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29 14:20:14

주한러시아대사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주한 외교공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동아시아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대표부
종로구 세종대로 149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용산구 독서당로 95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A동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중구 명동2길 27
동남아시아
파일:동티모르 국기.svg
동티모르
마포구 마포대로 109
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
용산구 대사관로11길 30-4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용산구 독서당로 129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용산구 한남대로28길 12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종로구 종로5길 58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브루나이
종로구 자하문로 133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중구 세종대로 136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영등포구 여의대방로 380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중구 세종대로 55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용산구 대사관로 42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용산구 회나무로 80
남아시아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성북구 선잠로2길 19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용산구 장문로6길 17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중구 동호로10길 39
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용산구 독서당로 90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용산구 독서당로 101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강남구 도산대로 169
서아시아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용산구 장문로 37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중구 한강대로 416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용산구 녹사평대로26길 37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용산구 독서당로 118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중구 퇴계로 97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종로구 새문안로3길 9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용산구 한남대로40길 33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용산구 장문로 45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종로구 청계천로 11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용산구 장문로 48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용산구 장문로 34
중앙아시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종로구 돈화문로11가길 99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용산구 장문로 53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종로구 자하문로 125-12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용산구 유엔빌리지2길 37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용산구 장문로 62
유럽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연합대표부
중구 한강대로 416
서유럽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중구 정동길 21-15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중구 삼일대로 363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용산구 이태원로45길 23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종로구 종로1길 42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중구 세종대로19길 24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서대문구 서소문로 43-12
남유럽
파일:바티칸 국기.svg
교황청
종로구 자하문로26길 19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중구 청계천로 86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용산구 장문로 50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용산구 한남대로 102-8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중구 세종대로 55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용산구 한남대로36길 17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용산구 한남대로 98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중구 퇴계로 97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중구 동호로20나길 40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중구 한강대로 416
중부유럽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중구 한강대로 416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종로구 송월길 77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용산구 한남대로10길 28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용산구 이태원로55나길 11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종로구 종로 1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종로구 종로1길 50
더케이트윈타워 B동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종로구 삼청로 20-1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종로구 삼청로 20-1
북유럽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중구 정동길 21-15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중구 한강대로 416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용산구 한남대로36길 29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종로구 종로 1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중구 소월로 10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중구 한강대로 416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종로구 종로 1
동유럽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중구 서소문로 11길 43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용산구 이태원로45길 51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용산구 이태원로45길 21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용산구 이태원로27길 30
아메리카
북아메리카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종로구 세종대로 188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중구 정동길 21
파일:퀘벡 주기.svg
퀘벡파일:캐나다 원형 국기.svg대표부
종로구 종로1길 42
중앙아메리카·카리브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과테말라
중구 세종대로 55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도미니카 공화국
중구 세종대로 73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엘살바도르
중구 세종대로 55
파일:온두라스 국기.svg
온두라스
종로구 청계천로 11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코스타리카
중구 퇴계로 97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중구 세종대로4길 25
파일:파나마 국기.svg
파나마
종로구 경희궁길 49
남아메리카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종로구 세종대로 149
파일:볼리비아 국기.svg
볼리비아
중구 세종대로 55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종로구 청와대로 73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용산구 녹사평대로 206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
종로구 종로 47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
중구 퇴계로 97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중구 퇴계로 97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종로구 종로 1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라과이
중구 세종대로 55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중구 세종대로 55
아프리카
북아프리카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용산구 장문로 51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용산구 장문로 32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용산구 장문로6길 12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용산구 회나무로 81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용산구 독서당로 114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용산구 장문로6길 8
동아프리카
파일:르완다 국기.svg
르완다
용산구 회나무로41길 5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성북구 성북로 80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중구 퇴계로 97
파일:케냐 국기.svg
케냐
용산구 회나무로44길 38
서아프리카
파일:가나 국기.svg
가나
용산구 독서당로 120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용산구 장문로6길 13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
중구 퇴계로 97
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
시에라리온
용산구 장문로9가길 39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중구 세종대로 55
중앙아프리카
파일:가봉 국기.svg
가봉
용산구 이태원로 239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콩고민주공화국
용산구 회나무로 73-1
남아프리카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용산구 독서당로 104
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성북구 선잠로5길 14
파일:잠비아 국기.svg
잠비아
용산구 장문로 51
오세아니아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중구 정동길 21-15
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
파푸아뉴기니
종로구 삼봉로 81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종로구 종로 1
가나다순. 대표부는 가장 마지막에 기재.
명예 영사관은 기재하지 아니함.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00><colcolor=white> 역사적 사건 나선정벌 · 조러관계 · 조로수호통상조약 · 거문도 점령 사건 · 제주성 위협 사건 · 아관파천 · 주한러시아공사관 · 한소관계
6.25 전쟁 · 대한항공 902편 격추 사건 ·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 · 러시아 한국인 간첩 혐의 체포 사건
외교 한러관계(2020년대) · 주러시아 대한민국 대사관 · 주한러시아대사관
기타 한국군 vs 러시아군 · 한중러관계 · 남북러관계 · 한러일관계 · 한국-사하 공화국 관계 · 한국-만주 관계 · 반러/대한민국 · 불곰사업 · 나로호 · 팔도 도시락 · 한국-러시아 노선(인천-모스크바 항공노선 · 인천-블라디보스토크 항공노선 · 인천-하바롭스크 항공노선 · 부산-블라디보스토크 항공노선 · 인천-유즈노사할린스크 항공노선 · 대구-하바롭스크 항공노선) }}}}}}}}}
파일:러시아 외교부 휘장.svg
대한민국 주재 러시아연방 대사관
Посольство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в Республике Корея
파일:주한러시아대사관.jpg
위치 서울특별시 중구 서소문로 11길 43
업무 시간 월, 수, 금요일: 9:30~12:30
14:30~16:30
상급기관 러시아 외무부
공관장 게오르기 지노비예프
(Георгий Зиновьев)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2. 역사3. 대사관
3.1. 영사관3.2. 주한러시아대사관학교
4. 대사
4.1. 역대 대사
5. 직제

1. 개요

러시아 연방대한민국에 설치한 외교공관.

2. 역사

1884년 조선러시아 제국이 외교관계를 수립하면서 시작되었다. 이미 1850년대부터 함경도 지역 주민들이 연해주 인근에 넘어가 살았다. 청일전쟁 이후 청나라가 밀려나면서 조선의 정치인들은 러시아를 끌어들여 일본 제국을 견제하려고 했고 이 과정에서 아관파천 같은 일이 일어나기도 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0px-Russian_legation_to_Korea%2C_c.1900.jpg

1900년에 촬영된 러시아공사관 사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0px-Former_Russia_legation_of_Korea_02.jpg

21세기에 남은 러시아공사관의 일부. 정동공원 옆에 있다.

1905년 을사조약으로 대한제국이 외교권을 상실하면서 외교관계가 끊어졌다. 1917년 러시아 제국이 소멸하면서 소련이 나타났는데 소련은 일본과 수교하였고[1] 경성에도 소련 영사관이 있었다. 조선이 독립한 후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에도 한동안 소련 영사들이 주재하였으나 남로당 등과의 연계 의혹으로 인해 1949년에 38선 이북으로 추방되었다.[2] 한편 소련은 북한 정부 수립일인 1948년 9월 9일 이를 바로 승인, 평양에 소련대사관이 세워졌고 소련군정의 실권자였던 테렌티 시티코프 상장이 그대로 초대 대사가 되었다.

소련 영사관으로 사용하던 구 러시아공사관은 이후 방치되었다가 6.25 전쟁 때 지하실과 탑옥 부분만 남고 파괴되었다. 소련이 적성국가였기 때문에 대한민국과 소련의 수교는 요원하였고 1983년 소련 공군에 의한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이 일어났을 때 직접적인 외교루트가 없어서 미국을 통해서 항의했다.

그러던 것이 미하일 고르바초프가 등장하면서 분위기가 유화되고 노태우 정부에서 1988 서울 올림픽[3] 등을 계기로 북방정책을 추진하면서 1990년 9월 30일에 한소수교가 체결되었다. 소련대사관은 서울시 강남구[4]에 자리잡았고 소련이 붕괴하면서 소련의 해외자산을 러시아가 가져간다는 구 소련 국가들의 합의에 의해 러시아가 그대로 이어서 쓰게 되었다. 이후 현재의 위치로 이전했다. 본래는 정동공원 자리에 있던 옛 러시아 공사관 자리를 대사관 부지로 삼으려 했으나 부지의 상당수가 이미 민간에 매각된 상태여서 무산됐다. 이후 정동공원 근처에 있는 옛 배재고등학교 운동장 부지[5]를 대사관 부지로 결정해 2001년에 입주했다.

오늘날의 주한러시아대사관은 그 내외부의 심미성이 매우 뛰어나며 '정동크렘린'이라고 불릴 정도로 건축적 가치를 높이 평가받고 있으나 높은 담장과 러시아 특유의 폐쇄적인 공관 운영으로 그 가치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한국인 건축가인 김원이 설계했다.# 당시 한국인 건축가가 대사관을 설계한다는 사실을 알고 국가안전기획부[6]가 김원 건축가에게 국익 차원에서 설계도를 요청했지만, 건축가는 러시아가 알게되면 설계비도 못받는다고 거부했다.

3. 대사관

서울특별시 중구 서소문로11길 43 (정동)에 있다. 대사관 건물 안에는 대사관 내에서 근무하는 러시아 외교관 직원들의 자녀들을 위한 주한러시아대사관학교도 위치해 있다.#(러시아어)

3.1. 영사관

주 부산 러시아 영사관은 페이스북도 서울의 주한러시아대사관과 별도로 운영 중에 있다.

3.2. 주한러시아대사관학교

  • 대사관 부지 안에 있는 러시아 학교이다. 사실상 한국에 있는 러시아 외교관 자녀들을 위한 학교이다.

4. 대사

2023년 12월부터 게오르기 지노비예프 대사가 재임 중이다.

4.1. 역대 대사

역대 주한 러시아 대사(소련 시절 포함) 목록
  • 파일:소련 국기.svg 주한 소련 대사
    1. 올렉 M. 소콜로프(1990~1992)[9]
  • 파일:러시아 국기.svg 주한 러시아 대사
    1. 알렉산드르 M. 파노프(1992~1993)
    2. 게오르기 F. 쿠나제(1993~1997)
    3. 예브게니 V. 아파나시예프(1997~2000)
    4. 테이무라즈 O. 라미시빌리(2000~2005)[10]
    5. 글레브 A. 이바셴초프(2005~2009)
    6. 콘스탄틴 V. 브누코프(2009~2014)
    7. 알렉산드르 A. 티모닌(2014~2018)[11]
    8. 안드레이 B. 쿨릭(2018~2023)
    9. 게오르기 V. 지노비예프(2023~)

5. 직제

  • 대사(Ambassador Extraordinary and Plenipotentiary) 1명
  • 공사참사관(Minister-Counsellor) 겸 차석대사(Deputy Chief of Mission) 1명
  • 참사관(Counsellor) 4명
  • 1등 서기관 (First Secretaries) 3명
  • 2등 서기관 (Second Secretaries) 6명
  • 3등 서기관 (Third Secretaries) 3명
  • 주재관(Attaché) 9명
  • 영사부
    • 총영사(Head of Consular Section) 겸 1등 서기관
    • 1등 서기관 1명
    • 2등 서기관 1명
    • 영사 겸 2등 서기관 1명
    • 영사 겸 3등 서기관 1명
  • 국방무관(Military Attache)
    • 무관 (Assistant of the Military Attaché), 공군 대령 1명
    • 부무관 해병대 중령 1명
    • 보좌관 육군 소령 1명

[1] 이른바 '8월의 폭풍 작전'으로 태평양 전쟁 종결 직전인 1945년 8월 초에 일본에게 선전포고를 한 때부터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으로 일본이 국권을 회복하고 1956년 일-소 공동선언으로 양국이 외교관계 재개를 선언하기 전까지는 잠시 일본과의 외교관계가 단절되기도 했다.[2] 실제로 해방정국에 박헌영 등 좌익 인사들은 이 소련 영사관에 자주 드나들면서 소련과 연계했다.[3] 올림픽 당시에 방문한 소련 선수단과 응원단의 영사업무를 처리하기 위해 올림픽 기간 동안 광장동 워커힐 호텔에 임시 소련영사관을 운영하기도 했다.[4] 현 삼성역 근처 한석빌딩[5] 배재고등학교는 1984년에 강동구 고덕동으로 이전했다.[6]국가정보원[7] KEB하나은행 부산지점 건물,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중앙역이 인근에 위치한다. 여담으로 이 건물 1층의 하나은행에는 러시아어 창구가 따로 있고 러시아 루블 환전이 가능하다.[8] 그 외의 지역은 서울 대사관에서 관할한다.[9] 동명의 역사학자와는 다른 인물이다[10] 조지아계다.[11] 2012~2014년 주북 러시아 대사를 지낸 직후 부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