동 덕암동 상서동 평촌동
목상동 목상동 문평동 신일동
}}}}}}}}} ||
대전광역시자치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파일:대덕구 CI.svg
대덕구
大德區
Daedeok-gu
}}}
<colbgcolor=#0071bc><colcolor=#fff> 구청 소재지 대전로1033번길 20 (오정동)
광역자치단체 대전광역시
하위 행정구역 12[1]
면적 68.71㎢
인구 168,708명[2]
인구밀도 2,455.36명/㎢[3]
구청장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최충규 (초선)
구의회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4석[4]

파일:zsdkl3gasdg.svg
2석[5]

2석[6]
시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2석[7]

1석[8]
국회의원
파일:zsdkl3gasdg.svg
박정현 (초선)
지역번호 042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3. 지역 특징
3.1. 남과 북3.2. 대전의 외딴 곳
4. 교통5. 경제6. 주요 시설 및 기업체
6.1. 주요 관공서 및 정부유관기관6.2. 민간기업 및 금융기관
7. 교육
7.1. 고등교육기관
8. 문화시설 및 체육시설9. 의료기관10. 기타11. 정치12. 하위 행정구역13. 출신 인물14. 사건사고

[clearfix]

1. 개요

파일:대덕구 더기더기 덕구.png 파일:대덕 BI.png
마스코트 더기더기 덕구 BI
파일:attachment/dafdafdafdsfadfasdfadsfasdf.jpg
대덕구청[9]
대전광역시의 북부에 위치한 자치구. 대전에서 인구가 가장 적고, 면적도 가장 좁은 자치구다.

'대덕'이라는 이름은 1935년 대전군 대전읍이 대전부(1949년 대전시로 개칭)로 승격될 때, 잔여 대전군을 부(시)명과 군명을 다르게 했던 당시 관례에 따라 '대전'(大田)과 옛 군명인 '회덕'(懷德)에서 한 글자씩 따 ‘대덕군’으로 개칭했던 것이 오늘날까지 이어졌다. '회덕'에 대해서는 회덕동, '대전'에 대해서는 대전광역시/역사 문서로.

2.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전광역시/역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1989년 1월 1일 폐지되기까지의 대덕군의 역사는 대덕군 문서로.
  • 1989년 기존 대덕군의 신탄진읍과 기존 대전시 동구 중 1963년과 1983년에 걸쳐 편입된 옛 대덕군 회덕면 일대의 10개동(용전동 제외)[10]을 관할로 하여 대전직할시 대덕구가 설치되었다.

1989년 대전시대전직할시로 승격되면서 대덕군 전역이 폐지되고 유성구와 함께 신설된 이다. 대덕군에서 언급하듯 '대덕'이란 이름은 1935년 대전군에서 대전부(현 대전광역시)가 분리 승격되면서 군-부의 이름을 달리하기 위해[11] '대전+회덕'[12] 식으로 한 글자씩 합쳐 '대덕군'으로 칭한 것이 그 유래이다.

대전시가 대덕군을 야금야금 편입하여 1989년 당시에 남아있던 영역은 남북이 분단된 일부 지역뿐이었는데[13] 각각 가까운 네 구에 편입되었고 신탄진읍과 남쪽에 이미 1963년/1983년 두 번에 걸쳐 대전시(동구)에 편입됐던 회덕면 일대를 합쳐 대덕구를 형성하였다. 그러한 연유로 실질적으로 대덕군에서 대덕구로 그대로 이어지는 지역은 신탄진밖에 없게 되었다. 대덕군 해체 당시에 신탄진 지역만이 유일하게 읍이었으니(유성읍은 1983년에 이미 중구로 편입됨) 신탄진이 신설 대덕구의 중심이 되는 것이 당연하다면 당연하기도 하다.

대덕군은 남서쪽 진잠동과 남동쪽 산내동에서부터 북쪽 신탄진, 구즉에 이르는 거대한 행정구역이었지만, 현 대덕구에서 1989년 대덕군 폐지 당시 기준으로 옛 대덕군의 영역은 신탄진 지역밖에 없다. 대덕연구개발특구가 대덕구가 아니라 유성구에 있는 것도 대덕연구단지 조성 당시 행정구역이 대덕군 유성읍, 탄동면, 구즉면이었기 때문이다. 대덕초/중/고등학교 역시 마찬가지. 그나마 이 두 경우 모두 대덕구와 아주 멀지는 않고 인근 유성구에 있다. 너무 남쪽, 이를테면 진잠동 같은 데 '대덕'이라는 지명이 설령 남아 있었다면 남청주IC로 이름이 바뀐 청원IC의 경우처럼[14] 어쩔 수 없이 바꿔야 했을 수도 있다. 그래도 알맹이가 아예 다른 도시로 가버린 칠곡이나 시흥보다는 낫다. 재미있는 특징은 1973년 대덕군 북면과 유성면이 각각 신탄진읍, 유성읍으로 읍 승격이 이루어졌는데 신탄진은 구 이름으로 되지 못하고 대덕이라는 포괄적인 이름이 붙었다는 것인데, 대덕구는 옛 회덕면 지역도 관할하는데다(게다가 옛 회덕면 지역이 대전광역시의 전신인 회덕군의 역사적 중심지이기도 하고, 먼저 대전시에 편입되어 시가지가 먼저 개발되었다) 구청사(기존 대덕군청사)도 신탄진이 아닌 그쪽에 있기에[15] 유성과는 달리 대표성 있는 지명으로서 구명으로 채택되지 못한 것이다.

대덕군이 1935년 대전부 승격으로 생겨난 광대한 군인 데에 비해 현 대덕구 지역은 비교적 동질적인 군현으로 있었던 편이다. 특히 현 유성구와의 경계는 자연 경계인 갑천을 경계로 하다 보니 조선시대나 지금이나 별 차이가 없는 편이다. 대체로 조선시대 회덕군과 영역이 대동소이하며 남쪽 절반이 동구가 되었다. 이 일대에서 가장 오래 쓰였던 이름은 고려 시대에 지어진 '회덕'이다. 이름의 유래가 된 회덕은 1980년대에 대전시 동구로 편입되어 잠시 대덕군 지역에서 벗어났으나 1989년에는 다시 대덕구에 속한 지역이 되었다. 오늘날 대전광역시라는 광대한 지역의 명칭으로 쓰이는 '대전'도 회덕군 대전리(지금의 대전역과 그 근처)에서 유래한 것으로 역사적 회덕군, 오늘날의 대덕구 일대와 비슷한 역사를 공유한다.[16]

대덕군 시절이었던 1986년 전국 최초로 유일하게 군단위에서 진기한 기록을 세웠는데 중앙행정기관이었던 전매청이 지금의 덕암동 지역에 이전한 것이 바로 그것이다.
==# 인구 #==
파일:대덕구 CI.svg 대덕구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16,549명
1970년 119,961명
1975년 132,877명
1980년 152,162명
1983년 2월 15일 대덕군 유성읍 전역, 구즉면·탄동면·기성면·진잠면 각 일부 → 대전시 중구 편입 및 유성출장소 설치
대덕군 회덕면 → 대전시 동구 편입
1985년 76,864명
1987년 1월 1일 대덕군 진잠면 계산리 → 대전시 중구 편입
1989년 1월 1일 충청남도 대전시 + 대덕군(진잠면 남선리 제외) →
대전직할시 승격 및 대덕군 폐지
舊 대덕군 신탄진읍 + 동구 회덕1·2동, 오정동, 대화동 → 대덕구 승격 분리
1990년 162,201명
1995년 202,451명
2000년 233,778명
2005년 222,152명
2008년 211,241명
2009년 208,147명
2010년 207,549명
2011년 205,339명
2012년 205,688명
2013년 204,360명
2014년 201,558명
2015년 196,839명
2016년 192,688명
2017년 186,902명
2018년 181,991명
2019년 177,031명
2020년 176,384명
2021년 175,046명
2022년 172,746명
2023년 169,853명
2024년 10월 168,70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17],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행정동별 인구 통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송촌동 26,285명
중리동 18,794명
석봉동 16,228명
비래동 15,470명
법2동 15,125명
신탄진동 14,584명
오정동 13,891명
덕암동 13,067명
법1동 12,496명
회덕동 11,484명
대화동 6,494명
목상동 6,168명
2023년 11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 ||

===# 행정동별 인구 #===
파일:대덕구 CI.svg 오정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행정동제 실시
오정동 + 대화동 → 오정동 신설
1966년 5,415명
1970년 8,619명
1975년 13,079명
1980년 25,560명
1983년 10월 1일 오정동오정동, 대화동 분동
1985년 18,760명
1990년 22,449명
1995년 25,362명
2000년 25,756명
2005년 23,316명
2008년 20,453명
2009년 20,214명
2010년 20,159명
2011년 19,791명
2012년 19,212명
2013년 18,659명
2014년 17,967명
2015년 17,264명
2016년 16,701명
2017년 16,097명
2018년 15,686명
2019년 15,296명
2020년 14,775명
2021년 14,506명
2022년 14,130명
2023년 10월 13,93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75만 명
파일:대덕구 CI.svg 대화동 인구 추이
(1985년~현재)
1983년 10월 1일 오정동 → 오정동, 대화동 분동
1985년 17,849명
1990년 19,457명
1995년 14,490명
2000년 12,327명
2005년 11,935명
2008년 10,739명
2009년 10,632명
2010년 10,657명
2011년 10,304명
2012년 9,811명
2013년 9,487명
2014년 9,263명
2015년 8,892명
2016년 8,493명
2017년 8,178명
2018년 7,877명
2019년 7,563명
2020년 7,180명
2021년 6,944명
2022년 6,694명
2023년 10월 6,51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파일:대덕구 CI.svg 회덕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7,541명
1970년 7,812명
1975년 11,571명
1980년 18,515명
1983년 2월 15일 대덕군 회덕면 → 대전시 편입 및 폐지
회덕면 → 회덕1동, 회덕2동 분리
1985년 13,735명
1989년 1월 1일 대덕군 신탄진읍 → 대전직할시 편입 및 폐지
신탄진읍 장동리 → 회덕1동 편입
1990년 22,196명
1995년 23,414명
2000년 23,027명
2003년 2월 1일 회덕1동 → 회덕동 개칭
2005년 20,566명
2008년 19,426명
2009년 19,152명
2010년 18,910명
2011년 18,250명
2012년 17,746명
2013년 17,401명
2014년 16,896명
2015년 16,428명
2016년 15,984명
2017년 15,637명
2018년 14,960명
2019년 14,167명
2020년 12,782명
2021년 12,271명
2022년 11,808명
2023년 10월 11,49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파일:대덕구 CI.svg 비래동 인구 추이
(1985년~현재)
1983년 2월 15일 대덕군 회덕면 → 대전시 편입 및 폐지
회덕면 → 회덕1동, 회덕2동 분리
1985년 12,044명
1990년 1월 1일 회덕2동 → 회덕2동, 중리동 분동
1990년 19,224명
1995년 26,695명
2000년 50,995명
2003년 2월 1일 회덕2동 → 비래동, 송촌동 분동
2005년 18,472명
2008년 20,341명
2009년 20,113명
2010년 20,122명
2011년 19,675명
2012년 19,306명
2013년 19,011명
2014년 18,819명
2015년 18,495명
2016년 18,316명
2017년 18,018명
2018년 17,559명
2019년 17,062명
2020년 16,671명
2021년 16,215명
2022년 15,697명
2023년 10월 15,48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5만 명
파일:대덕구 CI.svg 송촌동 인구 추이
(2005년~현재)
2003년 2월 1일 회덕2동 → 비래동, 송촌동 분동
2005년 33,808명
2008년 32,990명
2009년 32,954명
2010년 32,898명
2011년 32,367명
2012년 32,250명
2013년 32,107명
2014년 31,602명
2015년 31,082명
2016년 30,741명
2017년 30,174명
2018년 29,359명
2019년 28,761명
2020년 27,921명
2021년 27,150명
2022년 26,667명
2023년 10월 26,29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5만 명
파일:대덕구 CI.svg 중리동 인구 추이
(1990년~현재)
1990년 1월 1일 회덕2동 → 회덕2동, 중리동 분동
1990년 37,870명
1991년 9월 1일 중리동중리동, 법동 분동
1995년 25,160명
2000년 26,894명
2005년 26,606명
2008년 24,507명
2009년 24,064명
2010년 24,369명
2011년 24,355명
2012년 24,059명
2013년 23,844명
2014년 23,233명
2015년 22,424명
2016년 21,843명
2017년 21,568명
2018년 20,701명
2019년 20,144명
2020년 19,594명
2021년 19,567명
2022년 19,114명
2023년 10월 18,80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75만 명
파일:대덕구 CI.svg 신탄진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9,167명
1970년 22,603명
1973년 7월 1일 대덕군 북면 → 신탄진읍 승격
1975년 26,449명
1980년 31,556명
1985년 34,786명
1989년 1월 1일 대덕군 신탄진읍 → 대전직할시 편입 및 폐지
신탄진읍 → 신탄진동, 석봉동, 덕암동, 목상동 분리
신탄진읍 장동리 → 회덕1동 편입
1990년 15,042명
1995년 14,995명
2000년 16,061명
2005년 14,533명
2008년 14,192명
2009년 13,809명
2010년 13,815명
2011년 13,629명
2012년 13,408명
2013년 13,328명
2014년 13,087명
2015년 12,819명
2016년 12,526명
2017년 12,086명
2018년 11,744명
2019년 11,364명
2020년 11,053명
2021년 12,825명
2022년 14,635명
2023년 10월 14,59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5만 명
파일:대덕구 CI.svg 석봉동 인구 추이
(1990년~현재)
1989년 1월 1일 대덕군 신탄진읍 → 대전직할시 편입 및 폐지
신탄진읍 → 신탄진동, 석봉동, 덕암동, 목상동 분리
신탄진읍 장동리 → 회덕1동 편입
1990년 8,218명
1995년 7,874명
2000년 8,322명
2005년 7,363명
2008년 7,336명
2009년 6,961명
2010년 6,921명
2011년 6,799명
2012년 10,672명
2013년 11,854명
2014년 12,967명
2015년 12,983명
2016년 12,848명
2017년 13,865명
2018년 14,439명
2019년 14,367명
2020년 16,475명
2021년 16,303명
2022년 16,195명
2023년 10월 16,23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파일:대덕구 CI.svg 덕암동 인구 추이
(1990년~현재)
1989년 1월 1일 대덕군 신탄진읍 → 대전직할시 편입 및 폐지
신탄진읍 → 신탄진동, 석봉동, 덕암동, 목상동 분리
신탄진읍 장동리 → 회덕1동 편입
1990년 14,739명
1995년 17,297명
2000년 19,861명
2005년 18,831명
2008년 16,461명
2009년 16,208명
2010년 16,134명
2011년 17,313명
2012년 16,963명
2013년 16,887명
2014년 16,738명
2015년 16,371명
2016년 16,111명
2017년 15,281명
2018년 14,715명
2019년 14,206명
2020년 13,686명
2021년 13,725명
2022년 13,344명
2023년 10월 13,09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파일:대덕구 CI.svg 목상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89년 1월 1일 대덕군 신탄진읍 → 대전직할시 편입 및 폐지
신탄진읍 → 신탄진동, 석봉동, 덕암동, 목상동 분리
신탄진읍 장동리 → 회덕1동 편입
1990년 3,006명
1995년 6,260명
2000년 8,121명
2005년 7,426명
2008년 7,066명
2009년 6,910명
2010년 6,953명
2011년 7,099명
2012년 7,275명
2013년 7,404명
2014년 7,451명
2015년 7,460명
2016년 7,484명
2017년 7,211명
2018년 7,005명
2019년 6,911명
2020년 6,683명
2021년 6,474명
2022년 6,336명
2023년 10월 6,18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8천 명
파일:대덕구 CI.svg 법1동 인구 추이
(1995년~현재)
1991년 9월 1일 중리동 → 중리동, 법동 분동
1995년 40,934명
1996년 1월 1일 법동 → 법1동, 법2동 분동
2000년 18,093명
2005년 16,763명
2008년 15,812명
2009년 15,593명
2010년 15,477명
2011년 15,130명
2012년 14,708명
2013년 14,409명
2014년 14,047명
2015년 13,625명
2016년 13,002명
2017년 10,665명
2018년 10,362명
2019년 10,000명
2020년 13,076명
2021년 13,100명
2022년 12,673명
2023년 10월 12,51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만 명
파일:대덕구 CI.svg 법2동 인구 추이
(2000년~현재)
1996년 1월 1일 법동 → 법1동, 법2동 분동
2000년 24,321명
2005년 22,533명
2008년 21,918명
2009년 21,537명
2010년 21,134명
2011년 20,627명
2012년 20,278명
2013년 19,969명
2014년 19,488명
2015년 18,996명
2016년 18,639명
2017년 18,122명
2018년 17,584명
2019년 17,190명
2020년 16,488명
2021년 15,966명
2022년 15,453명
2023년 10월 15,14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3. 지역 특징

면적은 넓지만 인구 밀집 지역은 그다지 많지 않다. 또한 대전광역시의 자치구들 중 유일하게 모든 구와 접해 있다.[18]

동환서산 (동쪽에는 환경자원(대청호, 계족산)이 있고, 서쪽에는 산업단지가 있다.)

2023년 기준 대덕구와 인구, 면적, 인구밀도가 모두 비슷한 해외도시로는 캐나다 워털루 등이 있다.

3.1. 남과 북

대덕구는 시가지가 중심지역, 그리고 덕암동과 신탄진 지역으로 확연하게 구분되어 있다. 중간에 계족산이 위치해있기 때문. 신탄진로(17번 국도)를 통해 이어져 있다. 재미있게도 17번 국도의 도로명칭이 대전역 인근까지 전구간 신탄진로였다가 2010년 회덕동에서 계족로와 직결되는 구간 이북으로 단축되어서 화물터미널 부근 삼거리 이남은 대전로로 분리되었다.

읍내동 현대아파트 이북과 덕암동 사이 17번 국도 연선 회덕 지역은 한산한 시골풍경을 가지고 있으며 때문에 대전과 신탄진을 나누는 생활권 경계선 역할을 한다.

생활 정보지 같은 경우 이를 기준으로 이남 지역은 주로 대전시의 것을 보지만 신탄진 지역은 청주(원래는 청원)와 공유를 하기도 한다. 2번 급행버스를 타고 올라가다 보면 중리동, 와동, 신탄진, 3,4공단을 지나가는데 이 넷이 지형적으로 또 고속도로와 큰 도로로 적당히 나뉘고 중심을 따로 가지며 제각각 뭉쳐져 있다.

오정동, 중리동과 대덕구청이 있는 남쪽이 대전 동구와 생활권이 같다면, 와동 이북 특히 공단과 신탄진톨게이트 주변부터는 아직은 생활권이 분리된 느낌. 고구마처럼 생긴 대덕구의 북쪽 끝에서 남쪽 끝까지 약 5km 가량으로 승용차로 20분 정도 거리인데 신탄진에서 청원IC(현 남청주IC) 부근까지 시간상으로 비슷하게 걸린다. 수도권이라면 경기 구리시~서울 중랑구 정도로 좀 떨어져 있다는 느낌이겠지만 인구가 더 적다 보니 더 멀게 느껴진다.

위의 역사 문단에서도 보듯이 현 대덕구의 남쪽 일대는 실제로 1977년에서 1988년까지 충청남도 대전시 동구에 있었다. 남쪽에 있는 대화동, 오정동은 대전에 구제가 실시된 1977년부터 동구였으니 사실 2000년대 초반 무렵에는 동구에 속한 시기나 대덕구에 속한 시기가 비등한 실정이다.

대덕구는 대전광역시 중에서 영화관, 대형마트가 없으며[19], 대덕구도 동구, 중구 처럼 인구 감소세를 겪고 있는데, 원래 1980년대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는 중리동, 법동, 송촌동 일대가 대규모 택지개발되고 이곳에 대단위 아파트 단지가 생기면서 인구가 유입됐지만 2010년대 이후 그렇다 할 신규 택지개발이 이뤄지지 않으면서 인구 유입 요인이 줄었다.

3.2. 대전의 외딴 곳

위치가 상당히 외진 편이고 대전시가 서구, 유성구에만 신도심 개발 특혜와 관심을 주다보니 자연스레 원도심권에 편입되었다.

가장 큰 문제는 교통으로 신탄진서 대전으로 가는 빠른 수단이 무궁화호와 급행버스로 교통여건이 매우 열악한데다가 대덕연구단지, 대덕테크노밸리 등 대덕 타이틀도 유성구에게 빼앗긴 상황이다.

2024년 아직도 첫삽도 못 뜬 2호선도 대덕구의 간절한 요청 덕에 후일 연장선으로 대덕구 일부에도 통하는 것에 합의를 보았다. 사실상 버려진 구나 다름없다.

신탄진 지역에 있는 학군 역시 그리 좋지 않다. 많은 사람들이 자녀들을 위해서 학군을 보고 집을 고른다. 하지만 신탄진과 인근 지역의 학군은 모두 대전에서 잘해봐야 중위권~중하위권을 간신히 유지하는 학교이다.

세종특별자치시가 생긴 이후로 이 지역이 또 묘하게 되었다. 대전에서 상대적으로 세종특별자치시와 가까운 곳이다 보니 지역 주민들은 세종시 후광을 받아 대전 변두리라는 인식에서 탈피할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실제로 세종시 때문에 대전역-오송역간 BRT가 개통되었고 신탄진 지역에도 도움이 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진행되는 모습을 보면 계획도시인 세종시의 아파트 공급폭탄 때문에 오히려 직장은 신탄진, 주거는 세종시로 하는 인구가 늘어나고 있다. 자연히 인구 감소가 예정된 지역이라는 것.[20] 물론 세종시가 제대로 발전되고 그 많은 아파트들에 인구가 다 유입되면 이야기는 다를 수 있다. 그쯤 되면 세종시에 붙는 것이 더 나을 수도 있지만 신탄진이 세종시에 붙을 가능성은 없어보인다. 또한 세종시는 유성구와 경계를 이루고 있지 대덕구와는 경계를 전혀 이루지 않는다는 점도 있다.

4. 교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덕구/교통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경제

동양 최대인 전매청 산하 신탄진연초제조창이 1965년 신탄진에 들어서면서 담배산업으로 인해 전국구로 유명한 동네가 되었다.[21] 1986년에는 아예 당시 중앙행정기관이었던 전매청이 내려왔다. 지금이야 정부대전청사정부세종청사 등 지방으로 내려간 중앙행정기관이 널렸지만, 중앙행정기관이 지방으로 내려간 것도 처음이었고, 군 단위로 내려간 것도 당시 연기군이었던 곳에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이 세워진 것을 제외하면 전매청이 유일한 사례다. 민영화되어 KT&G로 바뀐 지금도 본사 자체가 이곳 신탄진에 위치하고 있어 재계 서열에 들어가는 대기업 본사가 지방에 있는 몇 안 되는 사례 중 하나이다.

또한 초대형 공기업인 한국수자원공사 본사도 이 곳에 있다. 혁신도시 훨씬 이전인 박정희 정부 시절에 지방균형발전 정책으로 내려온 케이스이다. 실질적으로 향토기업이 빈약한 대전에서 다른 공기업들과 함깨 대전의 경제의 대들보 역할을 하고 있다.[22]

CJ대한통운 등 각종 물류들을 상·하차하는 대규모 물류센터들이 존재하며, 목상동에는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대전공장이 위치하고 있어서 KT&G 신탄진공장과 함께 대전 제조업에서 큰 한축을 담당하고 있다.

또 세계적인 차량 부품 기업인 한온시스템[23]로버트보쉬코리아도 대덕구에 본사를 두고 있어 대덕구 경제의 큰 한축을 지탱하고 있으며, 이밖에도 아모레퍼시픽, 애경케미칼, 효성, 한솔제지, 롯데웰푸드, 롯데칠성음료, 유한킴벌리, 크라운제과 등의 공장들도 대덕구에 소재하고 있다.

비록 유성구와 매우 인접해 있으나 대덕구 경제의 큰 축을 담당하는 대화동의 대전산업단지와 목상동에 대덕산업단지가 있다. 2018년 3분기 기준 353개의 업체가 입주중이며 그중 342개의 업체가 가동중에 있으며 5개의 업체는 추가 건설중이다.

6. 주요 시설 및 기업체

6.1. 주요 관공서 및 정부유관기관

6.2. 민간기업 및 금융기관

대덕구에 위치한 금융기관[괄호]
제1금융권[괄호]
국가기관
대전대덕우체국 (8)
국책은행
중소기업은행 (2)
특수은행
농협은행(중앙회) (3)
시중은행
신한은행 (1) 우리은행 (4)
하나은행 (6) 국민은행 (4)
제2금융권(상호금융)[괄호]
농업협동조합
신탄진농협 (6) 회덕농협 (9) 동대전농협 (1) 대전축산농협 (1)
대전원예농협 (1)
새마을금고
으뜸새마을금고 (7) 오정동새마을금고 (3) 대덕새마을금고 (1) 대청새마을금고 (3)
대전북부새마을금고 (3) 한국타이어새마을금고 (1)
신용협동조합
대전우리신용협동조합 (3) [27] 한빛신용협동조합 (2) 대전한일신용협동조합 (1) 대전대덕신용협동조합 (2)
신탄진신용협동조합 (2) 신탄제일신용협동조합 (1) 한남대학교신용협동조합 (1) 수자원공사신용협동조합 (1)
로움코리아신용협동조합 (1)

7. 교육

파일:대덕구 CI_White.svg 대전광역시 대덕구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대전생활과학고등학교 대전송촌고등학교 대전이문고등학교 동대전고등학교 신탄진고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대덕구 CI_White.svg 대전광역시 대덕구 중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대전경덕중학교 대전대청중학교 대전대화중학교 대전매봉중학교
대전법동중학교 대전송촌중학교 대전용전중학교 신탄중앙중학교
신탄진중학교 오정중학교 중리중학교 회덕중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대덕구 CI_White.svg 대전광역시 대덕구 초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대전대양초등학교 대전대화초등학교 대전동도초등학교 대전동산초등학교
대전매봉초등학교 대전목상초등학교 대전법동초등학교 대전비래초등학교
대전새여울초등학교 대전석봉초등학교 대전송촌초등학교 대전양지초등학교
대전중리초등학교 대전중원초등학교 대전화정초등학교 새일초등학교
신탄진용정초등학교 신탄진초등학교 와동초등학교 장동초등학교
회덕초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대전의 자치구들 중에 유일하게 단성학교가 없다. 오정동엔 한남대학교대전신학대학교, 대전생활과학고등학교가 있다. 학교가 많은데 편도 1차선 고가도로 위에 있어, 교통 접근성은 상당히 시망이다. 저녁때만 되면 정체된 차량으로 혼잡도가 극에 달한다. 편도 2차선으로 늘리긴 했지만한남대학교의 노력이 컸음 그 교통량이 어디 갈까, 그나마도 대학교 정문 앞을 지나치면 다시 1차선이 된다. 물론 지금 한남대학교의 접근성은 상당히 좋아진 편이다.

7.1. 고등교육기관

8. 문화시설 및 체육시설

  • 한국수자원공사 대청댐물문화관
  • 대전광역시 동부여성가족원
  • 대덕문화원
  • 덕암축구센터
  • 송촌도서관
  • 신탄진도서관
  • 안산도서관

9. 의료기관

신탄진의 대전보훈병원(327병상)이 가장 큰 종합병원이며, 그 다음으로는 법동의 근로복지공단 대전병원(279병상)이 있다. 두 병원 모두 공립이고 각각 목적성을 가진 병원이지만[29] 일반인 모두 진료를 받을 수 있다.

10. 기타

충북 청주시 서원구(구 충북 청원군) 현도면에서 대전시 경계로 들어오는 경부고속도로경부선, 국도 17호선에서 창밖을 보면 한국타이어 광고가 보이는데 "여기서부터가 대전입니다"와 같은 의미를 가질 정도로 유명한 광고판이다. 대전으로 귀향하는 토박이들에겐 '집에 왔구나' 하는 기준이기도 하다. 반대로 이제 '대전을 떠나는구나'라는 의미를 갖는 광고판이 한국철도공사에서 올렸던 "KTX 탈걸".

충청북도와 인접한 특성상, 동구와 함께 일부 지역이 냉대기후에 속한다. 실제로 2013년 1월 한파에 세천 등 일부 지역이 AWS 데이터로 -20도 이하로 떨어진 적이 있다.

2022년부터 '대덕구 어린이 용돈 수당’이 지급된다. 관내에 주민등록을 둔 만 10세 이상 12세 이하 어린이에게 매월 2만 원씩 지역 화폐 '대덕e도움'으로 지급되며, 용돈수당은 대덕구 내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사용처는 어린이·학부모 등의 의견을 반영해 건전한 소비를 유도할 수 있도록 지정된 가맹점에서만 쓸 수 있다.

대한민국 5부 축구리그인 K5리그 대전/충남/세종 리그에 참가하는 대전 위너스타 FC의 소재지이다.

11. 정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덕구/정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하위 행정구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덕구/행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3. 출신 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분류:대덕구 출신 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4. 사건사고

2023년 12월 24일 저녁 오정동 한 식당 건물에서 LP가스 폭발 사고가 발생했다. 1명이 전신 3도 화상 등 중상, 다른 11명도 경상을 입어 병원에서 치료받았다. 여파로 건물 내 식당 2곳이 전소되어 무너졌으며 인근 건물과 수십채 주택의 유리와 문이 깨지거나 부서졌고, 인근에 주차된 차량 수십대도 유리창이 파손됐다. 30여 명의 이재민이 발생했으며 피해를 본 주민들은 지낼 곳을 급히 찾기도 하고 밤을 지새우거나 지자체가 마련한 임시 거처로 옮겼다. 12월 28일까지 구청에 접수된 피해 건수만 127건이며 추가 신고도 이어지고 있어서 정확한 피해 규모는 파악이 어렵다.[30] 한편 사고 현장에 불법체류자들이 맥주밥솥을 훔치려다 걸렸다.#


[1] 26개 법정동, 12개 행정동[2] 2024년 10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3] 2024년 10월 기준.[4] 대덕구 가선거구 (오정동, 대화동, 법1동, 법2동): 이준규
대덕구 나선거구 (회덕동, 신탄진동, 석봉동, 덕암동, 목상동): 김홍태
대덕구 다선거구 (비래동, 송촌동, 중리동): 조대웅
대덕구 비례대표: 양영자
[5] 대덕구 가선거구 (오정동, 대화동, 법1동, 법2동): 김기흥
대덕구 나선거구 (회덕동, 신탄진동, 석봉동, 덕암동, 목상동): 박효서
[6] 대덕구 나선거구 (회덕동, 신탄진동, 석봉동, 덕암동, 목상동): 유승연
대덕구 다선거구 (비래동, 송촌동, 중리동): 전석광
[7] 대덕구 제1선거구 (오정동, 대화동, 법1동, 법2동): 이효성 (초선)
대덕구 제3선거구 (비래동, 송촌동, 중리동): 이용기 (초선)
[8] 대덕구 제2선거구 (회덕동, 신탄진동, 석봉동, 덕암동, 목상동): 송활섭 (초선)[9] 현 대덕구의 최남단에 있다. 1970년대 초에 이곳으로 이전했으며, 그전까지는 중구 선화동 226번지(현 삼성생명 남대전지점 빌딩 자리)에 있었다. 후술할 대덕구의 남북 거리감으로 인하여 북쪽 대덕구보다는 중구, 동구에 더 가깝다.[10] 읍내동, 연축동, 신대동, 와동(이상 행정동 회덕동), 오정동, 대화동, 송촌동, 법동, 중리동, 비래동[11] 대한민국 시대에도 시 승격 후 시 혹은 군이 이름을 바꾸는 관례가 이어졌다. 도농복합시 7번 문단을 참고하면 이 관계를 제일 먼저 깬 것은 1963년의 안동시-안동군이다.[12] 1914년까지는 군 단위 명칭도 '회덕군'이었다. 대전역의 비중이 커짐에 따라 회덕군 대전리가 군 전체의 이름으로 바뀐 것이다.[13] 해당 시기의 지도는 대전광역시 역사 문서로. 오늘날 완주군전주시 편입에 의해 분단된 모양새를 하고 있다.[14] 부용면이 2012년 세종시로 편입될 당시 이 지역은 외천리로 세종시 편입지역에서 제외되어 그나마 2014년까지는 청원군에 속해있었으나 청주·청원 통합 이후 청원군이 폐지되었고, 청원이라는 명칭은 통합된 청주시 북동부의 일반구 명칭으로 넘겨주고 청원IC에서 청주 시내에 이르는 지역은 청주시 서원구에 속하게 되었다.[15] 그런데 구청사 일대는 1989년 대덕구 설치 당시만 하더라도 주소가 동구 홍도동에 속했으나, 이듬해인 1990년에 경계 조정으로 대덕구 오정동으로 넘어간 것이다. 아마 분구 과정에서 착오가 있었던 모양.[16] 반면 북서쪽의 유성구 구 유성읍 일대(현 온천1~2동)나 남서쪽의 진잠동은 조선시대 내내 별개 현(유성현, 진잠현)이었고 1914년 부군면 통폐합 시기에야 대전에 속하게 되었다.[17] 1966년~1985년까지는 충청남도 대덕군 인구통계, 이후로는 대전직할시→대전광역시 대덕구 인구통계[18] 동구와는 아예 연담화되어 있으며 오정동과 중구 중촌동이 대전천을 사이에 두고 만난다. 서구와는 유등천을 맞대고 있으며 유성구와는 갑천을 끼고 붙어있다.[19] 다만 송촌동, 법동, 중리동, 비래동 일대는 복합터미널이 있는 동구 용전동과 연담화가 잘 되어서 접근성 자체는 매우 좋은 편이다.[20] 애초에 신탄진 구시가지 자체가 뭘 더 개발하기에는 부지가 좁긴 하다. 갑천 건너 구즉동 송강동/봉산동 주거 단지도 신탄진의 공단의 주거 수요를 신탄진 내에서 충족시키기 어려워서 건설한 곳이다.[21] 과거 담배 이름에도 '신탄진'이 있었다.[22] KT&G, 계룡건설, 우성사료 등 향토기업들이 있기는 하나, KT&G는 공기업이였다가 민영화 된 케이스고 순수한 향토기업은 그리 많지가 않다. 사실 1997년 외환 위기 때문에 이렇게 되었는데, 1997년 이전에는 충청은행, 충남방직, 동양백화점, 풍한산업 같은 꽤 잘나가는 향토기업들이 많았지만 죄다 망하거나 합병당하거나 규모가 줄어버리면서 이렇게 되어버린 것.[23] 옛 한라공조[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한다.[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한다.[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27] (구)오정신용협동조합[28] 본부캠퍼스[29] 대전보훈병원은 국가유공자들을 위한 의료기관이고, 근로복지공단 대전병원(구 산재병원)은 산업재해를 입은 근로자들의 재활을 촉진하기 위한 의료기관이다.[30] #1 #2 #3 #4 #5 #6 #7 #8 #9 영상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