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315288><tablebgcolor=#315288> | }}} |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1. 서울 흥인지문
1.#26 김제 금산사 금강계단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51 문경 내화리 삼층석탑
1.#76 춘천 근화동 당간지주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01 당진 안국사지 석탑
1.#126 경주무장사지삼층석탑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51 구례 연곡사 삼층석탑
1.#176 순천 송광사 금동요령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201 경주 남산 탑곡 마애불상군
1.#226 여주 신륵사 다층전탑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251 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
269-3. 감지은니 묘법연화경 권3 269-4. 감지은니 묘법연화경 권7(2007)}}}
1.#276 군산 발산리 오층석탑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01~3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301 해남 대흥사 북미륵암 삼층석탑
1.#326 이순신 유물 일괄 326-2. 옥로 1. 의성 빙산사지 오층석탑 1. 금동약사여래입상 1. 부여 군수리 석조여래좌상 1. 부여 군수리 금동보살입상 1.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1963) 1. 하남 하사창동 철조석가여래좌상 1. 금동보살입상(1963-2) 1. 통도사 청동 은입사 향완(1963) 1. 석조비로자나불좌상 1. 정지장군 갑옷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51~4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351 (전)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
1.#376 함양 교산리 석조여래좌상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01~4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401 금동여래입상(1964)
1.#426 예천 동본리 삼층석탑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51~5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451 안동 태사묘 삼공신 유물 일괄
1.#476
[31] 경상남도 문화유산자료 제46호로 재지정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01~5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501 장계 홍패 및 장말손 백패·홍패
523-3. 석보상절 권11}}}
1.#526 여주이씨 옥산문중 유묵 {{{-2 526-1. 여주이씨 옥산문중 유묵-해동명적 526-2. 여주이씨 옥산문중 유묵-원조오잠, 사산오대}}}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51~6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551 시용향악보
1.#576 봉업사명 청동북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601~6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601 대구 도학동 승탑 1.#626 황남대총 북분 금제 고배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651~7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651 연안 이씨 종중 문적
1.#676 영천 화남리 석조여래좌상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701~7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701 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경
1.#726 장관 개국원종공신녹권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751~8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751 감지은니 대방광불화엄경 정원본 권34
1.#776 환두대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801~8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801 공주 마곡사 대웅보전 1.#826 김제 귀신사 대적광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851~9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851 창경궁 관천대
875-1.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권7~10 1.#876 재령이씨 영해파 종가 고문서
[50] 보물 제875-1호로 지정번호변경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901~9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901 권벌 종가 고문서
1.#926 수월관음보살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951~10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951 선조국문유서
1.#976 상지은니 묘법연화경 권5~6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01~10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001 양산이씨 종가 고문서
1.#1026 청자 양각도철문 방형 향로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51~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051 분류두공분시(언해) 1051-1.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3 1. 천태사교의 1. 진언권공(언해) 1. 백자 병 1. 백자 태항아리 1. 백자 청화철화삼산뇌문 산뢰 1. 백자 청화 ‘망우대’명 초충문 접시 1. 백자 청화칠보난초문 병 1. 백자 청화초화문 필통 1. 백자 철화끈무늬 병 1. 백자 철채 뿔잔 1. 분청사기 철화당초문 장군 1. 백자 청화매월십장생문 팔각접시 1. 백자 청화운룡문 항아리 1. 백자 태항아리 및 태지석(1991) 1. 백자 청화화조문 팔각통형 병 1. 분청사기 상감연화당초문 병 1. 분청사기 상감모란당초문 유개항아리 1. 분청사기 음각수조문 편병 1. 분청사기 박지모란문 장군 1. 청자 유개항아리 1. 초조본불설우바새오계상경 1. 초조본 아비담팔건도론 권24 1. 초조본 아비달마식신족론 권13 1. 초조본 아비담비파사론 권16 1.#1076 김천리 개국원종공신녹권
1. 벽역신방 1. 신찬벽온방 1087-1. 신찬벽온방(1991-1) 1. 언해태산집요 1088-1. 언해태산집요(1991-1) 1. 동인지문오칠 권7~9 1. 권근 응제시주 1090-1. 권근 응제시주(1991) 1. 제왕운기 1091-1. 제왕운기(1991) 1. 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 1. 불과환오선사벽암록 1. 인천안목(1991) 1. 화성 봉림사 목조아미타불좌상복장전적일괄 1. 오희문 쇄미록 1. 염제신 초상 1. 감지은니 미륵삼부경 1. 감지금니 미륵하생경 1. 상지은니 불설보우경 권2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101~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101 상지은니 대반야바라밀다경 권305
1.#1126 대방광불화엄경보현행원품별행소
[60] 보물 제569-22호 및 제569-23호으로 지정변경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151~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151 청동 옻칠 발걸이
1.#1176 유수 초상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201~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201 울진 불영사 대웅보전
1.#1226 조흡 고신왕지(1995)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251~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251
1.#1276 인제 한계사지 북 삼층석탑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301~13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301 합천 해인사 홍제암 사명대사탑 및 석장비
1306-1. 묘법연화경(2001) 1. 고흥 능가사 대웅전 1. 홍진 호성공신교서 1. 영암 엄길리 암각 매향명 1. 나주 불회사 대웅전 1. 순천 선암사 대웅전 1. 강진 무위사 아미타여래삼존좌상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1.#1326 함창상원사사불회탱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351~14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351 통도사 괘불탱
1.#1376 순천 송광사 티베트문 법지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401~14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401 충주 봉황리 마애불상군
1.#1426 수월관음도(2005)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451~15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451 청자 상감운학국화문 병형 주전자
1.#1476 김시민 선무공신 교서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1~15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501 이덕성 초상 및 관련자료 일괄
1.#1526 부산 범어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2 1543-1.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권9~10 1543-2.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권5}}}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51~16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551 진천 영수사 영산회괘불탱
1.#1576 김천 직지사 대웅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601~16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601 천하여지도
1.#1626 김현성 필적
1. 숙종어필 칠언시 1. 영조어필 1631-1. 영조어필-숙빈최씨사우제문원고 1. 정조어필 1632-1. 정조어필-신제학정민시출안호남 1. 구미 대둔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 1. 문경 대승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1. 상주 남장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1. 영주 부석사 석조석가여래좌상 1. 예천 용문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1. 구미 수다사 영산회상도 1. 대구 동화사 보조국사지눌진영 1. 문경 김룡사 영산회괘불도 1. 상주 남장사 감로왕도 1. 안동 봉정사 영산회괘불도 1. 안동 봉정사 아미타설법도 1. 예천 용문사 천불도 1. 안동 광흥사 동종 1. 초조본 불설가섭부불반열반경 1. 길흉축월횡간 고려목판 1.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자적선사능운탑비 1.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발원문 1.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복장 전적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651~17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651 공주 갑사 석가여래삼세불도 및 복장유물
1.#1676 윤순 필적 고시서축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701~17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701 하동 쌍계사 동종
1.#1726 화순 쌍봉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751~18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751 서천 봉서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1.#1776 영가진각대사증도가(2012)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801~18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801 대구 보성선원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및 복장유물
1.#1826 양산 통도사 영산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851~19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851 논산 쌍계사 소조석가여래삼불좌상
1.#1876 완산부지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901~19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901 조선왕조의궤 1901-1. 조선왕조의궤(2016-1) 1. 제주향교 대성전 1. 고려 수월관음보살도 1. 김천 갈항사지 동·서 삼층석탑출토 사리장엄구 1. 서울 청진동 출토 백자항아리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1.#1926 협주명현십초시
[84] 가치상실이나 승격 등으로 인한 지정해제와는 달리 대명률은 지정 사실 자체가 취소되었다.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951~20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951 정선 필 풍악내산총람도 1.#1976 서산 명종대왕 태실 및 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01~20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2001 경주 황오동 금귀걸이
1.#2026 김천 직지사 괘불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51~2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2051 안동 체화정
1.#2076 공주 갑사 소조석가여래삼불좌상ㆍ사보살입상 및 복장유물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100~2142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2101 순천향교 대성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폐지 이후(번호없음-1)]⠀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2021년 11월 19일부로 번호 지정제 폐지 2021.11.19 - 2022.11.25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없음-2]⠀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2022.11.25 - 2023.12.26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없음-3]⠀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2023.12.26 - 2025.09.04
* 고창 문수사 대웅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없음-4]⠀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 }}}}}}}}}}}} |
1. 개요
金鈴塚 金製銙帶. 1924년 금령총에서 발굴된 삼국시대 신라의 황금 허리띠.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금령총 금제 허리띠는 '경주 금령총 출토 금제 허리띠'라는 명칭으로 2023년 12월 26일 보물로 지정됐다.
2. 내용
길이 74.1㎝.
일제강점기인 1924년에 일본인 우메하라(梅原末治) 등이 금령총을 발굴·조사하던 중 발견한 신라시대 황금 허리띠로, 금령총 금관, 도기 기마인물형 명기, 소형방제경(小形髣製鏡), 주형토기(舟形土器), 그림이 그려진 백화수피제(白樺樹皮製), 금동제신발, 은제허리띠, 띠드리개, 금동장안장틀(金銅裝鞍橋), 발걸이(鐙子), 금동장고리자루칼, 금은장소도(金銀裝小刀), 금동제합(金銅製盒), 쇠솥, 각종 그림이 그려진 칠기(漆器), 유리잔 등 약 만여점의 고신라시대 유물들과 함께 출토되었다.
제작 연대는 같이 출토된 다른 유물들과 마찬가지로 대략 6세기 초엽(서기 500년대 초)으로 추정된다.
금령총 순금 허리띠의 띠꾸미개는 모두 23매이다. 허리띠에 매달려 있는 드리개는 여러 개의 황금판을 이어서 만든 것이 7줄, 연필 모양 장식 2줄, 곡옥 4줄 등 모두 13줄이다. 다양한 형태의 드리개는 당시 왕이나 제사장이 관장했던 여러 가지 일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추정된다.
금판을 이어서 만든 드리개들은 당시 신라인들의 생활용품 및 당시 왕이나 제사장이 관장했던 여러 가지 일을 상징적으로 형상화한 것으로 보인다. 허리띠의 전체 길이는 74㎝ 정도로 다른 신라 무덤 출토품과 비교하면 작은 편인데 이는 금령총 금관과 함께 금령총의 주인이 어린 아이였음을 증명하는 것이다.
신라의 정교한 황금 세공 기술을 보여주는 유물로, 신라시대 금세공기술 및 금속공예사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여겨진다.
3. 외부 링크
- 문화재청 문화유산뉴스 : 금령총 금관(金鈴塚 金冠, 보물 제338호)과 허리띠(金製銙帶)
- 국립중앙박물관 홈페이지 : 금 허리띠
- 연합뉴스 : 국립경주박물관, 금령총 금관·금허리띠 특별 공개
4. 국가문화유산포털 소개 글
‘경주 금령총 출토 금제 허리띠’는 신라시대 고분인 금령총(金鈴塚)을 일제강점기인 1924년 조선총독부박물관이 발굴했을 때 출토된 것이다. 금령총은 무덤 내부에 직사각형의 구덩이를 파고 덧널[槨]을 설치한 신라 특유의 돌무지덧널무덤[積石木槨墳]으로 발굴 당시 금관(보물), 도기 기마인물형 명기(국보), 금령 등 당시 신라 고분문화를 보여주는 의미 있는 유물들이 대거 출토된 중요한 무덤이다.
금령총 출토 금제 허리띠는 목관 안에서 피장자가 허리에 착용한 상태로 발견되었는데 원래 가죽이나 천과 결합된 허리띠였으나 오랜 시간을 거치며 이것들은 삭아 없어지고 금제 장식만 남아 있는 상태였다. 금제 허리띠는 버클에 해당하는 띠고리[鉸具], 띠꾸미개[銙板], 띠끝꾸미개[帶端金具], 드리개[腰佩]로 구성되는데 금령총 출토 금제 허리띠의 드리개[腰佩]는 다른 신라 고분에서 출토된 금제 허리띠의 드리개[腰佩]보다 길이가 짧다. 이는 허리띠를 착장했을 때의 모습을 고려하면 착장자의 키와 관련될 수밖에 없어 고분의 피장자에 대한 단서가 된다는 점에서 중요한 자료적 가치를 지닌다.
금령총 출토 금제 허리띠에는 다른 신라 고분에서 출토된 금제 허리띠의 드리개[腰佩]에서는 보이지 않는 금실이 감긴 연필형(원뿔형) 드리개[腰佩] 2점이 있어 주목된다. 더불어 신라 고분에서 출토된 금제 허리띠 중 드리개[腰佩]에 가장 많은 4점의 곡옥이 있는데, 곡옥의 모자 부분에 난집을 두르고 유리를 채워 넣어 장식하였다. 이는 신라 고분에서 출토된 금제 허리띠의 곡옥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장식기법으로 연필형(원뿔형) 드리개[腰佩] 2점과 세부 장식이 유사한데 정교하고 세밀하게 표현되어 있어 조형적으로도 매우 우수하다.
‘경주 금령총 출토 금제 허리띠’는 출토지가 명확하며, 전형적인 신라 금제 허리띠의 모습을 갖추면서도 다른 허리띠와는 구별되는 요소들이 있어 허리띠의 기원과 구성을 고찰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학술적 가치가 충분하다.
금령총 출토 금제 허리띠는 목관 안에서 피장자가 허리에 착용한 상태로 발견되었는데 원래 가죽이나 천과 결합된 허리띠였으나 오랜 시간을 거치며 이것들은 삭아 없어지고 금제 장식만 남아 있는 상태였다. 금제 허리띠는 버클에 해당하는 띠고리[鉸具], 띠꾸미개[銙板], 띠끝꾸미개[帶端金具], 드리개[腰佩]로 구성되는데 금령총 출토 금제 허리띠의 드리개[腰佩]는 다른 신라 고분에서 출토된 금제 허리띠의 드리개[腰佩]보다 길이가 짧다. 이는 허리띠를 착장했을 때의 모습을 고려하면 착장자의 키와 관련될 수밖에 없어 고분의 피장자에 대한 단서가 된다는 점에서 중요한 자료적 가치를 지닌다.
금령총 출토 금제 허리띠에는 다른 신라 고분에서 출토된 금제 허리띠의 드리개[腰佩]에서는 보이지 않는 금실이 감긴 연필형(원뿔형) 드리개[腰佩] 2점이 있어 주목된다. 더불어 신라 고분에서 출토된 금제 허리띠 중 드리개[腰佩]에 가장 많은 4점의 곡옥이 있는데, 곡옥의 모자 부분에 난집을 두르고 유리를 채워 넣어 장식하였다. 이는 신라 고분에서 출토된 금제 허리띠의 곡옥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장식기법으로 연필형(원뿔형) 드리개[腰佩] 2점과 세부 장식이 유사한데 정교하고 세밀하게 표현되어 있어 조형적으로도 매우 우수하다.
‘경주 금령총 출토 금제 허리띠’는 출토지가 명확하며, 전형적인 신라 금제 허리띠의 모습을 갖추면서도 다른 허리띠와는 구별되는 요소들이 있어 허리띠의 기원과 구성을 고찰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학술적 가치가 충분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