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정사(正史) 국가 공인 역사서 | 삼국사기 | 고려사 | |||
실록(實錄) 제왕의 일대기를 다룬 편년체 기록물 | †고려실록 | 조선왕조실록 | ||||
절요(節要) 방대한 정사 기록을 요약한 기록물 | 고려사절요 | 삼국사절요 | ||||
통감(通鑑) 통치에 도움이 되는 기록물 | 동국통감 | |||||
강목(綱目) 강목체를 적용한 기록물 | 동사강목 | 동국통감제강 | †본조편년강목 | |||
여사제강 | 동사회강 | 대동사강 | ||||
휘찬려사 | 국조정토록 | |||||
사략(史略) | †본조사략 | 동국사략 | ||||
일기(日記) 국가 공문서 | 승정원일기 | 일성록 | 동궁일기 | |||
각사등록 | 비변사등록 | |||||
역사시(歷史詩) | 응제시주 | 제왕운기 | ||||
기타 | 삼국유사 | †개황력 | 대사편년 | |||
대사기 | 속무정보감 | 국조통기 | ||||
발해고 | 해동고승전 | 동국병감 | ||||
단군세가 | 기자지 | 동사 | ||||
해동명장전 | †단군고기 | †신라고기 | ||||
†백제고기 | †해동고기 | †본국고기 | ||||
†삼한고기 | †고려고기 | 연려실기술 | ||||
동사보유 | 동국역대총목 | 동사세가 | ||||
해동역사 | 열조통기 | 동사찬요 | ||||
기타 실전(失傳) | <colbgcolor=#fff,#191919>고구려 | †유기 | †신집 | |||
신라 | †국사 | †제왕연대력 | †화랑세기 | |||
백제 | †백제기 | †백제신찬 | ||||
†백제본기 | †서기 | |||||
고려 | †구삼국사 | †가락국기 | †편년통록 | |||
†왕대종족기 | †성원록 | †금경록 | ||||
위서(僞書) | 환단고기 | 규원사화 | 단기고사 | |||
부도지 | 화랑세기 박창화 필사본 | 격암유록 | ||||
†: 실전(失傳)되어 현재는 존재하지 않음. | ||||||
번외: 현대 역사서 한국사 | }}}}}}}}} |
[clearfix]
1. 개요
현재는 실전된 한국 고대사를 기록한 역사서. 《삼국사기》에서 사료로 사용되었다.이재난고나 정약용의 저서에서 인용된 것을 볼때 조선 후기까진 남아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2. 인용문
2.1. 삼국사기
《해동고기(海東古記)》를 살펴보면, 혹은 시조(始祖) 동명(東明)이라 하고, 혹은 시조(始祖) 우태(優台)라고 한다.
《삼국사기》잡지 '백제 시조에 대한 해동고기 기록'
삼국사기에 남은 단편적인 기록을 보면 해동고기는 백제의 시조로 부여 동명왕 설과 부여 우태 설 두가지를 모두 제시하였다. 여기 나온 동명을 고구려의 주몽과 착각하는 경우가 있는데 고구려나 백제나 당대에는 주몽과 동명왕을 엄격히 구분해 표기했기 때문에 틀린 서술이다. 이는 백제의 온조 시조설과는 별개로 부여의 후손임을 자처하며 내세운 전승 기록이다.《삼국사기》잡지 '백제 시조에 대한 해동고기 기록'
《해동고기(海東古記)》를 살펴보면, “고구려 국조왕(國祖王) 고궁(高宮)은 후한 건무(建武) 29년 계사(53년)에 즉위하였는데, 그때 나이가 일곱 살이어서 국모(國母)가 섭정하였다. 효환제(孝桓帝) 본초(本初) 원년 병술(146년)에 이르러 왕위를 양보하여 친동생인 수성에게 물려주었다. 이때 궁의 나이가 100세이고 왕위에 있은 지 94년째였다.”라고 하였다.
《삼국사기》태조대왕본기
태조대왕의 양위에 대하여 적은 부분의 주석에 적혀있는 내용이다. 김부식은 후한서에 적힌 기록과 해동고기에 적힌 기록이 서로 상충한다며 의문을 표하는데 일단 후한서가 틀렸다고 보고 본기에서는 해동고기의 기록에 의거해서 적었다. 삼국사기가 한국측 기록을 우선했다는 것을 증명하는 사례 중 하나이다.《삼국사기》태조대왕본기
2.2. 이재난고
2.3. 여유당전서
《해동고기》에 이르기를, 오국성은 두 곳이 있다. 일설에는 강계(江界) 벌랑보(伐登堡)에 있는 강 건너편 정사각형 모양의 성이라고 하고, 일설에는 회령보(會寧甫) 을하보(乙下堡) 서쪽 ㆍ두만강(豆滿江)의 남쪽에 있다고 했는데, 고성(古城)의 윤지(輪址)가 그것이다.
《해동고기(海東古記)》에 이르기를, 영원군(寧遠郡) 검산(劍山)은 옛 환도(丸都)라고 하였다. 풍속에서도 검(劍)을 환도(丸都)라고 한다.
《여유당전서》大東水經 其一
《해동고기(海東古記)》에 이르기를, 영원군(寧遠郡) 검산(劍山)은 옛 환도(丸都)라고 하였다. 풍속에서도 검(劍)을 환도(丸都)라고 한다.
《여유당전서》大東水經 其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