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5 10:35:58

이완(1579)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90deg, #330d0d 0%, #a52a2a 10%, #a52a2a 90%, #330d0d)"
{{{#!wiki style="margin: -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a52a2a><tablebgcolor=#a52a2a> 파일:이순신 수결 흰색.svg이순신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a52a2a><colcolor=#fff> 소속 <colbgcolor=#fff,#1c1d1f>삼도수군통제사 · 선무공신
가족 아내 방수진
장남 이회, 차남 이예, 삼남 이면
맏형 이희신의 아들 이완 · 딸의 시아버지 홍가신
먼 친척 형 이광 · 19촌 이이
후손 (이봉상 · 그 외 후손)
관련 인물 친구 류성룡 · 류성룡의 제자 허균
육군 동료 (이일 · 신립 · 권율 · 이경록)
수군 동료, 부하 (이억기 · 권준 · 김돌손 · 김완 · 김억추 · 나대용 · 무의공 이순신 · 배흥립 · 안위 · 오계적 · 이영남 · 이운룡 · 정운 · 준사 · 최호 · 송희립 · 우치적 · 어영담 · 황세득 · 송여종 · 김인영 · 신호 · 원균 · 배설 · 이언량 · 류형 · 진무성)
주군 (선조 · 선조비 의인왕후 · 분조 광해군)
생애 생애 · 전투 관련 · 여담
관련 장소 이순신이 태어난 곳 한양 건천동 · 이순신 일가의 생가 아산
이순신의 묘소 장군묘 · 이순신의 사당 현충사
명량해전이 벌어진 곳 명량수도 · 노량해전이 벌어진 곳 남해 관음포
관련 사건 탄신일 · 니탕개의 난 · 녹둔도 전투 시전부락 전투 · 이몽학의 난 · 백의종군
임진왜란, 정유재란 해전 (옥포 해전 · 합포 해전/적진포 해전 · 사천 해전 · 당포 해전 · 당항포 해전 · 율포 해전 · 한산도 대첩 · 안골포 해전 · 장림포 해전 · 절영도 해전 · 초량목 해전 · 부산포 해전 · 웅포 해전 · 장문포 해전 · 명량 해전 · 절이도 해전 · 왜교성 전투 · 노량 해전)
관련 물건 쌍룡검 · 백원 주화 ·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
작품 장계별책 · 난중일기 · 이충무공전서
기록에서의
모습 및 행적
용모 · 창작물
평가 관련 기록 · 평가 · 의문점
창작물 성웅 이순신(1962) · 성웅 이순신(1971) · 난중일기(영화) · 칼의 노래 · 천군(영화) · 명량 · 한산: 용의 출현 · 노량: 죽음의 바다 · 칼의 노래(뮤지컬)
파일:이순신 서명.svg파일:이순신 수결 흰색.svg }}}}}}}}}

李莞
1579년(선조 12년) ~ 1627년(인조 5년)

1. 개요2. 생애
2.1. 출생2.2. 임진왜란 이후2.3. 정묘호란과 죽음
3. 대중매체

[clearfix]

1. 개요

조선 중기의 무신. 본관은 덕수(德水), 는 열보(悅甫), 완이(莞爾).

2. 생애

2.1. 출생

충청도 아산현(현 충청남도 아산시) 출신. 이순신 장군의 맏인 이희신(李羲臣)과 진주 강씨의 아들로 이순신의 조카다. 이순신의 형인 이희신과 이요신(李堯臣)은 모두 일찍 별세했는데 그래서 형들의 가족도 모두 이순신이 부양했다고 한다.

임진왜란 당시 숙부 이순신을 따라 해전에 참전했고 특히 노량 해전에서 이순신의 임종을 지키고 이후 싸움에서 독전한 인물로 유명하다. 아마 충무공 일가 중 제일 유명한 인물일듯 하다.[1]

2.2. 임진왜란 이후

전란이 끝난 후 21세 되던 1599년(선조 32) 별시 무과에 을과 14위로 급제해서 무관으로서 여러 관직을 지냈는데 오위도총부 도사(都事)를 시작으로 선조 37년(1604) 남포현감, 광해군 10년(1618) 평양중군과 백령도 첨사를 지냈고 인조 때 충청도 병마절도사로 제수되어 이괄의 난에서도 잔당들 토벌에 공을 세웠다.

2.3. 정묘호란과 죽음

하지만 이괄의 난 진압 이후 꽤 좋지 않은 모습으로 실록에 등장하기 시작한다. 1624년 그는 이전 부윤인 김준(金浚)에 이어 의주 부윤으로 임명되었는데

당시는 명나라 총병 모문룡가도에 동강진이라는 진을 만들어 조선에 여러 민폐를 끼치는 타이밍이었는데 처음에는 그 역시도 모문룡과 잘 지내려 노력을 한 듯 하나 정작 부윤으로서 민생을 돌보지 않아서 백성들과도 가도의 명군과도 사이가 나쁘게 나온다.
“의주 부윤 이완(李莞)이 창고의 곡식 수백 석을 흩어 크게 장사(將士)들을 호궤하였다. 이때 의주 지역이 온통 변이 일어날까 하여 비상대기한 지 8년이나 지나는 동안 온 마을이 쓸쓸해지고 군민(軍民)들이 비탄에 잠겼다. 이에 이르러 이완이 크게 호궤하며 조정의 덕의(德意)를 보이니, 뭇 사람들이 마음 속으로 모두 용동(聳動)되었다. 다만 이완은 천성이 각박하여 함부로 형장(刑杖)을 사용했기 때문에 인화를 얻지 못했고 도독에게도 환심을 얻지 못했다.”
또한 이후에 가도의 명군이 소란을 부리다가 잡히자 곤장을 쳐서 사망한 일이 있었고 이에 따라 한 자급이 깎이는 일도 있었다. 그러자 이후에는 그도 명군에게 어쩔 수 없이 군량을 내어주는 일이 많아지게 된다.

그러다 1627년(인조 5년) 정묘호란이 일어나고 후금군에 맞서 의주를 방어하다가 결국 전사했다. 근데 이 과정에서 기록에
“갑자기 의주(義州)를 습격하여 수구문(水口門)으로 들어와 수문장을 죽이고 몰래 성 안으로 들어왔으므로 군문(軍門)에서는 적군이 온 줄을 깨닫지 못했다. 본진(本鎭)의 절제사(節制使) 이완(李莞)이 급히 나아가 방어하면서 통판(通判) 최몽량(崔夢亮) 및 수하 장관들과 함께 아침까지 전투하여 적병을 많이 죽였으나 중과 부적으로 버틸 수 없었다. 이완·최몽량 등은 적에게 굴복하지 않고 끝까지 항전하다가 함께 죽었고 대소 장관과 수만의 민병(民兵)들도 남김없이 도륙당하였다.”
라는 기록을 통해 의주 부윤으로서 방비를 제대로 하지 않아 성이 함락 당하여 싸우다가 중과부적으로 죽는 모습을 보여주었고 이는 평가가 크게 깎이게 되어 정묘호란 초기 조선군이 크게 밀리는 원인을 제공하게 된다.[2][3]

사후 공을 인정받아 가족이 상을 받은 기록이 있고 숙종 18년(1692)에 숙종은 강민공이란 시호와 함께 정려문을 내렸고, 숙종 30년(1704)에 충신 명령이 내려져 병조판서에 추증되었으며, 그의 묘에 정문(旌門)을 내렸다. 그후 영조 2년(1726) 아산 현충사에 추가 배향되어 강민(剛愍)이라는 시호가 내려진다.

그의 묘와 정려각은 용인시 수지구에 정부인 파평윤씨와 합장되어 있다.

3. 대중매체


[1] 다만 해당 기록은 선조수정실록에 처음 등장했던 터라, 서인 측에서 일부러 기존에 기록된 인물인 손문욱을 지운 게 아니냐는 의혹이 짙다.[2] https://sillok.history.go.kr/id/kpa_10504001_006[3] 처음 기록에는 "종제 이신(李藎)과 함께 향년 49세에 분사(焚死)하였다."라는 기록이 덕수 이씨 대종회의 덕수 이씨세보에 나온 기록을 토대로 작성되었으나 실록과 승정원일기에 이완 기록에서 분사(焚死) 기록이 없는 점으로 미루어 안주에서 분사(焚死)한 남이흥과 헷갈린 게 아닌가 추정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2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2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