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7-02 19:22:24

김서현(신라)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F3268, #3d428b 20%, #3d428b 80%, #2F3268); color:#fbe673"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be673> 금관가야
<rowcolor=#fbe673>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수로왕 거등왕 마품왕 거질미왕 이시품왕
<rowcolor=#fbe673>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좌지왕 취희왕 질지왕 겸지왕 구형왕
<rowcolor=#fbe673> 봉사손 봉사손 봉사손 봉사손 봉사손
김세종 김솔지 김무력 김서현 김유신
<rowcolor=#fbe673> 대가야
<rowcolor=#fbe673> 초대 계보 미상 제?대 제?대 제?대
이진아시왕 금림왕 기본한기 하지왕
<rowcolor=#fbe673> 계보 미상 제9대 계보 미상 제16대 태자
이뇌왕 도설지왕 월광태자
<rowcolor=#fbe673> 소가야(족보상 언급)
<rowcolor=#fbe673>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말로왕 대아왕 미추왕 소간왕 아도왕
<rowcolor=#fbe673>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질노왕 거아왕 달나왕 이형왕
<rowcolor=#fbe673> 아라가야 탁순국 탁국
<rowcolor=#fbe673> 제?대 제?대 말대 제?대 말대
가실왕 말금한기 아리사등 기능말다간기 함파한기
}}}}}}}}}}}}

금관가야 구형왕의 손자
김서현 | 金舒玄
이름 서현(舒玄) / 소연(逍衍) / 서운(庶云)
출생 574년
사망 미상
본관 김해 김씨
아버지 김무력
배우자 만명부인
자녀 슬하 2남 2녀
아들 - 김유신, 김흠순
딸 - 김보희, 문명왕후
관등 소판(蘇判)
각간(角干)
골품 진골
직위 만노군 태수(萬弩郡 太守)
대량주 도독(大梁州 都督)
양주 총관(良州 摠管)
안무대량주제군사(安撫大梁州諸軍事)
1. 개요2. 생애3. 기타4. 대중매체에서

[clearfix]

1. 개요

김무력의 아들로 금관가야의 왕족 출신의 신라 귀족이자 관료, 군인. 금관가야 수로왕의 12세손이자 마지막 임금 구형왕의 손자다. 아내는 만명부인, 아들로는 신라의 장수로 활약한 김유신, 김흠순이 있으며, 나중에 태종 무열왕에 오르는 김춘추의 장인이기도 하다. 생몰년 미상.

삼국사기를 편찬한 김부식이 살았던 고려 중기까지는 김유신묘 앞에 남아있었던[1] 비문에는 아버지인 그의 이름이 '소연(逍衍)'이라고 적혀 있다고 삼국사기 김유신 열전은 기록하고 있지만 김부식은 "서현이 고친 이름인지, 소연이 그의 자인 건지 어떤 게 맞는지 몰라서 일단 둘 다 기록한다"고 밝히고 있다. 서현과 소연의 음운이 비슷하기 때문에 이병도 등 학자들은 같은 이름의 다른 표기일 가능성도 높다고 보았다.

2. 생애

서현은 신라 왕족 여성인 만명과 서로 사랑해서 결국 중매도 서지 않고 선을 넘었는데[2] 열전에 따르면 서현이 만노군(현 충북 진천군) 태수로 임명되고 나서 만명의 아버지 숙흘종이 둘의 관계를 알아차리고 만명을 별채에 감금했다. 그러나 만명은 별채에서 탈출하여 서현과 함께 만노군으로 야반도주를 해버리고 말았다.
그러므로 이 두 사람의 결합은 굉장한 물의를 빚을 수밖에 없었다. 일단 김서현의 골품이 일단 진골이긴 했으나, 이는 김서현의 할아버지인 금관국의 구형왕이 자진해서 신라에 항복하고 받은 골품으로서 당대 신라인들은 명예 진골 수준으로 밖에 여기지 않았다. 허나 만명의 부친인 숙흘종은 무려 진흥왕의 친동생, 즉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왕실 직계인 성골이었다. 숙흘종도 성골과 혼인했을 것이니 그 딸이면 역시 성골일 터, 만명은 왕비가 될 수도 있는 최고위 신분의 여성이었던 것. 그리고 신라 사회에서는 훗날 조선왕조와 달리 사위도 가문과 왕위를 계승할 권리가 있는 것으로 여겨졌기 때문에 이렇게 한 단계도 아니고 두 단계 이상 차이가 나는 가문끼리 결합을 하는 것은 상당히 문제가 있었다. 당연히 이런 상황에선 숙흘종이 서현과 만명의 혼인을 허락할 리 없다. 즉 야합을 한 것 그 자체보다는, 전근대 신분제 사회에서 왕족 여성이 그보다 낮은 계급의 남성과 야합과 가출까지 할 정도로 귀천상혼을 밀어붙인 것이 사회적 파장을 일으키지 않을 도리가 없었던 것.

아무튼 공주급인 여자왕자급인 남자가 눈이 맞아서 사랑의 도피를 했다는 점 때문에 서동 설화에 관한 가설 중에는 이 사건이 남자의 출신만 가야에서 백제로 와전되어 노래 서동요가 되었다는 이야기도 있다. 이 사랑의 도피와 관련된 설화가 따로 있는데, 숙흘종이 서현을 멀리 신라의 변방인 만노군[3]을 다스리는 태수로 보내버리고 만명을 가두었는데, 어느날 폭풍우가 일어나서 문이 벼락이 떨어져 박살나자 그 틈을 노려 만명이 서현에게 도망갔다고 한다.

삼국사기에서도 김유신을 낳은 뒤에는 숙흘종에게 어찌어찌 인정을 받았는지 김서현은 결혼을 인정받고, 이후 지금의 합천군대량주의 도독, 지금의 양산시인 양주 총관직 등 지방직을 몇 차례 역임했다. 그리고 아버지 김무력이나 아들 김유신의 파격적인 전공에 비해서는 좀 묻히긴 하지만 그 역시 장군이 되어, 백제와 여러 차례 싸워 예봉을 꺾는 전공을 세웠고 진평왕 대인 629년, 김용춘김유신 등과 함께 고구려의 낭비성(娘臂城)을 공격한 낭비성 전투에서, 5,000여 명을 참살하고 성을 함락시키는 전과를 올렸다는 기록이 있다.[4]

사돈인 김용춘이 645년까지 살아 있었다는 것이 확인되는 것에 반해 김서현은 낭비성 전투 이후 역사 기록에서 등장하지 않는다.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했거나 좀 더 살았다면 선덕여왕 재위 중에 사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아들 김유신이 압량주(지금의 경상북도 경산시) 군주로 임명되는 서기 642년 이전에는 사망했을 가능성이 높다.

묻힌 장소는 알려져있지 않은데, 양산시 북정리 고분군의 부부총을 일제강점기에 조사한 결과 격이 높은 부장품이 대량으로 출토되어 경주에서나 볼 수 있는 고위 귀족급 신라식 무덤인데다 이 고분군이 가야 양식도 약간 섞여 있다고 볼 여지가 있어서[5] 김서현과 만명부인의 묘가 아니냐는 설이 제기되기도 했었다.[6] 그러나 연대가 맞지 않아 부부총의 주인이 김서현 부부일 가능성은 낮다고 한다. 아무튼 양주 총관을 역임했다는 기록 때문인지 양산에서는 늦어도 조선시대부터 김서현의 제사를 지내는 사당이 있었고 지금도 양산 취산재에서 영정을 모시고 제향을 지내고 있다.

3. 기타

  • <화랑세기>에서는 가야계라서가 아니라 김서현의 어머니 아양공주가 대원신통이기 때문에 진골 정통인 만명부인의 어머니 만호태후가 둘 사이를 반대했다고 한다. 그 때문에 도피해 결혼한 후 오랫동안 출세길이 막혔으나 만호태후가 사위로 인정한 후에 출세하기 시작해 신라 중앙에서 상당한 힘을 갖게 되었다고 한다. <화랑세기> 이외에는 김서현의 모친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기록은 없지만 정황상 신라의 진골 귀족일 가능성이 높다.

4. 대중매체에서

4.1. 삼국기

93년 KBS 에서 방영했던 삼국기에서 배우 김진해[9]가 열연했다.

4.2. 연개소문

2006년 SBS 드라마 <연개소문>에서는 배우 박상규[10]가 연기했다. 이 드라마에서는 주요 인물들이 서로 얽힌 인연을 부각시키기 위해 신채호가 <조선상고사>에서 소개한 갓쉰동전의 이야기를 일부 채용해 어린 연개소문이 김서현의 집에서 김유신, 김흠순 형제의 몸종으로 일한 것으로 나온다.

4.3. 선덕여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김서현(선덕여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4. 대왕의 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김서현(대왕의 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지금은 찾지 못하고 있다. 현재 김유신묘 앞에 있는 비석은 하나는 조선시대에, 하나는 현대에 만든 것이다.[2] 야합(野合)했다고 적고 있는데, 부부가 아닌 남녀가 성관계를 맺었다는 의미이다.[3] 오늘날의 충청북도 진천군이다.[4] 참고로 낭비성의 위치 논쟁은 6~7세기 한국사의 중요한 떡밥 중 하나인데 경기도 포천시 일대라는 설과 충청북도 청주시 일대라는 설이 대립 중이다. 만약 낭비성을 청주로 비정한다면 6~7세기 삼국의 판도가 우리가 흔히 아는 구도와 상당히 다르게 된다.[5] 부산, 양산지역 고분군이 원래 경주 신라 양식과 김해 가야 양식이 동시에 나타나는 편이다.[6] 참고로 이 부부총 출토 유물은 일제가 반출해 현재 도쿄국립박물관에 전시 중이다.[7] 이 또한 상당한 계급 차이를 뛰어넘고 이루어진 혼인이다. 김춘추는 진골, 문명왕후는 금관가야 출신이었으므로 성사되기 어려운 일이었으나 김춘추의 속도위반과 기회를 놓치지 않은 김유신의 불꽃 쇼맨십으로 이루어질 수 있었다. 훗날 이 둘의 은 또다시 신분차이를 뛰어넘어 승려였던 원효와 연을 맺게 되고, 이 둘 사이에서 태어난 자식이 바로 설총이다.[8] 후에 보희가 태종 무열왕의 첩이 되어 아들 둘을 뒀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이는 위서 논란이 있는 <화랑세기> 필사본의 내용이다.[9] 태조 왕건에서 유천궁(왕건 첫째 부인 父) 역을 맡았다.[10] <태조 왕건>에서는 명주성주 김순식 역, <해신>에서는 흥덕왕 역, <광개토태왕>에서는 진사왕 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