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color=#f0ad73>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60420, #b82642 20%, #b82642 80%, #960420); min-height: calc(1.5em + 9.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제48대 류순 | 제49대 박원종 | 제50대 김수동 | 제51대 류순정 | |
제52대 성희안 | 제53대 송질 | 제54대 류순 | 제55대 정광필 | |
제56대 김전 | 제57대 남곤 | 제58대 정광필 | 제59대 장순손 | |
제60대 한효원 | 제61대 김근사 | 제62대 윤은보 | ||
제63대 홍언필 | 제64대 윤인경 | |||
제64대 윤인경 | 제65대 홍언필 | 제66대 이기 | 제67대 심연원 | |
제68대 상진 | 제69대 윤원형 | 제70대 이준경 | ||
제70대 이준경 | 제71대 권철 | 제72대 이탁 | 제73대 홍섬 | |
제74대 권철 | 제75대 홍섬 | 제76대 권철 | 제77대 홍섬 | |
제78대 박순 | 제79대 노수신 | 제80대 류전 | 제81대 이산해 | |
제82대 류성룡 | 제83대 최흥원 | 제84대 류성룡 | 제85대 이원익 | |
제86대 윤두수 | 제87대 이원익 | 제88대 이산해 | 제89대 이항복 | |
제90대 이덕형 | 제91대 이항복 | 제92대 윤승훈 | 제93대 유영경 | |
제94대 이원익 | 제95대 이덕형 | 제96대 이원익 | 제97대 이덕형 | |
제98대 기자헌 | 제99대 정인홍 | 제100대 박승종 | ||
}}}}}}}}} |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0ad73> 조선 정승 중종 ~ 광해군 | |||||||||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calc(1.5em + 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좌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제65대 김수동 | 제66대 박원종 | 제67대 류순정 | 제68대 성희안 | ||||||
제69대 송질 | 제70대 정광필 | 제71대 김응기 | 제72대 신용개 | ||||||
제73대 안당 | 제74대 남곤 | 제75대 이유청 | 제76대 정광필 | ||||||
제77대 심정 | 제78대 이행 | 제79대 장순손 | 제80대 한효원 | ||||||
제81대 김근사 | 제82대 김안로 | 제83대 윤은보 | 제84대 류부 | ||||||
제85대 홍언필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제85대 홍언필 | 제86대 윤인경 | 제87대 류관 | }}} | |||||
제88대 성세창 | 제89대 이기 | 제90대 홍언필 | 제91대 윤인경 | ||||||
제92대 황헌 | 제93대 심연원 | 제94대 상진 | 제95대 윤개 | ||||||
제96대 안현 | 제97대 이준경 | 제98대 심통원 | 제99대 이명 | ||||||
제100대 권철 | 제101대 홍섬 | 제102대 박순 | 제103대 이탁 | ||||||
제104대 박순 | 제105대 홍섬 | 제106대 노수신 | 제107대 김귀영 | ||||||
제108대 정유길 | 제109대 노수신 | 제110대 정유길 | 제111대 류전 | ||||||
제112대 이산해 | 제113대 정철 | 제114대 류성룡 | 제115대 최흥원 | ||||||
제116대 윤두수 | 제117대 유홍 | 제118대 김응남 | 제119대 윤두수 | ||||||
제120대 이원익 | 제121대 이덕형 | 제122대 이항복 | 제123대 정탁 | ||||||
제124대 이원익 | 제125대 이항복 | 제126대 이헌국 | 제127대 김명원 | ||||||
제128대 윤승훈 | 제129대 류영경 | 제130대 기자헌 | 제131대 심희수 | ||||||
제132대 허욱 | |||||||||
제133대 기자헌 | 제134대 이항복 | 제135대 이덕형 | 제136대 이항복 | ||||||
제137대 정인홍 | 제138대 한효순 | 제139대 박승종 | 제140대 박홍구 | ||||||
<colbgcolor=#c00d45,#94153e> 역대 정승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
역대 영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우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제78대 박원종 | 제79대 류순정 | 제80대 성희안 | 제81대 송질 | ||||||
제82대 정광필 | 제83대 김응기 | 제84대 신용개 | 제85대 안당 | ||||||
제86대 김전 | 제87대 이유청 | 제88대 권균 | 제89대 심정 | ||||||
제90대 이행 | 제91대 장순손 | 제92대 한효원 | 제93대 김근사 | ||||||
제94대 김안로 | 제95대 윤은보 | 제96대 류부 | 제97대 홍언필 | ||||||
제98대 김극성 | 제99대 윤인경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제99대 윤인경 | 제100대 류관 | 제101대 성세창 | }}} | |||||
제102대 이기 | 제103대 정순붕 | 제104대 황헌 | 제105대 심연원 | ||||||
제106대 상진 | 제107대 윤개 | 제108대 윤원형 | 제109대 안현 | ||||||
제110대 이준경 | 제111대 심통원 | 제112대 이명 | 제113대 권철 | ||||||
제114대 민기 | 제115대 홍섬 | 제116대 이탁 | 제117대 박순 | ||||||
제118대 노수신 | 제119대 강사상 | 제120대 정유길 | 제121대 김귀영 | ||||||
제122대 정지연 | 제123대 정유길 | 제124대 노수신 | 제125대 정유길 | ||||||
제126대 류전 | 제127대 이산해 | 제128대 정언신 | 제129대 정철 | ||||||
제130대 심수경 | 제131대 류성룡 | 제132대 이양원 | 제133대 윤두수 | ||||||
제134대 유홍 | 제135대 김응남 | 제136대 정탁 | 제137대 이원익 | ||||||
제138대 이덕형 | 제139대 이항복 | 제140대 이헌국 | 제141대 이항복 | ||||||
제142대 이헌국 | 제143대 김명원 | 제144대 윤승훈 | 제145대 류영경 | ||||||
제146대 기자헌 | 제147대 심희수 | 제148대 허욱 | 제149대 한응인 | ||||||
제150대 심희수 | 제151대 이항복 | 제152·153대 정인홍 | 제154대 정창연 | ||||||
제155대 정인홍 | 제156대 한효순 | 제157대 민몽룡 | 제158대 박승종 | ||||||
제159대 박홍구 | 제160대 조정 | ||||||||
<colbgcolor=#c00d45,#94153e> 역대 정승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
역대 영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 |
<colbgcolor=#b82642><colcolor=#f0ad73> | |
출생 | 1466년(세조 12)[음력] |
사망 | 1539년 6월 25일(중종32), (향년 74세)[음력][3] |
경상도 하동현[4] 현 경상남도 하동군 | |
본관 | 연안(延安)[5] |
자 | 명통(明通) |
조상 | 조부 김원신(金元臣) 증조부 김수(金脩) 고조부 김자지(金自知) |
외조부 이해(李垓)[6] | |
부모 | 부친 김면(金勉) 모친 한산 이씨[7] |
형제 | 3남 1녀 중 장남 |
자녀 |
1. 개요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명통(明通).2. 생애
1486년(성종 17)에 생원시에 합격하였고[8], 1494년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9]1531년(중종 26) 5월 병조판서, 동년 7월 이조판서를 거쳐, 1532년(중종 27) 판의금부사로 승진하였고, 동년 12월 좌찬성이 되었다. 1533년(중종 28) 우의정, 1534년(중종 29) 좌의정, 1535년(중종 30) 영의정을 지냈다. 김안로(金安老)[10]와 가까웠기에 영의정이 되었고, 매사에 김안로에게 호응하여 사류(士類)를 물리치는 데 모든 간계를 다하였다. 김안로가 패하자 경상도 하동으로 쫓겨났다가 1539년(중종 34) 6월에 병사하였다.3. 기타
실록에서는, "외모는 순박하고 충실한 듯하나 마음은 음흉하였다."라고 평가하였다.[음력] [음력] [3] 중종실록91권, 중종 34년 7월 10일 을해 2번째기사 1539년 김근사의 졸기[4] 배소(配所, 유배된 곳)에서 사망했다.[5] 도관찰사공파-태인종중 11세 (延安金氏大同譜 四卷(연안김씨대동보 사권 4/4) 3357쪽, 전자책 57쪽[6] 한산 이씨(韓山 李氏)[7] 한산 이씨(韓山 李氏) 이해(李垓)의 딸[8] 감시생원진사방【성종대왕17년병오】[9] 국조문과방목[10] 김근사와 김안로 두 사람은 같은 집안(연안 김씨) 사람으로, 팔촌 형제 사이다. 두 사람의 고조부가 여말선초의 문신 김자지이며 김자지와 김근사는 자지(自知, 연안김씨 7세)-수(脩, 도관찰사공파 파조, 8세)-원신(友臣, 9세)-면(勉, 10세)-근사(謹思, 11세)로, 김자지와 김안로는 자지(自知, 연안김씨 7세)-해(侅, 내자시윤공파 파조, 8세)-우신(元臣, 9세)-흔(訢, 10세)-안로(安老, 11세)로 이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