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1 16:31:37

유영경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의 정치인에 대한 내용은 유영경(정치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colcolor=#f0ad73>
조선 영의정
중종 ~ 광해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60420, #b82642 20%, #b82642 80%, #960420); min-height: calc(1.5em + 9.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48대

류순
제49대

박원종
제50대

김수동
제51대

류순정
제52대

성희안
제53대

송질
제54대

류순
제55대

정광필
제56대

김전
제57대

남곤
제58대

정광필
제59대

장순손
제60대

한효원
제61대

김근사
제62대

윤은보
제63대

홍언필
제64대

윤인경
제64대

윤인경
제65대

홍언필
제66대

이기
제67대

심연원
제68대

상진
제69대

윤원형
제70대

이준경
제70대

이준경
제71대

권철
제72대

이탁
제73대

홍섬
제74대

권철
제75대

홍섬
제76대

권철
제77대

홍섬
제78대

박순
제79대

노수신
제80대

류전
제81대

이산해
제82대

류성룡
제83대

최흥원
제84대

류성룡
제85대

이원익
제86대

윤두수
제87대

이원익
제88대

이산해
제89대

이항복
제90대

이덕형
제91대

이항복
제92대

윤승훈
제93대

유영경
제94대

이원익
제95대

이덕형
제96대

이원익
제97대

이덕형
제98대

기자헌
제99대

정인홍
제100대

박승종
}}}}}}}}}
유영경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0ad73> 조선 정승
중종 ~ 광해군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calc(1.5em + 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좌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65대

김수동
제66대

박원종
제67대

류순정
제68대

성희안
제69대

송질
제70대

정광필
제71대

김응기
제72대

신용개
제73대

안당
제74대

남곤
제75대

이유청
제76대

정광필
제77대

심정
제78대

이행
제79대

장순손
제80대

한효원
제81대

김근사
제82대

김안로
제83대

윤은보
제84대

류부
제85대

홍언필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85대

홍언필
제86대

윤인경
제87대

류관
}}}
제88대

성세창
제89대

이기
제90대

홍언필
제91대

윤인경
제92대

황헌
제93대

심연원
제94대

상진
제95대

윤개
제96대

안현
제97대

이준경
제98대

심통원
제99대

이명
제100대

권철
제101대

홍섬
제102대

박순
제103대

이탁
제104대

박순
제105대

홍섬
제106대

노수신
제107대

김귀영
제108대

정유길
제109대

노수신
제110대

정유길
제111대

류전
제112대

이산해
제113대

정철
제114대

류성룡
제115대

최흥원
제116대

윤두수
제117대

유홍
제118대

김응남
제119대

윤두수
제120대

이원익
제121대

이덕형
제122대

이항복
제123대

정탁
제124대

이원익
제125대

이항복
제126대

이헌국
제127대

김명원
제128대

윤승훈
제129대

류영경
제130대

기자헌
제131대

심희수
제132대

허욱
제133대

기자헌
제134대

이항복
제135대

이덕형
제136대

이항복
제137대

정인홍
제138대

한효순
제139대

박승종
제140대

박홍구
<colbgcolor=#c00d45,#94153e> 역대 정승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역대 영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우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78대

박원종
제79대

류순정
제80대

성희안
제81대

송질
제82대

정광필
제83대

김응기
제84대

신용개
제85대

안당
제86대

김전
제87대

이유청
제88대

권균
제89대

심정
제90대

이행
제91대

장순손
제92대

한효원
제93대

김근사
제94대

김안로
제95대

윤은보
제96대

류부
제97대

홍언필
제98대

김극성
제99대

윤인경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99대

윤인경
제100대

류관
제101대

성세창
}}}
제102대

이기
제103대

정순붕
제104대

황헌
제105대

심연원
제106대

상진
제107대

윤개
제108대

윤원형
제109대

안현
제110대

이준경
제111대

심통원
제112대

이명
제113대

권철
제114대

민기
제115대

홍섬
제116대

이탁
제117대

박순
제118대

노수신
제119대

강사상
제120대

정유길
제121대

김귀영
제122대

정지연
제123대

정유길
제124대

노수신
제125대

정유길
제126대

류전
제127대

이산해
제128대

정언신
제129대

정철
제130대

심수경
제131대

류성룡
제132대

이양원
제133대

윤두수
제134대

유홍
제135대

김응남
제136대

정탁
제137대

이원익
제138대

이덕형
제139대

이항복
제140대

이헌국
제141대

이항복
제142대

이헌국
제143대

김명원
제144대

윤승훈
제145대

류영경
제146대

기자헌
제147대

심희수
제148대

허욱
제149대

한응인
제150대

심희수
제151대

이항복
제152·153대

정인홍
제154대

정창연
제155대

정인홍
제156대

한효순
제157대

민몽룡
제158대

박승종
제159대

박홍구
제160대

조정
<colbgcolor=#c00d45,#94153e> 역대 정승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역대 영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호성공신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604년 6월 25일 선조에 의해 책록
충근정량갈성효절협력호성공신 (1등)
이항복 정곤수
충근정량효절협책호성공신 (2등)
구성 김응남 류근 류성룡
류영경1 박동량2 박숭원 신잡
심대 심우승 심충겸 안황
윤근수 윤두수 윤자신 이경검3
이경온 이광정 이괵 이기
이부 이산부 이원익 이유징
이충원 이호민 이후 정희번
최흥원 한연 홍진
충근정량호성공신 (3등)
강인 경종지 고희 기효복
김계한 김기문 김봉 김새신
김수원 김양보 김예정 김응수
김응창4 김준영 류조생 류희림
민희건 박몽주 박춘성 박충경
백응범 송강 신대용 신응서
안언봉 양순민 양자검 여정방
오연 오치운 이공기 이사공
이수곤 이연록 이유중 이응순
이춘국 이헌국 이희령 임발영
임우 전용 정대길 정탁
정한기 조귀수 최빈 최세준
최언순 최윤영 최응숙 허준
홍택
1 1608년 탄핵으로 인한 제명, 1623년 인조 때 복권
2 유릉 저주 사건이 무고임을 알고도 시인한 혐의로 인한 제명, 1635년 인조 때 복권
3 인목대비를 폐하라는 상소를 올렸던 혐의로 인한 제명
4 1624년 이괄의 난으로 인한 제명
}}}}}}}}}

북인
北人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동인
선조
(1591 ~ 1608)
서경덕 조식 최영경 정인홍 이산해
김면 이발 홍여순 곽재우 이이첨
대북 (광해군파) 소북 (영창대군파)
정인홍 이산해 정구 류영경 박승종
홍여순 이이첨 기자헌 류희분 남이공
광해군
(1608 ~ 1623)
대북
육북 중북
이산해 이이첨 정인홍 정구 곽재우
허균 기준격 정창연 류몽인 정온
대북 소북
골북 청북 (남당) 탁북 (유당)
홍여순 류희분 남이공 김신국 류영경
인조
(1623 ~ 1649)
남이공 김신국 정온 정창연 김세렴
남인 서인
조선의 붕당
(관학파 · 훈구파 · 사림파 · 동인 · 서인 · 남인 · 북인 · 소론 · 노론 · 개화당 · 수구파 · 정동파 · 위정척사파 · 급진개화파 · 온건개화파)
}}}}}}}}} ||
<colbgcolor=#b82642><colcolor=#f0ad73>
조선 영의정
전양부원군(全陽府院君)
유영경
柳永慶
출생 1550년(명종 5)
사망 1608년(광해군 즉위) (향년 57 ~ 58세)
봉호 전양부원군(全陽府院君)
본관 전주 류씨 (낙봉공파)
붕당 소북(탁소북)
선여(善餘)
춘호(春湖)
부모 부친 - 유의(柳儀)
모친 - 교하 노씨(交河盧氏) 노첨(盧僉)의 딸
형제자매 3남 2녀 중 차남
형 - 유영길(柳永吉, 1540 ~ ?)
남동생 - 유영하(柳永賀, 1553 ~ ?)
누이 - 이유상(李由祥)의 처
누이 - 유씨
부인 창원 황씨 황직개(黃直介, 1550 ~ ?)[1]
자녀 5남 2녀
장남 - 유열(柳恱, 1571 ~ ?)
차남 - 유흔(柳忻, 1573 ~ ?)
3남 - 유업(柳 忄+業, 1575 ~ 1612)
4남 - 유제(柳悌, 1579 ~ ?)
장녀 - 유여현(柳女賢, 1582 ~ ?)
차녀 - 유여정(柳女正, 1585 ~ ?)
5남 - 유선(柳愃, 1586 ~ ?)

1. 개요2. 생애3. 대중매체

[clearfix]

1. 개요

조선 중기의 문관이며 탁소북의 영수.정종의 4남인 선성군의 외5대손이다.[2]

2. 생애

1550년 종9품 참봉을 지낸 아버지 유의(柳儀)와 어머니 교하 노씨 노첨(盧僉)의 딸 사이의 3남 2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1572년(선조 5) 춘당대시 문과에 병과 8위로 급제하였다.

임진왜란이 터질 때 황해도 순찰사가 되어서 황해도 해주에서 왜적을 물리쳤다. 이때 가족들은 모두 피난시켜서 주상에게 욕 좀 먹었다. 또, 정유재란이 터졌을 때 중책을 맡고도 가족부터 안전하게 빼돌리는 등 상당히 보신주의적 행태를 보여 처벌당하기도 했다. 그래도 왜적의 목 6급을 베어서 칭찬을 듣기도 했다. 게다가 줄을 잘 서서 왜란 이후 병조참판을 거쳐 대사헌, 이조판서, 우의정, 좌의정을 거쳐 영의정까지 쾌속 승진했으며 자신의 파벌을 형성해내갔다.

처음에는 동인이었으나 남북 분당 당시 북인으로 옮겼다. 그리고 홍여순이 대사헌으로 천거되자 남이공김신국이 반대했다. 유영경은 정인홍과 같이 홍여순의 대사헌 천거 문제에 대해 토론 배틀을 벌이게 되었고 결국 정인홍과 유영경은 열띤 논쟁을 펼쳤음에도 서로 합의를 보지 못했다. 유영경은 자신을 따르는 박홍구, 박승종, 유희분과 같이 소북을 구성했으며, 정인홍도 마찬가지로 자신을 따르는 기자헌, 유몽인, 이이첨대북을 구성했다. 이렇게 해서 북인이 홍여순 대사헌 천거 문제로 대소 분당을 하며, 정인홍 계통의 대북과 유영경 계통의 소북으로 분열되게 되었다.

유영경은 소북의 영수가 되었지만 이후에 세자였던 광해군인목왕후의 아들인 영창대군 간의 후계자 문제로 다툼에 시달리자 영창대군 쪽으로 갈아탔다. 이에 광해군을 지지하는 소북 인물들이 반발해서 그 안에서도 불화가 빚어져 탁소북으로 옮겨가 영수가 되었다. 한편 선조의 후계자 논의가 가속화되자 자신의 정치적 생명을 걸고 영창대군의 줄에 서서 그를 밀었으며 이를 이루기 위해 선조의 곁에서 갖은 언플을 시도했다. 하지만 처음부터 영창대군을 세자로 세울 생각까진 안 했던(자세한 건 영창대군 항목 참조) 선조는 광해군을 왕으로 삼으라는 교지를 내리고 승하했다. 어차피 살아남기 힘들다고 본 그는 일부러 자신의 집에 교지를 감춘 채 시간을 지연시키려고 필사적으로 농간을 부렸다.

그러나 인목왕후의 지원을 받은 광해군은 수순대로 즉위했고, 이내 기자헌, 유몽인, 이이첨의 대북이 유영경의 죄상을 짚으며 탄핵에 나섰다. 처음에는 광해군이 그를 두둔했지만(아마도 형식적이었겠지만), 차차 처벌 수위를 높여 영의정 자리에서 내쫓고 파직, 삭직을 거쳐 유배한 다음 자결 명령을 내렸다. 심지어 죽은 다음 시신마저 뒤에 도로 끄집어내어져 부관참시당하는 비참한 최후를 맞았다. 이후에 소북은 박홍구, 박승종, 유희분을 중심으로 광해군을 지지했으나 유영경이 선조의 후계자로 영창대군을 택하며, 광해군과 정치적으로 대립하는 바람에 영향력이 약해지고 광해군과 대북에게 상당한 눈치를 보게 되었다.

회퇴변척소[3]봉산옥사계축옥사로 대북이 서인남인계 신하들을 조정에서 몰아낼 때, 소북은 그저 방관하거나 소극적으로 동조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렇게 해서 대북의 정치적인 전횡과 이를 막지 못하고 소북의 동조와 무능으로 인해 정계에서 밀려난 서인과 남인은 많은 실망을 하였다. 그래서 서인과 남인은 인조반정을 일으켜서 이후 인조가 즉위하는 것으로 성공했고, 그리고 즉시 바로 북인 처벌 문제에 들어갔다. 광해군 시기에 정책에 반대해서 유배를 간 북인 인물은 살렸지만, 북인 정권 시절 권신이었거나 광해군의 총애를 받은 측근 세력들은 냉혹하게 처벌했다.

이때 이이첨, 유희분 목숨을 잃었고, 박승종은 처벌받기 직전에 자결했다. 중북 계열인 유몽인과 기자헌도 인조 정권에 출사를 거부하고 광해군에게 의리를 지키려 했기에 숙청을 당했다. 유몽인은 광해군 복위를 꾀한다는 무고를 받아 아들 유약과 함께 처형당하고 중북 원로 기자헌은 이괄의 난때 이괄과 내통할 우려가 있다며 여러명의 북인쪽 사람들과 함께 처형당하고 이러한 일들이 벌어질 동안에 유영경은 반대로 그의 신원이 복권되었다. 인조와 서인, 남인은 대북에게 탄압받은 인물들은 이유 불문하고 죄다 복권시켜주긴 했다. 유영경의 복권에 대해서는 이유가 제시되었다. '그렇게 괜찮은 신하는 아니라서 관직까지 복권시키는건 좀 후하긴 한데 너무 심하게 화를 입었으니까 불쌍해서 복권시켜 준다'는 내용이었는데, 유영경이 질 나쁜 신료라는 사실을 인지하면서도 대북에게 피해를 입었답시고 복권시켜주는데 사소한 명분을 건 셈이었다.

대북파에 대한 인조와 서인들의 크나큰 반감을 보여주기도 하지만, 그것 때문에 유영경같은 간신까지 신원해주는 부조리성을 드러내기도 하는 셈이었다. 다만 관직을 복권시켜주긴 했지만 시호를 내려주지 않은 것을 보면 어찌되었든 서인쪽에서도 유영경을 그렇게 좋지않게 본것으로 보인다.[4][5] 한편 이이첨, 기자헌, 유희분, 박승종, 유몽인, 기자헌등을 비롯한 북인 영수들의 죽음과 박홍구 임취정 유효립 1629년에 후금과 내통해 반역을 꾀했다가 들통 난 양경홍의 역모사건과 1631년에 발각 된 정한추대사건 같은 북인들의 끊임없는 반역 시도로 인해 북인은 완전히 멸망했으며, 남이공과 김신국이 북인을 이끌다가 남인에게 흡수가 되어서 조정에서는 자취를 감쳤다.

인조 때 종2품 강원도관찰사를 지낸 유항은 그의 조카이다. 참고로 손자 유정량(柳廷亮)[6]의 아내(즉, 유영경의 손자며느리)가 선조인빈 김씨의 막내딸 정휘옹주인데, 유영경의 자살과 부관참시 이후 그의 일가족들도 전부 역적으로 전락하면서 유정량 역시 유배를 가게 되었다.

3. 대중매체

  • 1999년 MBC 드라마 <허준>에서는 배우 박영지가 연기했다. 극 중에서는 '정성필'의 모티브인 듯한데 선조가 승하할 때 어의 허준을 포섭해서 유언을 조작하려다가 실패한 이후 탄핵되고 유배를 거쳐 사형에 처해진다.
  • 2012년 개봉한 영화 <광해, 왕이 된 남자>에서는 조선 각지에서 올라온 유생들이 유영경은 사문난적으로 목을 치라고 한다.


[1] 태종의 9남 근녕군의 외고손녀. 근녕군 → 우산군 이종 → 이수려의 처 이씨 → 황응규의 처 이여질박 → 황직개[2] 선성군 → 명산부수 이금정 → 유간의 처 이씨 → 유세린 → 유의 → 유영경[3] 정인홍이 자신의 스승 조식의 문묘등록에 실패하자 빡쳐서 광해군한테 올린 상소로 이언적, 이황의 호의 앞글자를 따서 부른다.[4] 유영경과 같은 당인 탁소북 소속 황섬의 아들 황유첨이 쓴 정무록에서도 광해군이 유영경을 의심할 이유만 해도 6개가 넘고 유영경이 죽을만 하다고 기록하였다.[5] 노론의 당론서인 아아록에서도 영창대군이 태어나자 선조가 세자를 바꿀 뜻이 있자 당시 수상이었던 유영경이 백관을 거느리고 하례를 베푸니 소인의 작태며 정인홍이 유영경이 동궁을 모위(謀危)하려 했다고 공격했는데 그 누가 잘못되었다고 하겠느냐라며 유영경을 소인이라고 디스하였다.[6] 장남 유열의 아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