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315288><tablebgcolor=#315288> | }}} |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1. 서울 흥인지문
1.#26 김제 금산사 금강계단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51 문경 내화리 삼층석탑
1.#76 춘천 근화동 당간지주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01 당진 안국사지 석탑
1.#126 경주무장사지삼층석탑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51 구례 연곡사 삼층석탑
1.#176 순천 송광사 금동요령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201 경주 남산 탑곡 마애불상군
1.#226 여주 신륵사 다층전탑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251 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
269-3. 감지은니 묘법연화경 권3 269-4. 감지은니 묘법연화경 권7(2007)}}}
1.#276 군산 발산리 오층석탑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01~3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301 해남 대흥사 북미륵암 삼층석탑
1.#326 이순신 유물 일괄 326-2. 옥로 1. 의성 빙산사지 오층석탑 1. 금동약사여래입상 1. 부여 군수리 석조여래좌상 1. 부여 군수리 금동보살입상 1.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1963) 1. 하남 하사창동 철조석가여래좌상 1. 금동보살입상(1963-2) 1. 통도사 청동 은입사 향완(1963) 1. 석조비로자나불좌상 1. 정지장군 갑옷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51~4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351 (전)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
1.#376 함양 교산리 석조여래좌상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01~4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401 금동여래입상(1964)
1.#426 예천 동본리 삼층석탑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51~5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451 안동 태사묘 삼공신 유물 일괄
1.#476
[31] 경상남도 문화유산자료 제46호로 재지정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01~5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501 장계 홍패 및 장말손 백패·홍패
523-3. 석보상절 권11}}}
1.#526 여주이씨 옥산문중 유묵 {{{-2 526-1. 여주이씨 옥산문중 유묵-해동명적 526-2. 여주이씨 옥산문중 유묵-원조오잠, 사산오대}}}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51~6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551 시용향악보
1.#576 봉업사명 청동북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601~6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601 대구 도학동 승탑 1.#626 황남대총 북분 금제 고배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651~7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651 연안 이씨 종중 문적
1.#676 영천 화남리 석조여래좌상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701~7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701 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경
1.#726 장관 개국원종공신녹권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751~8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751 감지은니 대방광불화엄경 정원본 권34
1.#776 환두대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801~8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801 공주 마곡사 대웅보전 1.#826 김제 귀신사 대적광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851~9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851 창경궁 관천대
875-1.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권7~10 1.#876 재령이씨 영해파 종가 고문서
[50] 보물 제875-1호로 지정번호변경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901~9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901 권벌 종가 고문서
1.#926 수월관음보살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951~10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951 선조국문유서
1.#976 상지은니 묘법연화경 권5~6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01~10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001 양산이씨 종가 고문서
1.#1026 청자 양각도철문 방형 향로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51~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051 분류두공분시(언해) 1051-1.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3 1. 천태사교의 1. 진언권공(언해) 1. 백자 병 1. 백자 태항아리 1. 백자 청화철화삼산뇌문 산뢰 1. 백자 청화 ‘망우대’명 초충문 접시 1. 백자 청화칠보난초문 병 1. 백자 청화초화문 필통 1. 백자 철화끈무늬 병 1. 백자 철채 뿔잔 1. 분청사기 철화당초문 장군 1. 백자 청화매월십장생문 팔각접시 1. 백자 청화운룡문 항아리 1. 백자 태항아리 및 태지석(1991) 1. 백자 청화화조문 팔각통형 병 1. 분청사기 상감연화당초문 병 1. 분청사기 상감모란당초문 유개항아리 1. 분청사기 음각수조문 편병 1. 분청사기 박지모란문 장군 1. 청자 유개항아리 1. 초조본불설우바새오계상경 1. 초조본 아비담팔건도론 권24 1. 초조본 아비달마식신족론 권13 1. 초조본 아비담비파사론 권16 1.#1076 김천리 개국원종공신녹권
1. 벽역신방 1. 신찬벽온방 1087-1. 신찬벽온방(1991-1) 1. 언해태산집요 1088-1. 언해태산집요(1991-1) 1. 동인지문오칠 권7~9 1. 권근 응제시주 1090-1. 권근 응제시주(1991) 1. 제왕운기 1091-1. 제왕운기(1991) 1. 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 1. 불과환오선사벽암록 1. 인천안목(1991) 1. 화성 봉림사 목조아미타불좌상복장전적일괄 1. 오희문 쇄미록 1. 염제신 초상 1. 감지은니 미륵삼부경 1. 감지금니 미륵하생경 1. 상지은니 불설보우경 권2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101~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101 상지은니 대반야바라밀다경 권305
1.#1126 대방광불화엄경보현행원품별행소
[60] 보물 제569-22호 및 제569-23호으로 지정변경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151~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151 청동 옻칠 발걸이
1.#1176 유수 초상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201~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201 울진 불영사 대웅보전
1.#1226 조흡 고신왕지(1995)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251~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251
1.#1276 인제 한계사지 북 삼층석탑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301~13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301 합천 해인사 홍제암 사명대사탑 및 석장비
1306-1. 묘법연화경(2001) 1. 고흥 능가사 대웅전 1. 홍진 호성공신교서 1. 영암 엄길리 암각 매향명 1. 나주 불회사 대웅전 1. 순천 선암사 대웅전 1. 강진 무위사 아미타여래삼존좌상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1.#1326 함창상원사사불회탱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351~14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351 통도사 괘불탱
1.#1376 순천 송광사 티베트문 법지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401~14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401 충주 봉황리 마애불상군
1.#1426 수월관음도(2005)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451~15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451 청자 상감운학국화문 병형 주전자
1.#1476 김시민 선무공신 교서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1~15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501 이덕성 초상 및 관련자료 일괄
1.#1526 부산 범어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2 1543-1.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권9~10 1543-2.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권5}}}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51~16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551 진천 영수사 영산회괘불탱
1.#1576 김천 직지사 대웅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601~16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601 천하여지도
1.#1626 김현성 필적
1. 숙종어필 칠언시 1. 영조어필 1631-1. 영조어필-숙빈최씨사우제문원고 1. 정조어필 1632-1. 정조어필-신제학정민시출안호남 1. 구미 대둔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 1. 문경 대승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1. 상주 남장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1. 영주 부석사 석조석가여래좌상 1. 예천 용문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1. 구미 수다사 영산회상도 1. 대구 동화사 보조국사지눌진영 1. 문경 김룡사 영산회괘불도 1. 상주 남장사 감로왕도 1. 안동 봉정사 영산회괘불도 1. 안동 봉정사 아미타설법도 1. 예천 용문사 천불도 1. 안동 광흥사 동종 1. 초조본 불설가섭부불반열반경 1. 길흉축월횡간 고려목판 1.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자적선사능운탑비 1.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발원문 1.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복장 전적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651~17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651 공주 갑사 석가여래삼세불도 및 복장유물
1.#1676 윤순 필적 고시서축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701~17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701 하동 쌍계사 동종
1.#1726 화순 쌍봉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751~18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751 서천 봉서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1.#1776 영가진각대사증도가(2012)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801~18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801 대구 보성선원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및 복장유물
1.#1826 양산 통도사 영산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851~19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851 논산 쌍계사 소조석가여래삼불좌상
1.#1876 완산부지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901~19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901 조선왕조의궤 1901-1. 조선왕조의궤(2016-1) 1. 제주향교 대성전 1. 고려 수월관음보살도 1. 김천 갈항사지 동·서 삼층석탑출토 사리장엄구 1. 서울 청진동 출토 백자항아리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1.#1926 협주명현십초시
[84] 가치상실이나 승격 등으로 인한 지정해제와는 달리 대명률은 지정 사실 자체가 취소되었다.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951~20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951 정선 필 풍악내산총람도 1.#1976 서산 명종대왕 태실 및 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01~20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2001 경주 황오동 금귀걸이
1.#2026 김천 직지사 괘불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51~2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2051 안동 체화정
1.#2076 공주 갑사 소조석가여래삼불좌상ㆍ사보살입상 및 복장유물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100~2142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2101 순천향교 대성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폐지 이후(번호없음-1)]⠀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2021년 11월 19일부로 번호 지정제 폐지 2021.11.19 - 2022.11.25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없음-2]⠀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2022.11.25 - 2023.12.26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없음-3]⠀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2023.12.26 - 2025.09.04
* 고창 문수사 대웅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없음-4]⠀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 }}}}}}}}}}}} |
1. 개요
金剛經三家解. 대승 불교의 대표적 불교 경전인 금강경에 대한 삼가(三家)의 해석을 합편하여 문종, 세조, 학조 3인이 한글로 국역한 조선 전기의 불경 언해서. 총 5권 5책. 현재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서울대학교 규장각, 보림사,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보물 제772호로 지정되어 있다.2. 내용
금강경삼가해는 조선 전기에 금강경에 대한 야부(冶父)의 송(頌), 종경(宗鏡)의 제강(提綱), 기화(己和)의 설의(說誼)를 합편한 후 한글로 국역한 불경 번역서이다.책의 권두에 수록되어 있는 한계희의 발문에 따르면 이 책은 조선의 제4대 왕이었던 세종이 문종과 세조에게 명을 내려 이 불경을 번역하게 하였으며, 이에 따라 두 사람이 번역은 완수하였으나 미처 교정 작업을 끝마치지 못한 것을 훗날 세조의 정실이던 정희왕후가 학조에게 명하여 1482년에 교정을 끝마친 후 300부를 간행하여 전국에 배포하였음을 알 수 있다.
세종조와 세조조에 있었던 불경 국역 사업을 모두 세조가 전담하고 있었다는 점, 그리고 이 책과 똑같이 한계희의 발문이 수록되어 있는 진법서에도 해당 발문에만 문종과 세조의 공동 저작물로 나오는 점 등을 미루어보아 이 책 또한 원래는 세조가 홀로 언해하였으나 훗날 즉위한 형 문종을 존중하기 위하여 문종도 같이 불경 국역 사업에 참여한 것처럼 끼워넣었다는 해석이 있다. 당시 왕실에선 다음 왕으로 즉위할 문종의 원활한 대권을 위해 여러 업적을 문종에게로 몰아주는 분위기가 있었기 때문이다.
세조 재위 당시 세조의 명으로 만들어진 을해자와 정축자를 이용하여 간행된 금속 활자본 불경으로, 특히 금강경삼가해의 한글은 세조 8년인 1462년에 세조가 직접 제작한 능엄경언해와 같은 서체이다. 현재 규장각 등에 소장되어 있다.
1400년대 당시 창제 초창기의 한글을 연구하는데 도움이 되는 자료이며, 그 외 조선 전기 인쇄술 및 금속활자를 연구하는 데에도 중요한 자료 중 하나로 여겨진다.
3. 보물 제772-1호
금강경삼가해 권5(金剛經三家解 卷五)는 후진(後秦)의 구마라습(鳩摩羅什)이 번역하고 당나라의 종밀·종경·기화가 풀이한 『금강경삼가해』를 세종의 명으로 한글 번역을 시작하여 성종 13년(1482년)에 완성하여 간행한 것이다. 글자를 하나하나 파고 고정된 틀에 끼워 찍어낸 활자본으로 권1과 권5가 각각 1책로 되어 있는데 크기는 세로 38.7㎝, 가로 25.3㎝이다.
본문의 큰 글씨는 정축자(丁丑字)로 쓰고, 풀이한 글은 중간자와 작은자로 을해자(乙亥字)를 사용하였다. 정축자는 세조 3년(1457년)에 만들었는데 그 해의 간지를 따서 정축자라고 부르며, 을해자는 세조 1년(1445년)에 강희안의 글씨를 바탕으로 만들었고 역시 그 해의 간지를 따서 을해자라 한다.
이 책은 불경의 간행을 세종에서 성종에 이르기까지 왕실의 계승 사업으로 추진하였다는 점과 함께 한글의 표기 형식이 혼용되어 있어 초기 훈민정음 연구에도 귀중한 자료가 된다.
본문의 큰 글씨는 정축자(丁丑字)로 쓰고, 풀이한 글은 중간자와 작은자로 을해자(乙亥字)를 사용하였다. 정축자는 세조 3년(1457년)에 만들었는데 그 해의 간지를 따서 정축자라고 부르며, 을해자는 세조 1년(1445년)에 강희안의 글씨를 바탕으로 만들었고 역시 그 해의 간지를 따서 을해자라 한다.
이 책은 불경의 간행을 세종에서 성종에 이르기까지 왕실의 계승 사업으로 추진하였다는 점과 함께 한글의 표기 형식이 혼용되어 있어 초기 훈민정음 연구에도 귀중한 자료가 된다.
4. 보물 제772-2호
『금강경』에 대한 주석서인 『금강경오가해(金剛經五家解)』중에서 당나라 종밀(宗密)과 종경(宗鏡), 조선초기 승려 기화(己和) 등 3인의 주석을 선별하여 한글로 구결을 붙이고 언해(諺解)한 책이다.
세종대부터 왕명으로 언해가 처음 시작되어 성종대에 이르러 완성된 이 책은 1482년(성종 12년)에 금속활자(정축자와 을해자)로 300부가 간행되었다. 책의 크기는 세로 36.7㎝, 가로 24.3㎝이며, 규장각에는 권2부터 권5까지의 4권 4책이 소장되어 있다. 최근에 세종 대왕 기념 사업회에서 권1을 발견했는데, 이것을 합하면 5권 5책의 완질본이 된다.
이 책은 조선 초기 불경 간행이 세종 대부터 성종 대에 이르기까지 왕실의 계승 사업으로 연속되고 있었음을 확인시켜 주며, 또 한글 표기 형식이 혼용되어 있어서 한글 연구에도 귀중한 자료가 된다.
세종대부터 왕명으로 언해가 처음 시작되어 성종대에 이르러 완성된 이 책은 1482년(성종 12년)에 금속활자(정축자와 을해자)로 300부가 간행되었다. 책의 크기는 세로 36.7㎝, 가로 24.3㎝이며, 규장각에는 권2부터 권5까지의 4권 4책이 소장되어 있다. 최근에 세종 대왕 기념 사업회에서 권1을 발견했는데, 이것을 합하면 5권 5책의 완질본이 된다.
이 책은 조선 초기 불경 간행이 세종 대부터 성종 대에 이르기까지 왕실의 계승 사업으로 연속되고 있었음을 확인시켜 주며, 또 한글 표기 형식이 혼용되어 있어서 한글 연구에도 귀중한 자료가 된다.
5. 보물 제772-3호
금강경삼가해 권1(金剛經三家解 卷一)은 『금강경』에 대한 주석서 『금강경오가해』 중 송나라 야보(冶父)와 종경(宗鏡), 그리고 조선 전기의 고승인 기화(己和) 3인의 주석을 뽑아 한글로 번역한 것이다.
성종 13년(1482년)에 세조의 비인 자성대왕대비의 명에 의하여 본문의 큰 글씨는 정축자(丁丑字)로, 풀이 부분의 중간 글씨와 작은 글씨는 을해자(乙亥字)로 찍어낸 활자본이다. 활자본은 글자를 하나하나 파서 고정된 틀에 끼워 찍어낸 것을 말하며, 정축년에 찍어낸 것을 정축자본, 을해년에 찍어낸 것을 을해자본이라고 한다.
책 끝부분에 있는 한계희와 강희맹의 글에 의하면, 세종의 명을 받아 문종과 세조가 번역을 하였으나 교정을 마치지 못했던 것을 자성대비가 고승 학조(學祖)에게 다시 교정하게 하여 300부를 찍어낸 것임을 알 수 있다.
불경의 간행이 세종 때부터 성종 때까지 왕실 사업으로 계승되었다는 점과 함께 한글의 표기 형식이 혼용되어 있어 한글 연구에도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성종 13년(1482년)에 세조의 비인 자성대왕대비의 명에 의하여 본문의 큰 글씨는 정축자(丁丑字)로, 풀이 부분의 중간 글씨와 작은 글씨는 을해자(乙亥字)로 찍어낸 활자본이다. 활자본은 글자를 하나하나 파서 고정된 틀에 끼워 찍어낸 것을 말하며, 정축년에 찍어낸 것을 정축자본, 을해년에 찍어낸 것을 을해자본이라고 한다.
책 끝부분에 있는 한계희와 강희맹의 글에 의하면, 세종의 명을 받아 문종과 세조가 번역을 하였으나 교정을 마치지 못했던 것을 자성대비가 고승 학조(學祖)에게 다시 교정하게 하여 300부를 찍어낸 것임을 알 수 있다.
불경의 간행이 세종 때부터 성종 때까지 왕실 사업으로 계승되었다는 점과 함께 한글의 표기 형식이 혼용되어 있어 한글 연구에도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6. 보물 제772-4호
불교의 주요 경전의 하나인 『금강경』에 대한 야부(冶父), 종경(宗鏡), 기화(己和) 등 3인의 해설을 번역한 것으로 제2권의 1책이다.
『금강경』은 『금강반야바라밀경』이라고도 하는데, 조계종의 근본경전으로 금강석과 같이 견실한 지혜로 깨달음의 세계에 도달할 것을 주요 사상으로 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반야심경』 다음으로 많이 읽히는 경전이다. 이 『금강경』에 대한 3인의 해설을 붙인 것으로 야부의 송(頌), 종경의 제강(提綱), 기화의 설의(說誼)로 구성되어 있다.
금강경삼가해 권2(金剛經三家解 卷二)은 세조의 명(命)으로 편찬하기 시작하였으나 완성하지 못하다가 성종 13년(1482년)에 세조비 정희왕후의 명으로 승려 학조(學祖)가 교정·간행하였다. 본문은 금속활자인 정축자로 찍고, 주해문(註解文)은 을해자로 찍었다.
『금강경』은 『금강반야바라밀경』이라고도 하는데, 조계종의 근본경전으로 금강석과 같이 견실한 지혜로 깨달음의 세계에 도달할 것을 주요 사상으로 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반야심경』 다음으로 많이 읽히는 경전이다. 이 『금강경』에 대한 3인의 해설을 붙인 것으로 야부의 송(頌), 종경의 제강(提綱), 기화의 설의(說誼)로 구성되어 있다.
금강경삼가해 권2(金剛經三家解 卷二)은 세조의 명(命)으로 편찬하기 시작하였으나 완성하지 못하다가 성종 13년(1482년)에 세조비 정희왕후의 명으로 승려 학조(學祖)가 교정·간행하였다. 본문은 금속활자인 정축자로 찍고, 주해문(註解文)은 을해자로 찍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