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02 15:54:09

대명(드라마)

{{{#!wiki style="color:#fff;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1D1D1D; margin: -5px -1px -11px"
1981
[[대명(드라마)|파일:KBS 대하드라마 대명 로고(흑).png파일:KBS 대하드라마 대명 로고.png
대명
]]
1982
[[풍운(KBS)|파일:풍운 로고(흑).png파일:풍운 로고.png
풍운
]]
1983
[[개국(드라마)|파일:개국 로고.png
개국
]]
1984
[[독립문(드라마)|파일:독립문 로고(흑).png파일:독립문 로고.png
독립문
]]
1985
[[새벽(드라마)|파일:새벽 로고(흑).png파일:새벽 로고.png
새벽
]]
1986~1987
[[노다지(드라마)|파일:노다지 로고(흑).png파일:노다지 로고.png
노다지
]]
1987
[[이화(드라마)|파일:이화 로고(흑).png파일:이화 로고.png
이화
]]
1987~1989
[[토지(1987년 드라마)|파일:토지 로고(흑).png파일:토지 로고.png
토지
]]
1989~1990
[[역사는 흐른다|파일:역사는 흐른다 로고(흑).png파일:역사는 흐른다 로고.png
역사는 흐른다
]]
1990
[[여명의 그날|파일:여명의 그날 로고.png
여명의 그날
]]
1991
[[왕도(드라마)|파일:왕도 로고(흑).png파일:왕도 로고.png
왕도
]]
1991~1992
[[바람꽃은 시들지 않는다|파일:바람꽃은 시들지 않는다 로고(흑).png파일:바람꽃은 시들지 않는다 로고.png
바람꽃은

시들지 않는다
]]
1992~1993
[[삼국기|파일:삼국기 로고.png
삼국기
]]
1993~1994
[[먼동|파일:먼동 로고.png
먼동
]]
1995
[[김구(드라마)|파일:김구 로고.png
김구
]]
1995~1996
[[찬란한 여명|파일:찬란한 여명 로고.png
찬란한 여명
]]
1996~1998
[[용의 눈물|파일:용의 눈물 로고 신.png
용의 눈물
]]
1998~2000
[[왕과 비|파일:왕과 비 로고.png
왕과 비
]]
2000~2002
[[태조 왕건|파일:태조 왕건 로고.png
태조 왕건
]]
2002~2003
[[제국의 아침|파일:제국의 아침 로고.png
제국의 아침
]]
2003~2004
[[무인시대|파일:무인시대 로고.png
무인시대
]]
2004~2005
[[불멸의 이순신|파일:불멸의 이순신 로고(흑).png파일:불멸의 이순신 로고.png
불멸의 이순신
]]
2006
[[서울 1945|파일:서울 1945 로고(흑).png파일:서울 1945 로고.png
서울 1945
]]
2006~2007
[[대조영(드라마)|파일:대조영 로고.png
대조영
]]
2008
[[대왕 세종|파일:대왕 세종 로고.png
대왕 세종
]]
2009
[[천추태후(드라마)|파일:천추태후 로고.png
천추태후
]]
2010~2011
[[근초고왕(드라마)|파일:근초고왕 로고.png
근초고왕
]]
2011~2012
[[광개토태왕(드라마)|파일:광개토태왕 로고(흑).png파일:광개토태왕 로고.png
광개토태왕
]]
2012~2013
[[대왕의 꿈|파일:대왕의 꿈 로고.png
대왕의 꿈
]]
2014
[[정도전(드라마)|파일:정도전 로고(흑).png파일:정도전 로고.png
정도전
]]
2015
[[징비록(드라마)|파일:징비록 로고.png
징비록
]]
2016
[[장영실(드라마)|파일:장영실 로고(흑).png파일:장영실 로고.png
장영실
]]
2021~2022
[[태종 이방원(드라마)|파일:태종 이방원 로고(B).png파일:태종 이방원 로고.png
태종 이방원
]]
2023~2024
[[고려 거란 전쟁|파일:고려거란전쟁 로고 블랙.png파일:고려 거란 전쟁 로고 화이트.svg
고려 거란 전쟁
]]
전체 방송 프로그램 보기
}}}}}}}}} ||
KBS 대하드라마
대명 (1981)
大命 / Daemyeong
파일:KBS 대하드라마 대명.png
<colbgcolor=#7a756f><colcolor=white> 시청 등급 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5세 이상 시청가
방송 시간 월요일 20:00 ~
방송 기간 1981년 1월 5일 ~ 1981년 12월 28일
방송 횟수 50부작[1]
장르 대하사극
제작 KBS 자체제작
채널 KBS 1TV
제작진 <colbgcolor=#7a756f><colcolor=white> 연출 고성원
극본 이철향
조연출 홍성룡
기술감독 김태훈 → 이수송
조명감독 유용우 → 정대식
미술감독 최연호
야외촬영 김승범 外 다수
카메라 김기철 外 다수
편집 민대식
고증 황호근
음악 임택수
해설 이강식
출연 김동훈, 김흥기, 서영진, 서우림, 강수연, 조은덕, 원미경, 백윤식, 최정훈, 이문희, 최우성, 윤유선
1. 개요2. 등장인물3. 영상 목록

[clearfix]

1. 개요


1회 영상.

1981년 1월 5일부터 1981년 12월 28일까지 방영된 KBS 대하드라마로 우리나라 최초의 대하드라마.[2] 조선 인조부터 현종 대까지를 다뤘으며, 사실상 효종의 일대기가 주이며 주화파인 최명길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NHK 대하드라마 시리즈로부터 영향을 받아서인지 편성이 상당 부분 닮아 있다. 안타깝게도 영상자료는 테이프 재활용으로 인해 1화, 49화, 50화 총 3화만 남아 있고,[3][4] 2021년경 26회 녹화본이 개인 유튜브에 올라왔다가 삭제되었는데, 2023년에 이 회차가 KBS에 기증되었다.[5] 이에 따라 KBS 측은 2023년 5월 12일 '옛날티비' 채널을 통해 남은 3회차 + 기증본 1회차를 공개했다.

방영 당시 나름대로 인기가 있었으나 대하사극으로서 병자호란의 원인 및 향후 사회적 변화 같은 사실을 중점적으로 다뤄야 하는데 명나라를 선, 청나라를 악으로 각각 감정적으로 그려낸 탓에 모문룡의 조선 내 행패 생략, 청나라 인물들의 희화화 등의 문제점이 생겼고, 효종의 북벌론을 청에 대한 복수심이 아닌 옛 고구려의 고토 회복이란 식의 비약적인 해석 등 사실성을 해쳤다는 지적도 있다.[6] 잘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지만 훗날 녹색지대의 멤버로 활동하게 되는 김알음의 데뷔작이며, 신격호 롯데 창업주의 후처로 알려질 서미경의 배우 은퇴작이기도 하다. 또한 액션 영화배우 김유행의 첫 TV 드라마 출연작이기도 하다.

2. 등장인물

3. 영상 목록


26회 영상.[8]


49회 영상.


50회 영상.

26회를 기증한 사람이 영상을 기증하면서 모든 사람들이 다 같이 보았으면 좋겠다는 뜻에서 KBS 옛날티비 측에 유튜브 공개를 요청했고, 이에 따라 KBS 측에서 기증받은 26회를 포함, 보관하고 있던 1, 49, 50회를 공개했다. 원래 KBS가 대하드라마 전편을 유튜브에 공개하는 일은 없지만, 대명은 남아있는 회차가 4회밖에 없기 때문에 이례적으로 공개되었다. 거꾸로 말하면 보관상태가 허술했기 때문에 역설적으로 공개될 수 있었다는 말이다.

[1] 총괄편 2부작 포함하면 52부작.[2] 사실 그 이전에도 특집극이나 단막극, 연속극의 형식으로 사극을 방영한 적은 있었지만, '대하드라마'라는 타이틀로 본격적으로 사극을 정규 편성하기 시작한 것은 이 드라마가 시작이다.[3] 당시에는 필름값이 꽤나 비싸서 우리나라 뿐만이 아니라 돈많은 영국이나 일본도 의외로 필름 재사용이 만연해 있었다. 그 BBC조차도 원본필름 관리가 부실해 올드 닥터 후 시리즈 원본 필름들이 유실되어 팬들이 녹화한 사본들을 찾아다닐 정도. 그나마 돈많은 미국이나 아예 정부에서 데이터 센터를 구축한 프랑스 정도가 자료가 풍부한 편.[4]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이러한 문제가 심각해, 1980년대 초중반까지만 해도 필름 및 테이프 재사용이 만연해 있었다. 그러던 중 1986 서울 아시안 게임 및 1988 서울올림픽을 앞두고 기념방송을 제작하기 위해 MBC, KBS가 과거 자료를 찾다가, 그제서야 원본자료의 중요성을 깨달아 1987년 이후부터는 최대한 필름이나 테이프 재사용을 자제하고 원본자료를 잘 저장하기 시작하는 한편, 보존 시에는 자료보존심의위원회를 거치도록 했다. SBS는 테이프 재사용 관행이 사라진 후 설립된 방송사인 것은 물론이고 아예 설립 초기부터 데이터센터를 잘 구축해놔서 유실된 테이프들이 없을 뿐더러 화질도 타 방송사들에 비해 좋은 편.[5] VHS 녹화본인데, VTR 가격이 당시 기준으로는 어마어마한 고가였던 65~80만 원대(#)였을 시절에 VTR을 구비하고 이를 통해 녹화했다는 것이다. 참고로 1981년 기준 한국노총 소속 근로자 평균 월급이 25만 원(#), 대기업 대졸 초임이 20~25만 원, 대기업 부장 월급이 약 80만 원 남짓이었던 시절이었으니, 당시 VTR은 일반 근로자의 3~4개월치 봉급으로나 살 수 있는 수준이었다. #[6] 다만 한참 후에 MBC에서 방영된 화정처럼 병자호란 당시의 상황을 지나치게 청나라에 유리하게 보는 것도 문제가 있다. 결국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은 묘사를 해야 하는 것이다.[7] 범 롯데가에 입성하면서 중도 하차.[8] 시청자가 기증한 영상이다. VHS로 녹화한 거라 화질이 매우 나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