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30 08:51:07

김진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개명 전 이름이 김진해였던 여배우에 대한 내용은 김태린(1997년 12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김진해 관련 둘러보기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KBS 로고 화이트.svg 공채 탤런트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fff> 서울중앙방송(現 한국방송공사) 탤런트
1기(1961) <colbgcolor=#ffffff,#1c1d1f>김혜자 · 박병호 · 박주아 · 양영준 · 정혜선 · 최길호 · 최정훈 · 태현실
2기(1962) 강부자 · 박규채 · 여운계 · 이묵원
3기(1963) 김민자 · 김상순 · 박근형
4기(1964) 곽경환 · 김진해 · 남일우 · 반효정 · 이일웅 · 장욱제
5기(1965) 남정임 · 백일섭 · 이신재 · 이정길 · 하명중
6기(1966) 김봉근 · 남능미 · 문오장 · 민지환
7기(1967) 김용건 · 이대근
8기(1969) 기정수 · 김병기 · 김윤경 · 김창봉 · 맹호림 · 민욱 · 윤덕용유연우
9기(1970) 김진구 · 백윤식 · 이춘식 · 이원종 · 이진숙 · 이현두 · 장학수 · 장항선 · 황범식
10기(1971) 박혜숙 · 한혜숙
한국방송공사 탤런트
1기(1973) 하미혜
3기(1976) 이한수 · 임혁
4기(1977) 서영진 · 양재성 · 유순철
5기(1978) 권기선 · 정애리
6기(1979) 김미숙 · 선우은숙 · 이덕희
7기(1980) 김선화 · 이미경 · 임혁주 · 정종준
8기(1981) 권재희 · 김현주 · 안문숙 · 장희수 · 조용원 · 주용만
9기(1982) 원석연 · 윤승원 · 이원발 · 이종남 · 이청 · 이화영 · 정복임
10기(1983) 김선영 · 김영배 · 손영춘 · 안승훈 · 양미경 · 이경영 · 이한위 · 이효정 · 장정희 · 최석구 · 최재성 · 한경선
11기(1985) 김일우 · 박진성 · 윤영주 · 정하완 · 차기환 · 한혜진
12기(1987) 이영재 · 이주경 · 최수지 · 황덕재
13기(1989) 권혁호 · 김형일 · 박은영 · 변영훈 · 정재은 · 조재현 · 지경원 · 지수원 · 진희진 · 홍륜의 · 홍일권
14기(1991) 강민석 · 곽근아 · 권병준 · 김덕현 · 김선애 · 김성희 · 김정균 · 김정난 · 김하균 · 김호진 · 노현희 · 배도환 · 손현주 · 손호균 · 오성열 · 윤아 · 윤진호 · 이병헌 · 이지형 · 임성민 · 조하나 · 최정원 · 함석훈 · 황준원
15기(1993) 강신조 · 김경응 · 김광영 · 김미라 · 김용준 · 김원배 · 김태형 · 박민아 · 박유승 · 박윤선 · 배윤진 · 손종범 · 신소민 · 오지영 · 이주화 · 임호 · 조민희
16기(1994) 김서형 · 성지은 · 윤손하 · 이병욱 · 이윤수
17기(1995) 김광필 · 박상아 · 박현정 · 송윤아 · 이형철 · 정의갑 · 정혜정 · 차태현 · 최재원 · 하다솜
18기(1996) 강경헌 · 김애란 · 김태우 · 박선영 · 신소미 · 안신우 · 유지연 · 윤지숙 · 은세연 · 이상인 · 이주현
19기(1997) 강성진 · 강양화 · 강우경 · 고세원 · 구자미 · 권이지 · 박상욱 · 박정철 · 배민희 · 서동수 · 서윤재 · 이은주 · 이칸희 · 황은하
20기(2003) 고규필 · 김하은 · 신동욱 · 이지훈 · 정겨운 · 정경호 · 지현우
21기(2008) 가득희 · 김예랑 · 김은유 · 이재우 · 지주연 · 최윤영
}}} †: 사망한 탤런트
※ 특채 탤런트, TBC 공채 탤런트는 제외
※ 나무위키 등재 인물만 기입}}}}}} ||

파일:백상예술대상로고(1).png
파일:baeksangartsawards4.png
TV 부문 남자 최우수 연기상
제12회
(1976년)
제13회
(1977년)
제14회
(1978년)
김무생
(집념)
신구
(타향)
김진해
(처용무)
한진희
(맏며느리)
최불암
(당신)
이낙훈
(천녀화)
}}} ||
파일:배우 김진해.jpg
이름 김진해(金鎭海)
출생 1941년 11월 2일
강원도 양양군 양양읍 청곡리[1]
사망 2005년 6월 26일 (향년 63세)
국적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가족 부인 강애자, 아들 김정일
학력 한양대학교 (연극영화학 / 학사)
데뷔 1964년 KBS 공채 탤런트 4기

1. 개요2. 생애3. 출연 작품
3.1. 드라마3.2. 영화3.3. 연극3.4. 광고
4. 수상 경력5. 참고 자료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배우.

2. 생애

1941년 11월 2일, 강원도 양양군 양양면 청곡리에서 부농이던 김필구의 2대 독자로 태어났다. 부친은 젊은 시절에 가난에 시달리다 만주로 가서 장사해서 돈을 벌어다가 귀국 후, 양양으로 내려가 땅을 사서 이 곳에 정착해 온 것이다. 어린 시절부터 양양초/중/고등학교를 두루 다니면서 초등학교 시절부터 학예회마다 노래와 연극을 전부 도맡아 했고, 고향이 휴전선 인근에 있어서 일선 장병 위문을 다니고 고교 시절에는 트럼펫을 불면서 예능 쪽에서 소질이 돋보이기 시작했다. 스포츠에서도 소질이 있어서 유도 및 배구선수로도 활동한 바 있다.

고교 졸업 후 상경해서 한양대학교 연극영화과를 다니며 극단 '실험극장'에서 주최한 셰익스피어 축제에서 <리어왕>에 나오는 등 연극 활동을 많이 했고, 극단 '신형무대'에도 참여한 바 있다. 1962년 제1회 전국대학TV드라마경연대회에서 한양대 대표로 나가 <광산골 이야기>란 작품에서 열연한 끝에 최우수 연기상을 수상해 자동적으로 탤런트가 됐다. 1964년, KBS 공채 4기 탤런트로 데뷔하여[2] 일요연속극 <모란이 지는 날>로 데뷔한 후, 초기에는 이남섭 작가의 작품에 많이 출연했고, 영화에서는 김응천 감독 작품에 많이 나오며 개성이 강하고 파워풀한 연기를 주로 선보였다.

그러나 지병이던 당뇨병이 점차 나빠져 2001년, 태조 왕건을 끝으로 연기 일선에서 물러났으며, 2002년에 고향으로 귀향하였다. 이후 증세가 점차 심해져 동맥경화까지 앓았다. 게다가 혈액순환 장애로 한쪽 다리를 절단했고, 2005년 3월에는 양양 고향집마저 산불 사고로 피해를 입기도 했다. 한동안 낙산요양원에서 생활해오다 5월 20일, 병세 악화로 강릉아산병원으로 옮겨졌으나 6월 26일 새벽 1시 10분에 당뇨 합병증으로 향년 63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

3. 출연 작품

3.1. 드라마

  • 1964년 모란이 지는 날 (KBS)
  • 1970년 잃어버린 휴가 (KBS)
  • 1972년 실화극장: 위조지폐 (KBS)
  • 1973~1974년 봉녀 (KBS)
  • 1974년 KBS무대: 바보용칠 (KBS)
  • 1974~1975년 삼국통일 (KBS)
  • 1975년 원당마을 (KBS)
  • 1975년 KBS무대: 상속인 (KBS)
  • 1975년 가족 (KBS)
  • 1975년 KBS무대: 초상화 (KBS)
  • 1975년 KBS무대: 학마을 사람들 (KBS)
  • 1975년 KBS무대: 나도 인간이 되련다 (KBS)
  • 1975년 희망무대: 태양을 향하여 (KBS)
  • 1975~1976년 포교 석일도 (KBS)
  • 1976년 KBS무대: 젊은 파도 (KBS)
  • 1976년 KBS무대: 한계령 (KBS)
  • 1976년 만세 (KBS)
  • 1976년 가족사진 (KBS)
  • 1976년 KBS무대: 진호네 집 (KBS)
  • 1976년 전천후 사나이 (KBS)
  • 1976년 KBS무대: 약혼녀 (KBS)
  • 1976년 KBS무대: 금메달 (KBS)
  • 1976년 KBS무대: 불볕 (KBS)
  • 1976년 KBS무대: 파도소리 (KBS)
  • 1976년 시집가는 날 (KBS)
  • 1976년 처용무 (KBS)
  • 1976년 KBS무대: 엄지발가락 (KBS)
  • 1976~1977년 왕도[3] (KBS)
  • 1977년 신춘단편문학순례: 타령 다섯마당 (KBS)
  • 1977년 신춘단편문학순례: 파류장 (KBS)
  • 1977년 일요사극 맥: 생명의 빛 (KBS)
  • 1977년 대동별곡 (KBS) - 김정호
  • 1977년 나루터 3대 (KBS)
  • 1977~1978년 행복의 문 (KBS)
  • 1977년 일요사극 맥: 불을 빚는 사람 (KBS)
  • 1978년 6.25 (KBS) - 박 포수 역
  • 1978~1979년 귀향 (KBS)
  • 1979년 조용한 함성 (KBS)
  • 1979년 창밖은 봄 (KBS)
  • 1979년 대한국인 (KBS) - 이노우에 가오루
  • 1979년 문예극장: 배따라기 (KBS)
  • 1979년 얼어붙은 산야 (KBS)
  • 1979년 문예극장: 아랑의 정조 (KBS)
  • 1979년 레만호에 지다 (KBS)
  • 1979년 문예극장: 날개 (KBS)
  • 1979년 문예극장: 수라도 (KBS)
  • 1979년 전설의 고향: 정승하소서 (KBS)
  • 1979~1980년 토지 (KBS)
  • 1979년 문예극장: 함성 (KBS)
  • 1979~1980년 두우리녀석 (KBS)
  • 1979년 전설의 고향: 불효자 다리 (KBS)
  • 1979년 문예극장: 전황당인보기 (KBS)
  • 1980년 조용한 함성 (KBS)
  • 1980년 일요사극 맥: 승자와 패자 (KBS) - 고모다 중장 역
  • 1980년 문예극장: 작은왕국 (KBS)
  • 1980년 파천무 (KBS) - 정인지 역
  • 1980년 전설의 고향: 박호방 (KBS)
  • 1980년 전설의 고향: 취적산의 원혼 (KBS)
  • 1980년 문예극장: 화수분 (KBS)
  • 1980년 문예극장: 살만한 세상 (KBS)
  • 1980년 계절풍 (KBS1)
  • 1980년 일요사극: 역관 홍순언 (KBS)
  • 1980년 일요사극: 행리 김수팽 (KBS)
  • 1980년 100분 드라마: 붉은 왕조 (KBS) - 장정항 역
  • 1981년 100분 드라마: 바람 (KBS1) - 오정국 역
  • 1981년 TV문학관: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KBS1)
  • 1981년 대명 (KBS1) - 장유 역
  • 1981년 (KBS1)
  • 1981년 그날(KBS1)
  • 1981년 TV문학관: 청산댁 (KBS1)
  • 1981년 TV문학관: 역마 (KBS1)
  • 1981년 TV문학관: 산상에 서다 (KBS1)
  • 1981년 TV 20주년 드라마 걸작집: 오늘은 왕 (KBS1)
  • 1981년 서울의 지붕밑 (KBS1) - 김장의 역
  • 1981년 TV문학관: 바우덕이 (KBS1) - 용이 역
  • 1982년 풍운 (KBS1) - 김병기 역
  • 1982년 TV문학관: 도사공 (KBS1)
  • 1982년 TV문학관: 바라암 (KBS1)
  • 1982년 TV문학관: 아름답고 착하게 (KBS1)
  • 1982년 우둥불 (KBS1) - 차일명 역
  • 1982년 새야 새야 (KBS1)
  • 1983년 개국 (KBS1) - 공양왕
  • 1983년 TV문학관: 마지막 겨울 (KBS1)
  • 1983년 안개 (KBS2)
  • 1983년 TV문학관: 강노인의 웃음 (KBS1)
  • 1983년 TV문학관: 갈매기 (KBS1)
  • 1983년 TV문학관: 카인의 후예 (KBS1) - 도섭 영감 역
  • 1983년 하늘은 알고 있다 (KBS1)
  • 1983년 TV문학관: 동행 (KBS1)
  • 1983년 그날 (KBS1)
  • 1984년 독립문 (KBS1) - 이완용
  • 1984년 TV문학관: 선창가 (KBS1)
  • 1984년 드라마게임: 새 엄마 (KBS2)
  • 1984년 청소년문학관: 마지막 여름 (KBS1)
  • 1984년 100분 드라마: 겨울에 심은 나무 (KBS1)
  • 1985년 새벽 (KBS1) - 김준연
  • 1985년 드라마게임: 반지 (KBS2)
  • 1985년 TV문학관: 수몰촌 (KBS1)
  • 1985년 TV문학관: 그 테러리스트를 위한 만사 (KBS1) - 관동군 밀정 / 유력 국회의원 역
  • 1985년 적도전선 (KBS1)
  • 1985~1986년 빛과 그림자 (KBS2)
  • 1985년 드라마게임: 소복 (KBS2)
  • 1986년 수요드라마: 동행 (KBS1)
  • 1986년 수요드라마: 화이팅 황영감 (KBS1)
  • 1986년 수요드라마: 이런 신혼여행 (KBS1)
  • 1986년 드라마게임: 껍질속의 땅콩 두알 (KBS2)
  • 1986년 드라마게임: 구석진 방 (KBS2)
  • 1986년 드라마게임: 아내는 요술장이 (KBS2)
  • 1986년 TV문학관: 수초의 노래 (KBS1)
  • 1986년 이화에 월백하고: 달빛엔 님의 향기 (KBS2) - 계석무 역
  • 1986년 그러게 말야 (KBS2)
  • 1986년 드라마게임: 끝과 시작 (KBS2)
  • 1986~1987년 남십자성 (KBS1)
  • 1986년 형사 25시: 따뜻한 겨울 (KBS2)
  • 1987년 형사 25시: 옛사랑(KBS2)
  • 1987년 드라마게임: 형제 회의 (KBS2)
  • 1987년 드라마게임: 칼날과 칼자루 (KBS2)
  • 1987년 TV문학관: 고가 (KBS1)
  • 1987년 TV문학관: 저 은하에 내 별이 (KBS1) - 강세창 역
  • 1987년 TV문학관: 아내의 노란우산 (KBS1)
  • 1987년 형사 25시: 7인의 목격자 (KBS1)
  • 1987~1993년 TV 손자병법 (KBS2) - 진산기업 사장 역
  • 1987년 월행 (KBS1)
  • 1987년 드라마게임: 꽃망울 (KBS2)
  • 1987년 형사 25시: 모(母) (KBS1)
  • 1988년 드라마게임: 겨울의 그림자 (KBS2)
  • 1988년 형사 25시: 찰거머리 (KBS2)
  • 1988년 드라마게임: 연가 (KBS2)
  • 1988년 형사 25시: 인질 (KBS2)
  • 1988년 천풍무 (KBS2) - 양 대감 역
  • 1988년 형사 25시: 심판 (KBS2)
  • 1988년 전설의 고향: 넋꽃 (KBS1)
  • 1988년 형사 25시: 한랭전선 (KBS2)
  • 1988년 드라마게임: 조약돌 (KBS2)
  • 1989년 찻잔속의 달 (KBS1)
  • 1989년 지리산 (KBS1) - 유태림의 아버지 역
  • 1989~1990년 꽃피는 둥지 (KBS2)
  • 1990년 겨울나그네 (KBS2)
  • 1990년 드라마게임: 빛과 그림자 (KBS2)
  • 1990년 왕조의 세월 (KBS1) - 나시모토노미야 모리마사 역
  • 1990년 추천석뎐 (KBS1)
  • 1990년 만석꾼 며느리 뽑기 (KBS1)
  • 1990년 드라마게임: 나비와 그물 (KBS2)
  • 1991년 춘보뎐 (KBS1)
  • 1991년 열녀, 지옥에 떨어지다 (KBS1)
  • 1991년 TV문예극장: 저 깊푸른강 (KBS1) - 아버지 역
  • 1991년 드라마게임: 행복의 주소 (KBS2)
  • 1992년 너의 이름은 효자 (KBS1)
  • 1992년 삼국기 (KBS1) - 김서현
  • 1992년 드라마게임: 어떤 걸음마 (KBS2)
  • 1992년 TV문예극장: 집 내집뿐이리 (KBS1)
  • 1992~1993년 사랑을 위하여 (KBS2) - 윤재의 아버지 역
  • 1993년 드라마게임: 꿈에서 (KBS2)
  • 1993년 MBC 베스트극장: 봄봄 (MBC) - 봉필 역
  • 1993년 파일럿 (MBC)
  • 1993년 MBC 베스트극장: 금지된 밀월 (MBC)
  • 1993년 다큐멘터리극장: 박정희 이후를 노린 사람들-10.2 항명파동 (KBS1) - 김진만 역
  • 1993년 다큐멘터리극장: 국제그룹 해체의 진상 (KBS1) - 양정모
  • 1994년 모래내에서 생긴 일 (SBS) - 김 노인 역
  • 1994년 드라마게임: 며느리는 어려워 (KBS2)
  • 1994년 무당 (KBS2)
  • 1994년 다큐멘터리극장: 신화를 만든 사람들-X카 미국상륙작전 (KBS1) - 신병현 역
  • 1994년 미스터리 멜로: 김서라의 가면유희 (KBS2)
  • 1994년 역사의 라이벌: 정몽주와 정도전 (KBS1) - 이색 역
  • 1995년 역사의 라이벌: 같은 뜻 다른 길 태조 이성계와 목은 이색 (KBS1) - 이색 역
  • 1995년 우리들의 넝쿨 (SBS) - 장 사장 역
  • 1995년 박봉숙 변호사: 이혼파티 (SBS)
  • 1995년 신세대 보고 - 어른들은 몰라요: 우리들의 반란 (KBS1)
  • 1995년 모래시계 (SBS) - 박승철 역
  • 1995년 박봉숙 변호사: 황혼의 두 신사 (SBS)
  • 1995~1996년 제4공화국 (MBC) - 신현확
  • 1995년 엘레지 (SBS)
  • 1996년 사과꽃 향기 (MBC)
  • 1996년 행복의 시작 (SBS)
  • 1996년 이야기속으로: 우리 사위는 못말려 (MBC)
  • 1996년 멸치선생의 식탁 (MBC)
  • 1996년 MBC 베스트극장: 고리 (MBC)
  • 1996~1997년 임꺽정 (SBS) - 정순붕 역
  • 1997년 테마드라마: 고랑포 가는 길 (KBS2)
  • 1997년 전설의 고향: 지네바위 (KBS2) - 의문의 백발 노인(지네) 역
  • 1997년 달팽이 (SBS) - 특별출연
  • 1999년 TV문학관: 그가 걸음을 멈추었을 때 (KBS2)
  • 2000~2001년 태조 왕건 (KBS1) - 유천궁
  • 2001년 여름이야기 (SBS) - 훈재의 할아버지 역

3.2. 영화

  • 1971년 마지막 황태자 영친왕 - 엄준원 역
  • 1971년 과객 - 일력(배철의 아들) 역
  • 1972년 신풍협객 - 왕 선인 역
  • 1972년 정과 정 사이에 - 이치카와(순임의 양아버지) 역
  • 1975년 인간단지 - 코뺑사 역
  • 1975년 꽃과 뱀 - 안동익(산부인과 의사) / 역신 역
  • 1976년 푸른 교실
  • 1977년 이 다음에 우리는
  • 1977년 고교 우량아 - 수위 영감 역
  • 1978년 시집 가는 날 - 맹 진사 역
  • 1978년 황혼 - 황복만 역
  • 1978년 청춘의 문 - 김 노인 역
  • 1978년 멋진 군인[4]
  • 1979년 땅콩껍질 속의 연가 - 사진작가 역
  • 1981년 종군수첩 - 노 중령 역
  • 1982년 경의선[5]
  • 1982년 나들이[6]
  • 1984년 내가 마지막 본 흥남 - 창식 역
  • 1985년 달빛 멜로디 - 박 영감 역
  • 1986년 가을을 남기고 간 사랑
  • 1986년 영웅연가
  • 1986년 몸 전체로 사랑을
  • 1987년 덫
  • 1991년 오엑스
  • 1993년 물랭루즈

3.3. 연극

  • 1963년 레퍼터리 - 상원의원 역
  • 1964년 리어왕 - 프랑스 왕 역
  • 1967년 모래성
  • 1976년 낙엽
  • 1986년 성춘향
  • 1986년 화니
  • 1986년 양반전
  • 1988년 신랑나이 65세
  • 1989년 아리송하네요 - 가짜 옹고집 역
  • 1994년 4월 하늘 어디에 - 이승만 역
  • 1996년 시집가는날 - 맹 진사 역

3.4. 광고

  • 1981년 종근당 낙센 '아랫목' 편 - 컬러TV 방영 초기 VTR 제작방식을 과감히 도입해 화제를 모은 작품으로, 신경통을 겪는 주인공으로 출연했다[7].
  • 1985년 종근당 낙센 '목욕탕' 편
  • 1989년 삼익제약 흑정환 '낚시' 편
  • 1989년 녹십자 치선액
  • 1990년 동화약품 락테올 '나빠진 장' 편

4. 수상 경력

  • 제1회 전국대학TV드라마경연대회 최우수 연기상 (1962)
  • 제13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최우수연기상 (1977, 처용무)
  • KBS 방송대상 조연상 (1977)

5. 참고 자료



[1] 1977년 동아일보 기사.[2] 다만 <TV가이드> 1982년 제40호 기사에선 특채되었다고 나와 있다.[3] 1991년 대하드라마와 다른 여말선초 사극.[4] 군사교육 영화.[5] 국방부 국방홍보원 제작.[6] 문화영화.[7] 광고 방영 당시 그야말로 컬트적인 인기를 끌었다. 아랫목을 찾아 들어간 후 “어이구, 설설 끓는구나”라고 한 대사가 압권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