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6자회담 당사국 | ||||
북한 | 미국 | 중국 | 러시아 | 일본 | |
아시아 | |||||
대만 | 홍콩 | 마카오 | 티베트 | 위구르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시아·유럽·아프리카 | ||||
대한민국 | 영국 | 독일 | 보츠와나 | 남아프리카 공화국 | |
앙골라 |
| |
대한민국 Republic of Korea | 나미비아 Namibia |
1. 개요
한국과 나미비아의 관계에 대한 문서이다.2. 단순 비교
항목 | 대한민국 | 나미비아 |
면적 | 100,412km² | 825,615km² |
인구 | 51,183,336 (31위) | 2,645,805 (142위)[1] |
수도 | 서울 | 빈트후크 |
최대도시 | ||
언어 | 한국어 | 영어(공용어) 독일어 아프리칸스어 |
1인당 GDP | $37,670 (27위) | $5,100 (111위)[2] |
명목 GDP | $1조 947.133 (12위) | $134.9억 (146위)[3] |
IMF 분류 | 선진국 | 개발도상국 |
정치 | 대통령제 | 대통령제 |
국가원수 | 공석 [4] | 네툼보 난디-은다이트와 대통령 |
정부수반 |
3. 역사적 관계
3.1. 20세기
나미비아는 90년대 초반에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지배에서 벗어난 뒤, 한국과 수교했다. 1990년 6월 18일에 한국 정부는 빈트훅에 대사관을 설치했다.#[5] 1993년 4월 16일에는 나미비아와 경제과학기술협정을 체결했다.#3.2. 21세기
양국의 교류는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늘어나고 있다. 그리고 한국에서도 나미비아로 관광하러 오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2007년에 한전은 나미비아에서 우라늄 개발을 추진했다.# 2010년 11월 11일에 중부발전은 나미비아에서 풍력사업을 추진하는 주요 조건합의서를 체결했다.#
2016년 8월 18일에 주한 나미비아 대표부는 한국의 원양업계를 대상으로 유치행사를 진행했다.# 9월에는 나미비아에서 한국의 주도하에 첫 기능경기대회가 개최됐다.#
2016년에 한국의 헌법재판소는 김창종 재판관이 나미비아 대법원을 방문해 피터 시부테 대법원장과 헌법재판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고 밝혔다.#
2020년부터 코로나19가 전세계로 퍼지기 시작하면서 나미비아 정부는 한국인들의 입국을 막은 적이 있었다.# 나미비아에서 고립되었던 한국인 여행객들이 전세기를 타고 귀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