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8 14:33:32

한소관계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한국과 소말리아의 관계에 대한 내용은 한국-소말리아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소련 국기.svg 한소관계 관계 관련 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6자회담 당사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아시아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마카오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티베트 국기.svg
티베트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동튀르키스탄 깃발.svg
위구르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한국-인도네시아 관계|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파일:동티모르 국기.svg
동티모르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브루나이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파일:부탄 국기.svg
부탄
파일:몰디브 국기.svg
몰디브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파일:사하 공화국 국기.svg
사하 공화국
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파일:오키나와현 현기.svg
오키나와
파일:일본 원형 국기.svg
파일:쿠르드족 깃발.svg
쿠르드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시리아 국기.svg 파일:이라크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유럽
[[한국-우크라이나 관계|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파일:바티칸 국기.svg
바티칸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북마케도니아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파일:모나코 국기.svg
모나코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파일:산마리노 국기.svg
산마리노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
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리히텐슈타인
파일:안도라 국기.svg
안도라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북키프로스
아메리카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파일:온두라스 국기.svg
온두라스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코스타리카
파일:파나마 국기.svg
파나마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엘살바도르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과테말라
파일:니카라과 국기.svg
니카라과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도미니카 공화국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파일:볼리비아 국기.svg
볼리비아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라과이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
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트리니다드 토바고
파일:자메이카 국기.svg
자메이카
파일:아이티 국기.svg
아이티
파일:도미니카 연방 국기.svg
도미니카 연방
파일:수리남 국기.svg
수리남
파일:가이아나 국기.svg
가이아나
파일:세인트키츠 네비스 국기.svg
세인트키츠 네비스
파일:세인트루시아 국기.svg
세인트루시아
파일: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국기.svg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파일:벨리즈 국기.svg
벨리즈
파일:바하마 국기.svg
바하마
파일:그레나다 국기.svg
그레나다
파일:앤티가 바부다 국기.svg
앤티가 바부다
파일:바베이도스 국기.svg
바베이도스
아프리카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마다가스카르
파일:말라위 국기.svg
말라위
파일:코모로 국기.svg
코모로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파일:케냐 국기.svg
케냐
파일:르완다 국기.svg
르완다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모잠비크
파일:베냉 국기.svg
베냉
파일:감비아 국기.svg
감비아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라이베리아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
파일:가나 국기.svg
가나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공화국
파일:가봉 국기.svg
가봉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콩고 공화국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파일:보츠와나 국기.svg
보츠와나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짐바브웨
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에스와티니
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
파일:토고 국기.svg
토고
파일:잠비아 국기.svg
잠비아
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카보베르데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파일:지부티 국기.svg
지부티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기니비사우
파일:기니 국기.svg
기니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적도 기니
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
시에라리온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
상투메 프린시페
파일:남수단 국기.svg
남수단
파일:레소토 국기.svg
레소토
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
파일:차드 국기.svg
차드
파일:세이셸 국기.svg
세이셸
파일:나미비아 국기.svg
나미비아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모리셔스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
파일:니제르 국기.svg
니제르
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
에리트레아
파일:부룬디 국기.svg
부룬디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
파푸아뉴기니
파일:솔로몬 제도 국기.svg
솔로몬 제도
파일:키리바시 국기.svg
키리바시
파일:팔라우 국기.svg
팔라우
파일:마셜 제도 국기.svg
마셜 제도
파일:투발루 국기.svg
투발루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
파일:통가 국기.svg
통가
파일:바누아투 국기.svg
바누아투
파일:미크로네시아 연방 국기.svg
미크로네시아 연방
파일:나우루 국기.svg
나우루
다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한중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한미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남북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한중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한러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대만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대한민국·대만·일본
파일:ASEAN 깃발.svg
아세안
파일:아프리카 연합 기.svg
아프리카
과거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고조선 · 부여 · 고구려 · 백제 · 신라 · 가야 · 발해 · 고려 · 조선 }}}}}}}}}


파일:소련 국장.svg 소련의 대외관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몽골 인민공화국 국기.svg
몽골
러시아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한러관계 관련 문서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000><colcolor=#fff> 역사 나선정벌 · 조러관계 · 조로수호통상조약 · 거문도 점령 사건 · 제주성 위협사건 · 아관파천 · 주한러시아공사관 · 한소관계
사건사고 거문도 점령 사건 · 제주성 위협사건 · 아관파천 · 6.25 전쟁 · 대한항공 902편 격추 사건 ·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 · 러시아 한국인 간첩 혐의 체포 사건
외교 한러관계(2020년대) · 주러시아 대한민국 대사관 · 주한러시아대사관
기타 한국군 vs 러시아군 · 한중러관계 · 남북러관계 · 한러일관계 · 한국-사하 공화국 관계 · 한국-만주 관계 · 반러/대한민국 · 불곰사업 · 나로호 · 팔도 도시락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소련|
파일:소련 국기.svg
]]
대한민국
大韓民國
Republic of Korea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Союз Советских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их Республик
Union of Soviet Socialist Republics

1. 개요2. 역사
2.1. 초반2.2. 1970년대2.3. 1980년대2.4. 1990년대
3. 관련 사건4. 같이 보기

[clearfix]

1. 개요

본 문서는 대한민국소련의 관계에 대해 다루는 문서다.

대한민국냉전 시기에 소련과 적대관계였으며 양국이 외교관계를 수립한 때는 냉전이 끝나고 소련이 붕괴되기 직전인 1990년 9월 30일이었다. 따라서 냉전 시기에 양국간 실질적인 외교관계는 저조했으며 양국간 본격적인 외교관계는 사실상 한러관계부터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2. 역사

2.1. 초반

대한민국은 1948년 정부 수립 직후부터 소련과 대립했다. 일제강점기부터 서울에 있었던 소련 영사관은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에도 대한민국과 수교하지 않은 채 일정 기간 존속하다가 1949년 영사관 직원이 간첩 사건에 연루되어 추방당함에 따라 평양으로 철수했다.# 1950년 6.25 전쟁으로 인해 사실상 적대관계로 돌아섰다. 소련은 북한을 한반도 유일의 합법 정부로 여겨 남한을 국가로 승인하지 않았으며 남한이 1955년 UN에 처음 가입하려고 했을 때도 UN 안보리 상임이사국 자격으로 이를 반대했다. 당시 소련은 진영논리 때문에 반대한 면이 큰데 마찬가지로 북한의 UN 가입은 서방 측에서 반대해 왔다.[1]

2.2. 1970년대

1970년대 닉슨 행정부의 출범과 함께 소련에서는 레오니트 브레즈네프가 미국에 유화적으로 나서면서 미소관계데탕트 시기로 접어들었다. 이와 더불어 소련과 중국을 포함한 강대국 관계도 바뀌게 되면서 한소관계도 조금씩 완화되었다.

때마침 1969년 중국-소련 국경분쟁을 계기로 중소관계가 적대적으로 변하면서 소련과 중국 사이에서 줄타기를 하던 북한에 대해 동맹국으로 의구심을 가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한국도 소련을 비롯한 공산권에 대하여 보다 적극적인 자세를 보이기 시작했다. 소련도 한반도의 긴장완화를 지지하는 방향으로 바뀌면서 한국과 제한된 범위 내에서나마 관계를 개선하려는 징후를 보였다.

1971년 8월 김용식 외무장관은 국외에서 소련이 한국에 대하여 적대적인 행동을 하지 않는다면 소련과 외교관계를 수립할 용의가 있다고 밝혔고 당시 박정희도 1972년 5월 16일 비슷한 취지를 밝혔다. 한국은 무역법을 개정하여 소련을 포함한 비적성 공산국가와의 교역도 허용하였다.

1973년 6월 23일 박정희는 특별외교선언을 통하여 소련을 비롯한 공산국가에 대하여 문호를 개방할 용의가 있음을 밝히고 그들도 호혜적인 조처를 취해줄 것을 요청하였다. 한편 소련도 한국이 아시아집단안전기구[2]의 회원이 될 수 있으며 남북한의 국제회의 및 유엔 동시가입 실현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암시하기도 하였다. 1973년부터는 한국 여권을 소지한 사람들에게 소련 입국을 허용하였다.

1977년 미국에 카터 행정부가 들어서고 주한미군 철수 가능성이 굉장히 높게 점쳐지던 시기 박정희 정부는 중국, 소련과 관계를 개선하는 방향의 외교정책을 계획했었다. #

2.3. 1980년대

그러나 1980년 한국에서 소련에서 개최하였던 1980 모스크바 올림픽에 선수단을 파견하지 않기로 결정[3]하고 1983년 소련 방공군 전투기가 대한항공 소속 여객기를 격추시키는 사건이 발생하면서[4] 한소관계는 악화일로를 걷기 시작했다.[5][6]

이렇게 악화일로를 걷던 한소관계는 1985년 미하일 고르바초프 집권 이후 페레스트로이카와 함께 완화되기 시작했다. 1985년 소련 공산당 서기장직에 취임한 미하일 고르바초프는 개혁정책인 페레스트로이카글라스노스트를 추진하면서 제1세계와 우호적인 관계를 추구하기 시작했다. 이에 따른 영향으로 당시 서방진영 국가에 속했던 한국도 소련과 우호적인 관계가 조성되기 시작했다. 1985년 대한민국에서 개최된 유도[7], 양궁 세계선수권대회와 복싱 월드컵에 소련이 참여하자 대한민국 정부는 소련 비난을 중단했다. 소련도 1986년 4월에 소련 국가스포츠위원장 마라트 그라모프를 서울에서 열린 세계올림픽연합회 총회에 참석시켰으며 사할린 한인의 대한민국 귀환 문제도 검토해 보겠다고 유화적인 태도를 취했다.

사실 소련은 내부적으로 1970년대부터 중국과 줄타기 외교를 하면서 손만 벌리는 북한을 탐탁지 않게 생각하면서 한국과도 수교를 고려하기 시작했다.[8] 당시 소련 외교계에서는 외무장관 안드레이 그로미코북한과의 관계를 지지하던 상황이었는데 북한은 그로미코가 방북하자 홀대했고 결국 마지막 친북파들마저 돌아서면서[9] 소련은 한국과 수교하기 위한 물밑 협정을 시작했다.

한국에서 소련에 대한 인식이 보다 긍정적으로 변한 시기는 1988 서울 올림픽이었다. 당시 소련은 서방 국가들과 우호적인 분위기에 힘입어 올림픽에 참가하기로 결정했으며 당시 농구 준결승에 미국 말고 소련을 응원했을 정도다. 사실 엄밀히 말하면 미국에 반감을 가진 NLPDRPD 계열의 운동권에서 소련 국기를 흔들기도 한 사례가 있었다. 해외에선 '한국인들이 소련과 중국의 지원을 받은 북한에게 침공을 받긴 했지만 그 앙금을 다 해소했구나.' 라고 바라보기도 했다.

다만 올림픽 기간 중에 미국인 선수가 절도 사건으로 물의를 빚기도 하고 미국이 이에 제대로 대응하지 않은 것과 노태우 정부와 미국 부시 정부의 정경유착 및 국내에 대한 내정간섭 때문에 친미 일변도의 국민 감정이 다소 와해된 것도 있었다. 여기에 1987년 6월 항쟁의 영향으로 반공 노선이 완화되고 한중수교 등 공산권 국가들과 외교관계를 추진하던 영향으로 기존에 공산권으로 알려진 국가들에 대한 정보가 조금씩 한국에 들어오기 시작했다. 당시 한국인들이 소련을 긍정적으로 바라볼 수 있었던 이면에는 이러한 시대적 배경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한국인들의 소련 응원 자체가 체제 경쟁에서 공산주의의 패배를 알린 신호탄이 되기도 했는데 자유민주주의 국가인 한국의 국민들은 소련을 응원할 자유가 있다는 사실에 동유럽 국가 국민들이 받은 충격이 적지 않았다고 한다. 게다가 동구권에서는 한국이 아직도 전기조차 제대로 공급이 안되고 거리에 거지가 돌아다니는 빈국이라고 알고 있었지만 한국 경제는 1970년대부터 급속도로 성장하여 동구권에서 비교적 잘사는 국가였던 체코슬로바키아의 턱밑까지 성장했으며 동독과 소련보다도[10] 더 풍요로운 한국의 실상을 접하면서 소련인들은 점차 "사회주의 우방국"으로써 북한이 아닌, 남한에도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2.4. 1990년대

마침내 상술한 글라스노스트/페레스트로이카와 1990년 노태우 정부가 시행한 북방정책이 시너지를 일으켜 대한민국과 소련은 역사적인 갈등관계를 풀고 수교하게 된다.[11] 소련의 고르바초프 대통령이 제주도를 방문하여 노태우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하기도 했고 노태우 대통령 역시 소련을 방문하는 등 두 국가의 사이가 좋아지기 시작했다. 한국은 이듬해인 1991년에 숙원 중 하나였던 UN 가입을 이뤘는데 그동안 한국의 UN 가입에 반대하던 소련이 한소수교로 인해 더 이상의 반대를 할 이유가 사라졌기 때문이다. 공교롭게도 UN 가입이 이루어진 날짜는 9월 17일로 소련이 붕괴되기 약 3개월 전이었다.

노태우 대통령은 대담하게도 소련을 테이블로 이끌기 위해 주한미군 철수 카드도 고려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미하일 고르바초프와 소련 정부가 주한미군 의제를 테이블에 올리지 않아 실제로 성사되지 않았지만, 노태우는 상당히 전향적이고 대담하게 북방 외교를 준비했던 것이다.[12]

1990년에는 소련 학술지가 북한이 남한의 실체를 인정하지 않는 것에 대해 비판한 적이 있었다.#[13]

소련과 한국의 수교는 북한을 고려해 극비리에 이루어졌다, 특히 2021년에 공개된 외교문서에 따르면 한소수교가 임박하자 북한이 소련에 '한국과 수교하면 모스크바에 있는 대표단을 모두 철수시키겠다'고 압박을 가했다고 한다. 물론 북한의 '압박'은 대세를 거스르기에는 역부족이었고 한국과 소련의 수교일도 1991년 1월 1일에서 회담 당일로 앞당겨졌다.#

이렇게 한국과 소련은 1990년 9월 30일 수교했지만 약 1년 후 소련해체되면서 한소관계는 한러관계로 승계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38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38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3. 관련 사건

4. 같이 보기


[1] 상임이사국은 소련뿐만이 아니라 미국, 영국, 프랑스, 중화민국이 있었다. 북한의 UN가입은 이 4개국이 상임이사국 자격으로 반대해왔던 것. 동독, 서독도 1973년 UN 동시 가입 이전까지 비슷한 상황이었다.[2] 브레즈네프가 아시아에서 중국 견제 겸 친소 국가들을 모을 생각으로 설립을 계획하였으나 성공하지 못했다.[3] 당시에는 파견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었다. 12.12 군사반란, 5.17 내란, 5.18 민주화운동으로 국제적인 행사에 참여 하기에는 국내 사정이 극도로 나빴다. 다만 당시 국내의 정치적 사정과 무관하게 올림픽 국가대표 선발전 등이 열리는 등 올림픽 준비에 만전을 기하였고 1979년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으로 인해 미국 및 자유진영 국가들이 불참을 선언하면서 선수단을 파견하지 않기로 결정하였다.[4] 이 사건으로 인해 대한민국은 1983년 모스크바 세계유도선수권 대회를 보이콧했다. 다음 대회인 1985년 대회 개최지가 다름아닌 서울특별시였다.[5] 대한항공은 격추 사건 이전부터 소련 영공을 통과하지 못했다. 그래서 한국에서 유럽으로 비행기를 타고 갈 때 지금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크게 돌아갔고 소요시간도 훨씬 길었다.[6] 당시 대한민국에서 런던, 파리 등 서유럽으로 가는 가장 보편적인 루트는 알래스카 경유였다. 유럽을 가기 위해 동쪽으로, 그러니까 지구를 반대 방향으로 돌아간 셈이다. 예외로 스위스 취리히행 노선은 태국 방콕과 사우디아라비아 제다를 경유해서 갔다.[7] 직전 대회였던 1983년 유도 세계선수권대회는 소련에서 개최되었으나 대한민국은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에 대해 항의하며 불참했다.[8] 북한은 소련 시절 러시아에게 지원받거나 대출받은 자금을 아직도 반환하지 않고 있다. 반면 남한은 수교 후에 되려 30억 달러를 소련에 빌려주게 되었다. 이 차관에 대한 결과는 불곰사업 문서를 참조할 것.[9] 그로미코는 1957년부터 1985년까지 소련 외무장관으로 재임했고 1985년부터 1988년까지는 소련의 국가원수로 재임했던 소련 외교계의 거물이였다. 그로미코는 1968년 푸에블로호 피랍사건이 발생했을 때도 미국 외무장관이 북한 측에 압력을 넣어달라는 요청에 소련이 관여할 일이 아니라면서 북한을 배려해 주었던 인사였다. 출처 하지만 그로미코도 북한을 방문할 당시에 이런 홀대와 푸대접을 받은 이후로는 격노하며 더 이상 북한을 배려하지 않고 오히려 한국과의 관계 개선을 밀어붙이기 시작했다.[10] 이미 1986년에는 소련의 1인당 GDP를 추월했으며 1989년에는 체코슬로바키아도 추월했다.[11] 한소정상회담을 다룬 영상, 한소정상회담을 다룬 영상 2[12] 노태우가 대담하게 주한미군 철수를 고려했던 데에는 전략적인 이유도 한몫했다. 한소 수교가 한소 간 전략적 협력관계로 까지 발전된다면 북한은 북쪽으로는 소련, 남쪽으로는 남한이라는 두 적대국에게 둘러싸이게 된다.[13] 다만 이 시기의 소련 언론은 페레스트로이카의 영향으로 언론의 자유가 활성화되었기 때문에 그 전과 달리 학술계나 개인 차원에서도 당국의 공식입장과 다른 의견도 개진할 수 있었다는 점을 인지하고 보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