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보호된 문서입니다.
문서의 을 확인하세요.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김상용(동명이인) 문서 참고하십시오.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0ad73> 조선 정승 인조 ~ 경종 | ||||||||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calc(1.5em + 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좌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제141대 정창연 | 제142대 윤방 | 제143대 신흠 | 제144대 오윤겸 | |||||
제145대 김류 | 제146대 이정구 | 제147대 김류 | 제148대 오윤겸 | |||||
제149대 홍서봉 | 제150대 이성구 | 제151대 최명길 | 제152·153대 신경진 | |||||
제154대 심열 | 제155대 심기원 | 제156대 김자점 | 제157대 홍서봉 | |||||
제158대 심열 | 제159대 홍서봉 | 제160대 김자점 | 제161대 김상헌 | |||||
제162대 이경석 | 제163대 남이웅 | 제164대 이경석 | ||||||
제165대 정태화 | 제166·167대 조익 | 제168대 이시백 | 제169대 김육 | |||||
제170대 이시백 | 제171·172대 구인후 | 제173대 심지원 | 제174대 원두표 | |||||
제175·176대 심지원 | ||||||||
제175·176대 심지원 | 제177대 원두표 | 제178대 홍명하 | 제179·180대 허적 | |||||
제181대 정치화 | 제182대 허적 | 제183대 정치화 | 제184대 송시열 | |||||
제185대 김수항 | 제186대 이경억 | 제187대 송시열 | 제188대 정지화 | |||||
제189대 김수항 | ||||||||
제190대 정치화 | 제191대 김수항 | 제192대 권대운 | 제193대 민희 | |||||
제194대 정지화 | 제195대 민정중 | 제196대 정지화 | 제197대 남구만 | |||||
제198대 이단하 | 제199대 조사석 | 제200대 목내선 | 제201대 박세채 | |||||
제202대 류상운 | 제203대 윤지선 | 제204대 최석정 | 제205대 서문중 | |||||
제206대 이세백 | 제207대 이여 | 제208대 서종태 | 제209대 김창집 | |||||
제210대 이유 | 제211대 이이명 | 제212·213대 서종태 | 제214·215대 김창집 | |||||
제216대 서종태 | 제217대 이이명 | 제218·219대 김창집 | 제220대 이이명 | |||||
제221대 권상하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제222대 이건명 | 제223대 최규서 | 제224대 최석항 | }}} | ||||
<colbgcolor=#c00d45,#94153e> 역대 정승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
역대 영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우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제161대 윤방 | 제162대 신흠 | 제163대 오윤겸 | 제164대 김류 | |||||
제165대 이정구 | 제166대 김상용 | 제167대 김류 | 제168대 김상용 | |||||
제169대 홍서봉 | 제170대 이홍주 | 제171대 이성구 | 제172대 최명길 | |||||
제173대 장유 | 제174대 신경진 | 제175대 심열 | 제176대 강석기 | |||||
제177대 심기원 | 제178대 김자점 | 제179대 이경여 | 제180대 심열 | |||||
제181대 서경우 | 제182대 심열 | 제183대 이경석 | 제184대 남이웅 | |||||
제185대 이행원 | 제186대 남이웅 | 제187대 정태화 | ||||||
제188대 조익 | 제189대 김육 | 제190대 조익 | 제191대 이시백 | |||||
제192대 한흥일 | 제193대 이시백 | 제194대 구인후 | 제195대 심지원 | |||||
제196대 원두표 | 제197대 이후원 | 제198대 원두표 | ||||||
제199대 정유성 | 제200대 원두표 | 제201대 정유성 | 제202대 홍명하 | |||||
제203대 허적 | 제204대 정치화 | 제205·206대 송시열 | 제207대 홍중보 | |||||
제208대 송시열 | 제209대 김수항 | 제210대 이경억 | 제211대 김수흥 | |||||
제212대 이완 | 제213대 정지화 | |||||||
제214대 김수항 | 제215대 권대운 | 제216대 허목 | 제217대 민희 | |||||
제218대 오시수 | 제219대 민정중 | 제220대 이상진 | 제221대 김석주 | |||||
제222대 남구만 | 제223대 정재숭 | 제224대 이단하 | 제225대 조사석 | |||||
제226대 이숙 | 제227·228대 여성제 | 제229대 김덕원 | 제230대 민암 | |||||
제231대 윤지완 | 제232대 류상운 | 제233대 신익상 | 제234대 윤지선 | |||||
제235대 서문중 | 제236대 최석정 | 제237대 이세백 | 제238대 민진장 | |||||
제239대 신완 | 제240대 김구 | 제241대 이유 | 제242대 서종태 | |||||
제243대 김창집 | 제244대 이이명 | 제245대 서종태 | 제246대 윤증 | |||||
제247대 김창집 | 제248대 조상우 | 제249대 김창집 | 제250대 김우항 | |||||
제251대 이이명 | 제252대 권상하 | 제253대 조태채 | 제254대 이건명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제255대 조태구 | 제256대 최석항 | 제257대 이광좌 | }}} | ||||
<colbgcolor=#c00d45,#94153e> 역대 정승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
역대 영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 |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0ad73> 조선 정승 문충공(文忠公) 김상용 金尙容 | |
출생 | 1561년 6월 1일[1] (음력 명종 16년 5월 9일) |
한성부 | |
사망 | 1637년 2월 16일 (향년 75세) (음력 인조 15년 1월 22일) |
경기 강화부 읍성 남문루 (현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남산리) | |
시호 | 문충(文忠) |
본관 | 신 안동 김씨 |
자 | 경택(景擇) |
호 | 선원(仙源), 풍계(楓溪), 계옹(溪翁) |
부모 | 부친 - 김극효(金克孝, 1542 ~ 1618) 모친 - 동래 정씨 정말정(鄭末貞, 1542 ~ ?)[2] |
형제자매 | 남동생 - 김상관(金尙寬, 1566 ~1621) 김상건(金尙蹇, 1567 ~ 1604) 김상헌 김상복(金尙宓,1573 ~ 1652) |
부인 | 정실 - 안동 권씨 - 권개(權愷)[3]의 딸 측실 - 광산 김씨 김종생(金終生, 1583 ~ ?)[4] |
자녀 | 슬하 4남 6녀# [ 정부인 권씨 소생 - 3남 3녀 ] 적장남 - 김광경(金光烱, 1577 ~ ?) 적차남 - 김광환(金光煥, 1579 ~ 1642) 적3남 - 김광현(金光炫, 1584 ~ 1647)[5] 적장녀 - 김정순(金正順, 1582 ~ ?) 적차녀 - 김이순(金二順, 1587 ~ 1654)[6] 적3녀 - 김계순(金季順, 1590 ~ ?) [측실 김종생 소생 - 1남 4녀 ] 서장남 - 김광소(金光熽, 1597 ~ ?) 서장녀 - 김영순(金英順, 1602 ~ ?) 서차녀 - 김애순(金愛順, 1605 ~ ?) 서3녀 - 김임순(金壬順, 1612 ~ ?) 서4녀 - 김오순(金午順, 1618 ~ ?) |
[clearfix]
1. 개요
조선 중기 선조, 광해군, 인조 시대의 문신이다. 김상헌의 형이며, 장유의 장인. 인선왕후의 외할아버지이기도 하다.2. 생애
1561년 종2품 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를 지낸 아버지 김극효(金克孝)와 어머니 동래 정씨 좌의정 정유길(鄭惟吉)의 딸[7] 사이의 다섯 아들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1582년(선조 15) 식년시 진사시에 2등 1위로 입격하여# 참봉(종9품)을 지내다가 1590년(선조 23) 증광시 문과에 병과 8위로 급제하였다. #1627년 정묘호란이 일어나자 유도대장(留都大將)에 임명되었으나 적군이 임진강을 건넜다는 소식에 도성을 버리고 달아났다.인조실록 재위 5년(1627) 2월 11일 6번째 기사[8]
예조판서, 이조판서 등을 거쳐 1632년(인조 10) 우의정에 올랐다. 1635년 눈병으로 정무를 볼 수 없게 되어 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 정1품)에 올랐다가 이듬해(1636)에는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 종1품)로 직임이 옮겨졌다.
같은 해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강화도에 들어가 노구를 이끌고 강화성을 지키고 있었다. 이듬해 강화성 전투 중 성의 남문루(南門樓)에 있던 화약에 불을 지르고 순절하였다. 손자와 종 한 명이 그 뒤를 따랐다. 사관은 그의 졸기에 "항상 몸을 단속하여 물러날 것을 생각하며 한결같이 바른 지조를 지켰으니, 정승으로서 칭송할 만한 업적은 없다 하더라도 한 시대의 모범이 되기에는 충분하였다."라고 기록했다.
3. 순절한 것이 맞나?
사망 당일 장계(狀啓)에는 “김모(金某)가 불이 나 죽었다”는 기사와 함께 여러 사망자와 나란히 언급되어 있다. 그런데 몇 달이 지난 후에야, 가족과 측근들을 중심으로 그가 순절했다는 주장이 등장한다.# 인조는 "착한 것을 칭찬하는 것은 아름다운 일이라 할지라도, 그 칭찬하는 말이 참되고서야 죽은 자가 영화롭고 산 자가 사모할 것이다.", “절의를 지켜 죽은 일은 속이거나 숨길 일이 아니며 나라의 법이란 사사로운 정을 용납할 수 없으므로, 내가 거짓된 일을 하지 않으려는 것이지 유독 김상용에게 박해서가 아니다.”라며 이를 인정하지 않았으나, 1년여의 공방 끝에 결국 인조가 굴복하고 만다.[9]정말로 적에 맞서 싸우다가 순절하고자 했다면, 성이 함락된 후 적군이 몰려들 때 최대한 많은 적군을 길동무 삼아 자폭하는 것이 맞을 것이다. 그런데 폭발 시점은 오시(오전 11시~오후 1시경)이고, 정작 강화성은 날이 저문 후에야 함락되었다. 적군은 한 사람도 죽이지 못하고 강화성에 쌓여 있던 화약만 전부 날려먹은 셈이다.
게다가 그 시점에 강화성에는 봉림대군[10]과 원손, 비빈을 비롯한 왕족들이 있었다. 신하가 함께 있는 왕족들을 끝까지 지키지 않고 먼저 죽는다는 것도 상식적이지 않다.
결론적으로, 순절이라고 보기에는 이치에 맞는 구석이 하나도 없다. 사고사라고 보는 것이 합리적이다. 애당초 강화성을 지키지 못했다고 순절할 양반이면, 정묘호란 때 도성을 버리고 도망가지도 않았을 것이다.
3.1. 반론
그러나, 김상용은 혼자 죽은 게 아니라, 여러 사람과 함께 순절했고 당대 관료들의 증언과 강화성에 있던 이들의 증언으로도 그가 담배를 피려다 죽은 게 아니었다는 사실이 드러난다. 그리고 인조는 김상용만 의심한 게 아니라 김상용과 같은 방식으로 사망한 이완과 남이흥의 죽음도 의심했다. 애초에 지휘관들의 죽음에는 헛소문이 도는 일이 많았다. 임진왜란 때 분전하다 전사한 송상현과 정발의 경우에도 일본에 항복해 장군으로 활동한다는 소문이 돌았으며 조정에서 정발의 전사를 확인한 것도 임진년 말이 되어서였다.순절하는 방식에 대한 의문도 참견에 가깝다. 이완과 남이흥 같은 경험이 풍부한 무관들도 적을 끌어들인 후에 자폭하는 게 아니라 성이 함락되기 전에 자폭했다. 무엇이 합리적인 순절이고 이치란 말인가? 김상용이 자폭하던 시점의 강화성은 이미 성문이 뚫리고 물자가 바닥나 대세가 기운 뒤였다. 강화성의 함락은 날이 저문 뒤에 이루어졌더라도 대세는 이미 결정된 것이나 마찬가지였던 것이다.
강화를 지키지 못했다고 순절할 양반이 왜 정묘호란 때 도망쳤냐고 비난하는 것도 옳지 못하다. 이미 임진왜란 때 이런 식으로 도망쳤다가 다시 복귀해 활약하거나 순절하는 행보를 보인 이들이 수두룩하기 때문이다. 그 김시민도 지리산으로 달아났다가 복귀했고, 진주성 앞에서 전사한 유숭인도 몸을 숨겼다가 복귀한 인사였다. 경상 좌수사 박홍, 좌병사 이각, 감사 김수, 순변사 이일, 김명원과 한응인 등도 패주했다가 다시 복귀했던 자들이다. 별다른 근거 없이 단순한 추측만으로 사람을 비난하는 것은 온당치 못하다.
무엇보다 김상용의 죽음이 실화라고 단정하는 제1근거는 강화유수가 올린 장계인데 당시 강화유수야말로 강화도 방어전의 최대 트롤러였던 장신이다. 전투에 제대로 참가도 하지않고 적전도주했던 사람이 올린 장계가 정확할리가...
4. 여담
- 당시 기준으로 상당히 오래 산 편인데(76세), 동생인 김상헌 또한 80을 넘어 장수하였다.[11]
[1] 율리우스력 5월 22일[2] 정유길의 3녀.#[3] 권철의 아들.[4] 김계휘(金繼輝)의 서차녀.#[5] 호는 수북(水北)이다. 문과 급제 후 부제학을 거쳐 이조참판에 이르렀던 문신이자 서예가이다. 병자호란 당시 숙부 김상헌과 함께 남한산성에서 인조를 호종하였다. 훗날 소현세자의 부인인 강빈의 옥사 당시 사위가 강씨의 친오빠인 관계로 이조참판에서 순천부사로 좌천되었다가 울분으로 사망하였다. 증손자인 김시보(金時保, 1658 ~ 1734)는 일가인 김창협의 문인이다. 관직에 있을 당시의 평은 좋지 않다.링크[6] 효종의 국구(國舅) 신풍부원군 장유의 부인으로, 인선왕후의 어머니.[7] 광해군의 장모인 봉원부부인과 자매지간이다[8] 정작 후금군은 한성까지 오지도 않았다.[9] 이홍주(李弘胄)·이현영(李顯英)·유백증(兪伯曾)이 다 그 실상을 아뢰니, 상이 이르기를, "남초를 피우다 불이 나서 번졌다는 말은 나도 그것이 거짓인 줄 알았는데, 경들이 상차한 사연을 보고는 내 의심이 풀렸다." 하였다. 유백증이 아뢰기를, "이미 그 실상을 통촉하셨으니, 곧 특이한 행실을 정표해야 인심이 쾌하게 될 것입니다." 하였으나, 상이 답하지 않았다. 인조 15년 11월 24일[10] 김상용의 딸 영가부부인이 효종의 장모이므로, 외손녀사위가 된다.[11] 남인의 영수 미수 허목의 초상이 김상헌의 것으로 알려진 초상과 도플갱어 수준으로 닮았으나 실상 김상용 생전 초상은 눈썹도 희지 않고 이목구비도 조금 다르다. 허목의 초상이 김상용의 것으로 와전되었을 수 있다. 두 사람의 나이는 35세 차이로 같은 시대를 살았으나 허목의 출사가 늦어 두 사람이 동시에 조정에 출사한 일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