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8:01:45

이완(1602)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0ad73> 조선 정승
인조 ~ 경종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calc(1.5em + 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좌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141대

정창연
제142대

윤방
제143대

신흠
제144대

오윤겸
제145대

김류
제146대

이정구
제147대

김류
제148대

오윤겸
제149대

홍서봉
제150대

이성구
제151대

최명길
제152·153대

신경진
제154대

심열
제155대

심기원
제156대

김자점
제157대

홍서봉
제158대

심열
제159대

홍서봉
제160대

김자점
제161대

김상헌
제162대

이경석
제163대

남이웅
제164대

이경석
제165대

정태화
제166·167대

조익
제168대

이시백
제169대

김육
제170대

이시백
제171·172대

구인후
제173대

심지원
제174대

원두표
제175·176대

심지원
제175·176대

심지원
제177대

원두표
제178대

홍명하
제179·180대

허적
제181대

정치화
제182대

허적
제183대

정치화
제184대

송시열
제185대

김수항
제186대

이경억
제187대

송시열
제188대

정지화
제189대

김수항
제190대

정치화
제191대

김수항
제192대

권대운
제193대

민희
제194대

정지화
제195대

민정중
제196대

정지화
제197대

남구만
제198대

이단하
제199대

조사석
제200대

목내선
제201대

박세채
제202대

류상운
제203대

윤지선
제204대

최석정
제205대

서문중
제206대

이세백
제207대

이여
제208대

서종태
제209대

김창집
제210대

이유
제211대

이이명
제212·213대

서종태
제214·215대

김창집
제216대

서종태
제217대

이이명
제218·219대

김창집
제220대

이이명
제221대

권상하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222대

이건명
제223대

최규서
제224대

최석항
}}}
<colbgcolor=#c00d45,#94153e> 역대 정승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역대 영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우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161대

윤방
제162대

신흠
제163대

오윤겸
제164대

김류
제165대

이정구
제166대

김상용
제167대

김류
제168대

김상용
제169대

홍서봉
제170대

이홍주
제171대

이성구
제172대

최명길
제173대

장유
제174대

신경진
제175대

심열
제176대

강석기
제177대

심기원
제178대

김자점
제179대

이경여
제180대

심열
제181대

서경우
제182대

심열
제183대

이경석
제184대

남이웅
제185대

이행원
제186대

남이웅
제187대

정태화
제188대

조익
제189대

김육
제190대

조익
제191대

이시백
제192대

한흥일
제193대

이시백
제194대

구인후
제195대

심지원
제196대

원두표
제197대

이후원
제198대

원두표
제199대

정유성
제200대

원두표
제201대

정유성
제202대

홍명하
제203대

허적
제204대

정치화
제205·206대

송시열
제207대

홍중보
제208대

송시열
제209대

김수항
제210대

이경억
제211대

김수흥
제212대

이완
제213대

정지화
제214대

김수항
제215대

권대운
제216대

허목
제217대

민희
제218대

오시수
제219대

민정중
제220대

이상진
제221대

김석주
제222대

남구만
제223대

정재숭
제224대

이단하
제225대

조사석
제226대

이숙
제227·228대

여성제
제229대

김덕원
제230대

민암
제231대

윤지완
제232대

류상운
제233대

신익상
제234대

윤지선
제235대

서문중
제236대

최석정
제237대

이세백
제238대

민진장
제239대

신완
제240대

김구
제241대

이유
제242대

서종태
제243대

김창집
제244대

이이명
제245대

서종태
제246대

윤증
제247대

김창집
제248대

조상우
제249대

김창집
제250대

김우항
제251대

이이명
제252대

권상하
제253대

조태채
제254대

이건명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255대

조태구
제256대

최석항
제257대

이광좌
}}}
<colbgcolor=#c00d45,#94153e> 역대 정승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역대 영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이순신 원균 이순신 이시언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류형 이경준 이운룡 이기빈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이경준 우치적 성우길 이정표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이영 류지신 정기룡 김예직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정기룡 원수신 구인후 이수일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이항 구굉 신경원 변흡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구인후 신경인 윤수 신경인
제29대 제30대 제31대 제32대
류림 류정익 이확 류림
제33대 제34대 제35대 제36대
이현달 이완 김응해 류정익
제37대 제38대 제39대 제40대
황헌 이원로 남두병 류혁연
제41대 제42대 제43대 제44대
정익 조필규 김적 박경지
제45대 제46대 제47대 제48대
김시성 정전현 박경지 이지형
제49대 제50대 제51대 제52대
이도빈 류비연 김경 류여량
제53대 제54대 제55대 제56대
신여철 이지원 노정 신유
제57대 제58대 제59대 제60대
윤천뢰 이인하 전동흘 민섬
제61대 제62대 제63대 제64대
원상 변국한 김세익 류중기
제65대 제66대 제67대 제68대
이세선 신여철 이성뢰 심박
제69대 제70대 제71대 제72대
목림기 최숙 김중기 이기하
제73대 제74대 제75대 제76대
정홍좌 이홍술 민함 류성추
제77대 제78대 제79대 제80대
원덕휘 홍하명 이창조 이상전
제81대 제82대 제83대 제84대
남오성 오중주 정홍좌 조미중
제85대 제86대 제87대 제88대
김중원 이우항 이석관 이택
제89대 제90대 제91대 제92대
윤의 이상집 오중주 김중기
제93대 제94대 제95대 제96대
이수민 이봉상 신익하 남태징
제97대 제98대 제99대 제100대
윤오상 이재항 이복연 김흡
제101대 제102대 제103대 제104대
이수량 정수송 박찬신 김집
제105대 제106대 제107대 제108대
윤택정 구성익 조경 송징래
제109대 제110대 제111대 제112대
이우 이의풍 이언상 장태소
제113대 제114대 제115대 제116대
정찬술 구선행 조동점 김윤
제117대 제118대 제119대 제120대
이장오 이경철 오연제 이윤성
제121대 제122대 제123대 제124대
이태상 이은춘 정여직 윤태연
제125대 제126대 제127대 제128대
이주국 이한응 이국현 장지항
제129대 제130대 제131대 제132대
원중회 조제태 구현겸 조완
제133대 제134대 제135대 제136대
이방수 이창운 장지항 이경무
제137대 제138대 제139대 제140대
서유대 신대겸 구이겸 이한창
제141대 제142대 제143대 제144대
이방일 김영수 류진항 심대겸
제145대 제146대 제147대 제148대
조심태 이한풍 신응주 이윤경
제149대 제150대 제151대 제152대
서유방 이득제 신대현 이득제
제153대 제154대 제155대 제156대
이유경 윤득규 임률 이인수
제157대 제158대 제159대 제160대
이윤겸 류효원 이당 신대영
제161대 제162대 제163대 제164대
오재광 조계 서영보 신홍주
제165대 제166대 제167대 제168대
서춘보 오의상 신경 박기풍
제169대 제170대 제171대 제172대
조화석 이석구 이유수 김영
제173대 제174대 제175대 제176대
이항권 류화원 이완식 임성고
제177대 제178대 제179대 제180대
이정회 이승권 이응식 허계
제181대 제182대 제183대 제184대
백은진 서상오 김건 류기상
제185대 제186대 제187대 제188대
이응서 이규철 김한철 이희경
제189대 제190대 제191대 제192대
류상정 임태영 심락신 이경순
제193대 제194대 제195대 제196대
신관호 정규응 이재봉 김건
제197대 제198대 제199대 제200대
이현직 이현직 정규응 채동건
제201대 제202대 제203대 제204대
이주철 권용섭 이종승 신환
제205대 제206대 제207대 제208대
이규석 정낙용 정기원 이원회
제209대 제210대 제211대 제212대
정운익 이규안 민경호 정기택
제213대 제214대 제215대
민형식 민영옥 홍남주 }}}}}}}}}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0ad73> 조선 정승
정익공(貞翼公)
이완
李浣
출생 1602년(선조 35)
사망 1674년(현종 15) (향년 72세)
시호 정익(貞翼)
본관 경주 이씨
징지(澄之)
매죽헌(梅竹軒)
부모 부친 - 이수일(李守一, 1554 ~ 1632)
모친 - 전주 이씨 이기연(李竒姸, 1563 ~ ?)[1]
형제자매 3남 4녀 중 3남
[ 펼치기 · 접기 ]
(출처_선원록 #)
형 - 이정(李淀, 1589 ~ 1668)
형 - 이용(李溶, 1597 ~ ?)
남매 - 화순 최씨 최휘(崔椲)의 처(1602 ~ ?)
남매 - 청주 한씨 한필후(韓必厚)의 처
남매 - 채계주(蔡繼周)의 처
남매 - 전주 이씨 이시해(李時楷)의 처
부인 서산 정씨 - 정민구(鄭民求)의 딸
자녀 서장남 - 이인준(李仁俊)
서차남 - 이인척(李仁倜)

1. 개요2. 생애3. 여담4. 대중매체

[clearfix]

1. 개요

조선 후기의 관료. 훈련대장, 어영대장, 수어사, 포도대장, 한성부판윤, 병조·형조·공조판서, 우의정 등을 역임했다. 이완 대장[2]이란 호칭으로 유명하다. 본관은 경주 이씨.

효종북벌론하면 빠지지 않고 거론되는 인물로 북벌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였다고 알려져 있다.

2. 생애

아버지 이수일(李守一)[3]임진왜란인조반정, 이괄의 난에 활약한 잔뼈가 굵은 무인으로, 이괄의 난이 진압된 후에는 진무공신(振武功臣) 2등에 녹훈되고 계림부원군(鷄林府院君)에 봉해졌다.

이완은 1624년(인조 2) 증광시 무과에 병과 4위로 급제하였고 부친의 뒤를 이어 무관직에 나아갔다.

1627년(인조 5) 영유현령을 지냈고,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 때 정방산성 등 여러 곳에서 분전했으며, 최명길(崔鳴吉)의 천거로 무관으로서는 드물게 승지를 지냈다. 1644년(인조 22) 재차 삼도수군통제사를 지냈고, 이후 포도대장을 역임했다. 1650년(효종 1) 효종의 군사력 증강 정책에서 어영대장을 맡아 병제와 군비를 재정비하는데 크게 기여했고, 김자점(金自點)의 모역을 다스리기 위해 포도대장을 거듭 맡았다. 1653년(효종 4) 영의정 정태화(鄭太和)의 천거로 훈척(勳戚)만이 임명되던 관례를 깨고 이례적으로 훈련도감의 대장, 즉 훈련대장에 임명되었고 현종 대에 걸치도록 16년 동안 직책을 유지하였다. 한성부판윤, 병조판서, 형조판서, 공조판서 등 문관직에도 두루 중용되었고 훈련 대장을 겸하였으며 때로 포도대장까지 겸하였다. 1666년(현종 7) 8월에는 판의금부사에 올랐고, 그 해 12월 병조판서에 임명되었으나, 병이 위중하고 또한 병조와 훈련도감을 겸할 수 없다고 사양하며 나가지 않았다. 그 뒤에도 두 차례나 병조판서에 임명되었지만 끝내 나가지 않고 훈련대장으로만 있었다. 1669년(현종 10) 훈련대장에서 물러난 이래 관직을 계속 사양하였으나, 1671년(현종 12) 수어사를 거쳐, 1674년(현종 15) 우의정이 내려졌고, 동년 6월 사망했다. 사후 정익(貞翼)이라는 시호가 내려졌다. 석 달 후 현종도 사망하였다. 여러 가지 의미에서 효종과 현종 두 부자와 함께 한 인물이다.

실록에서 평하길, "완(浣)은 성격이 강직하면서 편협하여 교장(驕將)이라는 평판이 꽤 있기는 하였으나 그가 훈국(訓局)[4] 또는 추조(秋曹)[5]에 있을 때나 경성 판윤이 되었을 때 모두 직책 수행을 원만히 한다는 칭언이 있었고, 3번이나 서전(西銓)[6] 제배를 받고서도 완강히 사양하고 취임하지 않아 그의 사양에 대하여도 선비들 공론이 좋았으며 도하 군민(軍民)들은 더욱 그를 좋아하고 칭찬하였기 때문에 상(上)[7]도 그 여론에 따라 대배(大拜)[8]하기까지 하였던 것이다. 완(浣)이 죽고 류혁연(柳赫然)이 그 대신 훈국의 대장이 되어서는 거조가 뒤죽박죽이어서 점점 군으로부터 인심을 잃었고, 그리하여 결국 죄를 짓고 죽음을 당하기에 이르렀으므로 지금까지도 군졸들은 완(浣)을 그리워하여 마지 않는다고 한다."라고 하였다.#

3. 여담

  • 이완은 조선시대에 단 7명뿐인 무과 출신 정승이다. 차례대로 우의정 조영무(1338~1414), 좌의정 최윤덕(1376~1445), 좌의정 홍달손(1415~1472), 영의정 박원종(1467~1510), 영의정 신경진(1575~1643), 좌의정 구인후(1578~1658), 우의정 이완(1602~1674) 등이다.
  • 이완은 현재의 서울특별시장에 해당하는 한성부판윤을 11번 역임하여 이언강(李彦綱, 1648~1716)[9]과 함께 최다 역임 기록을 갖고 있다. 총 재임기간은 7년 6개월~10년 4개월[10]로 추정되어 이석형(李石亨, 1415~1477)[11]최장 재임 기록을 다툰다. 이석형의 총 재임기간은 7년 4개월~8년 5개월[12]로 추정된다.
  • 이완은 1653년(효종 4) 10월 20일부터 1669년(현종 10) 5월 13일까지 효종~현종 양조에 걸쳐 약 15년 7개월 동안 훈련도감 대장, 즉 훈련대장을 역임했다. 효종, 현종의 신임이 두터워 중간에 면직된 적이 없기 때문에 통산 재임기간과 연속 재임기간이 동일하다. 통산 재임기간은 영조조의 훈련대장 김성응(金聖應, 1699~1764)[13](약 20년 7개월~21년 1개월)에 이은 역대 2위이고, 연속 재임기간역대 1위이다.
  • 뭔가 사람됨이 특이했는지 야사에 이완의 기행과 재치와 관련한 일화가 많이 남아있는데 가장 유명한 일화라면 산적 두목을 부하로 영입했다는 이야기. 이완이 젊었을 적 사냥을 갔다가 산 속에서 길을 잃었는데 멀리 불빛이 보여 가보니 으리으리한 기와집이 떡하니 있었다. 그 집에 들어가니 한 여인이 있어 "여기는 산적 소굴이고 자신은 잡혀온 여자인데 여기 있으면 위험하다"며 이완을 내쫒았다. 하지만 이완은 배가 고프다며 밥을 얻어먹고 배부르니 졸리다고 그대로 누워 자는 게 아닌가. 곧이어 산적 두목이 들이닥쳐 태평스레 자고 있는 이완을 보자 기가 차서 밧줄로 묶고 칼로 위협했으나 전혀 미동도 하지 않았다. 이완의 배짱에 놀란 두목은 이완을 풀어주고 큰절을 올리면서 두목이 말하길 "젊어서 점을 봤는데 포도대장에게 잡혀 참수당한다는 예언이었다. 지금 행동으로 보건데 이완이 미래의 포도대장감이니 훗날 자신이 죄를 짓고 잡히면 살려달라"는 약조를 받아냈다. 이완이 포도대장을 역임할 때에 한 부하가 큰 도적을 잡아들여 이완에게 보고하기를 "죄가 많아 죽음을 면하기 어려운 놈이 마지막으로 죽기 전에 포도대장을 뵙겠다고 합니다." 그가 만나보니 젊었을 적에 안면이 있었던 자라 약속을 지켜 특별히 사면하고 그의 용력을 높이 사 자신의 부하로 삼는다.
  • 이완이 젊은 시절 사기꾼에 속아 한겨울에 옷을 빼앗기고 홀딱 젖은 채로 봉변을 당한 적이 있었다. 한 집 사랑방에 들어가 안주인이 보는 앞에서 태연히 밥을 얻어먹고 옷을 빌려 자신의 집마냥 잠을 청하니 안주인이 참다못해 따끔히 꾸짖었다. 안주인의 말에 이완도 부끄러워 나가려던 찰나 바깥 양반이 들어와 숨어버렸다. 바깥 양반은 방 안이 어지럽혀져 있자 부인에게 자초지종을 듣고 웃으며 오히려 이완을 가엽게 여겼다. 몰래 듣고 있던 이완은 그대로 엎드려 절하며 집주인 부부의 호의에 감사를 표했고 성명을 물었으나 "언젠가 연이 되면 알게 될 것"이라며 넘겼다. 수십 년 후 조정에 출사한 이완이 이 때 일을 끄집어내자 그 자리에 동석했던 영의정 정태화가 말하길 "그 때 그 집주인은 자신이었고 불청객이 바로 이완이었느냐"며 웃었다. 그제서야 사태를 파악한 이완이 "어려울 때의 은혜를 어찌 잊겠냐"며 정태화를 극진히 모셨다.
  • 밤중에 효종의 호출을 받은 이완이 에 들어서자 화살들이 날아왔는데 태연히 효종의 대전까지 들어갔으며 대전으로 들어선 이완에게 효종이 "안 놀랐냐"고 묻자 철릭 속에 갑옷을 입고 있어서 효종이 이완의 대범함과 철저함에 탄복한다. 실제로도 포도대장이 직접 먹이를 줄 만큼의 솔선수범형의 지휘관이었다고 한다.
  • 박지원의 소설 <허생전>에 나오는 이완이 바로 이 사람인데 <허생전>에서는 허생이 내놓는 치국책에 아무것도 못 하겠다고 발뺌하다가 허생이 화를 내며 을 뽑아들자 줄행랑을 치는 굴욕을 당한다. 하지만 이인이 있다는 변씨의 말을 듣고 허생의 집에 직접 찾아가거나 허생의 무례함에도 불구하고 사과를 하기 위해 집에 다시 찾아간다는 점에서 보통 인물이 아님을 은연 중에 나타내기도 했다.[14]

파일:이완 장군 유품.jpg
  • 경기도 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이완장군 유품
    간주형 투구 1점과 창의 모양을 띈 깃대 2점이다. 특히 투구는 챙과 드림이 소실되었고 깃대는 각각의 길이가 113 · 143cm이다.

4. 대중매체



[1] 이귀년(李貴年)의 3녀로, 선성군의 고손녀. #[2] 李浣 大將. 각 군영의 대장 및 포도대장을 역임했다. 특히 훈련도감의 대장, 즉 훈련대장을 효종~현종 양조에 걸쳐서 약 15년 7개월간 연속 재임하였다. 이는 통산 재임기간으로는 역대 2위, 연속 재임기간으로는 역대 1위의 기록이다.[3] 1554년(명종 9) ~ 1632년(인조 10). 임진왜란 발발 당시 이미 불혹을 바라보는 나이였기에, 이완은 이항복처럼 늦둥이로 태어난 셈이다. 이완이 태어났을 당시 부친 이수일의 나이는 만 47~48세로 요즘에도 이 나이에 자식을 얻으면 늦둥이 소리를 듣는다. 하물며 혼인 시기가 지금보다 훨씬 이른 조선시대에 47~48세에 자식을 얻었다면 항렬만 자식이지 손자뻘에 가깝다.[4] 훈련도감의 별칭. 여기서 훈국에 있었다는 것은 훈련도감 대장, 즉 훈련대장으로 있었던 것을 가리킴.[5] 형조(刑曹)의 별칭. 여기서 추조에 있었다는 것은 형조판서로 있었던 것을 가리킴.[6] 병조(兵曹)의 별칭. 여기서 서전 제배는 병조판서에 제배한 것을 가리킴.[7] 임금. 여기서는 현종을 가리킴.[8] 정승(政丞)에 제배(임명)하는 것. 이완을 우의정에 대배하였던 것을 가리킨다.[9] 숙종 때 형조판서, 좌참찬 등을 역임. 본관은 전주 이씨.[10] 중간에 한성부판윤으로 있던 김광욱(金光煜), 윤강(尹絳), 허적(許積)의 재임기간이 불분명하기에 이완의 재임기간을 정확히 단정지을 수는 없다. 정확한 임기를 알 수 없는 김광욱, 윤강, 허적의 재임기간을 1일로 가정했을 때 최장 10년 4개월에 이를 수 있다.[11] 세조 때 판중추부사를 역임. 본관은 연안 이씨.[12] 중간에 한성부윤으로 있던 이서(李墅)와 윤자(尹慈)의 재임기간이 불분명하기에 이석형의 재임기간을 정확히 단정지을 수는 없다. 정확한 임기를 알 수 없는 이서와 윤자의 재임기간을 1일로 가정했을 때 최장 8년 5개월에 이를 수 있다.[13] 영조 때 판의금부사, 병조판서 등을 역임. 본관은 청풍 김씨.[14] 시대상 다른 사람이었다면 허생을 당장 잡아들이라고 포졸을 보냈을 것이라 묘사했을 것.[15] 우뢰 같은 저 함성 범같은 늠름 기상 이완대장 재래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2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2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