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4 15:04:36

민지환


파일:KBS 로고 화이트.svg 공채 탤런트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fff> 서울중앙방송(現 한국방송공사) 탤런트
1기(1961) <colbgcolor=#ffffff,#1c1d1f>김혜자 · 박병호 · 박주아 · 양영준 · 정혜선 · 최길호 · 최정훈 · 태현실
2기(1962) 강부자 · 박규채 · 여운계 · 이묵원
3기(1963) 김민자 · 김상순 · 박근형
4기(1964) 곽경환 · 김진해 · 남일우 · 반효정 · 이일웅 · 장욱제
5기(1965) 남정임 · 백일섭 · 이신재 · 이정길 · 하명중
6기(1966) 김봉근 · 남능미 · 문오장 · 민지환
7기(1967) 김용건 · 이대근
8기(1969) 기정수 · 김병기 · 김윤경 · 김창봉 · 맹호림 · 민욱 · 윤덕용 · 유연우 · 이병철
9기(1970) 김진구 · 백윤식 · 이춘식 · 이원종 · 이진숙 · 이현두 · 장학수 · 장항선 · 황범식
10기(1971) 박혜숙 · 한혜숙
한국방송공사 탤런트
1기(1973) 하미혜
3기(1976) 이한수 · 임혁
4기(1977) 서영진 · 양재성 · 유순철
5기(1978) 권기선 · 정애리
6기(1979) 김미숙 · 선우은숙 · 이덕희
7기(1980) 김선화 · 이미경 · 임혁주 · 정종준
8기(1981) 권재희 · 김현주 · 안문숙 · 장희수 · 조용원 · 주용만
9기(1982) 원석연 · 윤승원 · 이원발 · 이종남 · 이청 · 이화영 · 정복임
10기(1983) 김선영 · 김영배 · 손영춘 · 안승훈 · 양미경 · 이경영 · 이한위 · 이효정 · 장정희 · 최석구 · 최재성 · 한경선
11기(1985) 김일우 · 박진성 · 윤영주 · 정하완 · 차기환 · 한혜진
12기(1987) 이영재 · 이주경 · 최수지 · 황덕재
13기(1989) 권혁호 · 김형일 · 박은영 · 변영훈 · 정재은 · 조재현 · 지경원 · 지수원 · 진희진 · 홍륜의 · 홍일권
14기(1991) 강민석 · 곽근아 · 권병준 · 김덕현 · 김선애 · 김성희 · 김정균 · 김정난 · 김하균 · 김호진 · 노현희 · 배도환 · 손현주 · 손호균 · 오성열 · 윤아 · 윤진호 · 이병헌 · 이지형 · 임성민 · 양혜진 · 조하나 · 최정원 · 함석훈 · 황준원
15기(1993) 강신조 · 김경응 · 김광영 · 김미라 · 김용준 · 김원배 · 김태형 · 박민아 · 박유승 · 박윤선 · 배윤진 · 손종범 · 신소민 · 오지영 · 이주화 · 임호 · 조민희
16기(1994) 김서형 · 성지은 · 윤손하 · 이병욱 · 이윤수
17기(1995) 김광필 · 박상아 · 박현정 · 송윤아 · 이형철 · 정의갑 · 정혜정 · 차태현 · 최재원 · 하다솜
18기(1996) 강경헌 · 김미성 · 김애란 · 김태우 · 박선영 · 신소미 · 안신우 · 유지연 · 윤지숙 · 은세연 · 이상인 · 이주현
19기(1997) 강성진 · 강양화 · 강우경 · 고세원 · 구자미 · 권이지 · 박상욱 · 박정철 · 배민희 · 서동수 · 서윤재 · 안홍진 · 이은주 · 이칸희 · 황은하 · 구본영
20기(2003) 고규필 · 김하은 · 신동욱 · 이지훈 · 정겨운 · 정경호 · 지현우
21기(2008) 가득희 · 김예랑 · 김은유 · 이재우 · 지주연 · 최윤영
}}} †: 사망한 탤런트
※ 특채 탤런트, TBC 공채 탤런트는 제외
※ 나무위키 등재 인물만 기입}}}}}} ||
파일:배우 민지환.jpg
성명 민지환(閔智煥)[1]
본관 여흥 민씨[2]
출생 1937년 8월 16일 ([age(1937-08-16)]세)
강원도 원성군
학력 한국연극아카데미[3] (연기과 / 졸업)
데뷔 1967년 KBS 특채 탤런트
가족 부인 정명자, 슬하 1남 2녀 아들 민준호[4]
종교 가톨릭 (세례명: 대건 안드레아)
1. 개요2. 일생3. 출연작
3.1. 드라마/시트콤3.2. 연극3.3. 영화
4. 수상 경력5. 출처

1. 개요

대한민국배우.

2. 일생

1937년 강원도 원성군에서 태어나 서울 충신동으로 이주했다. 3살 때 생모와 헤어지고[5] 9살 때 아버지도 여의자 삼촌들로부터 키워졌는데, 특히 친할머니의 사랑을 듬뿍 받았다. 재동국민학교 입학 후 학예회에서 두각을 드러내서 친구들과 함께 극단 비슷한 거 만들어 공연하기도 했으나 고등학교 때 다섯 번 옮겨 다니면서 악동 기질로 살아왔고, 19세 때 군 입대 후에도 여전한 행보를 보이며 당초 군대에 말뚝박을 생각이었다. 그러다가 할머니의 죽음을 전해 듣고서야 할머니의 가르침대로 역경을 딛는 훌륭한 사람이 되기로 결심, 제대 후 삼촌들의 레코드 사업을 돕다 1962년 한국연극아카데미 1기생으로 입학하여 유치진으로부터 장학생으로 뽑혀 학비 면제로 2년을 마쳤는데 책값을 벌고자 막노동까지 하기도 했다.

1964년 졸업 후 극단 '드라마센터'에 입단하여 연기에 입문, 특히 1965년 <풍운아 나운규>에선 나운규 연기를 실감나게 해서 나운규의 친구 윤봉춘을 반색케 했고 1967년 <인간적인 실로 인간적인>에서 열연 덕에 제3회 동아연극상 조연남우상을 받아 실력을 인정받았으며 같은 해 국립극단으로 옮겨 1973년까지 몸담으며 <환상살인(1969)>, <원술랑(1970)> 등지에서 주연을 맡기도 했다.

당초 연극만 하고자 했던 그는 생계를 위해 1967년 KBS 탤런트로 특채되어 '민지환'이란 예명을 쓰기 시작, 1974년 <꽃피는 팔도강산>에서 한혜숙과 같이 연기하면서 브라운관에서도 인기를 구가해 1973년 및 1975년 백상예술대상 인기상을 각각 두 차례 받았다. 또한 1974년 영화 <국회푸락치>에도 캐스팅되어 은막에 진출하기도 했다. 1980년 김인태, 남일우, 이신재, 이종만, 민욱, 이정길 등과 함께 극단 '사조' 창단에도 참여하기도 했으며 1990~2000년대 들어서도 <여명의 눈동자>, <태조 왕건>, <태풍>, <디워> 등에서도 식지 않는 연기혼을 과시했으며 2007년 영화 <바르게 살자>에서 수뢰 도지사 역으로 특별출연 후 열연하면서 천만 관객 달성에 기여해 '천만 배우' 반열에 들기도 했다.

3. 출연작

3.1. 드라마/시트콤

  • 1971년 KBS 사랑의 훈장
  • 1971~1972년 KBS 귀로
  • 1971~1972년 KBS 고전시리즈: 심청전
  • 1971~1972년 KBS 북간도
  • 1972년 KBS 고전시리즈: 허생전
  • 1972년 KBS 그 얼굴에 햇살을
  • 1972년 KBS 실화극장: 야간비행
  • 1972년 KBS 임진왜란
  • 1972년 KBS 고향
  • 1972년 KBS무대: 밤나무골
  • 1972년 KBS 실화극장: 위조지폐
  • 1973년 KBS 세종대왕
  • 1974년 KBS 이율곡
  • 1974년 KBS 아! 기미년 3월1일
  • 1974~1975년 KBS 꽃피는 팔도강산
  • 1976년 KBS 전천후사나이
  • 1977년 KBS 일요사극 맥: 광야의 별 - 윤관 역
  • 1978년 KBS 6.25 - 한 국장 역
  • 1978년 KBS 팔베개
  • 1979년 KBS 대한국인 - 안창호
  • 1979년 KBS 낯설은 골짜기
  • 1979년 KBS 토지 - 칠성이 역
  • 1979년 KBS 일요사극 맥: 벼랑 위의 파수병 - 이승만 역
  • 1980년 KBS 파천무 - 일연 역
  • 1980년 KBS 순교자 - 고 군목 역
  • 1980년 KBS2 TV문학관: 을화
  • 1980~1981년 KBS2 달리는 사람들
  • 1981년 KBS1 TV문학관: 삼포 가는 길
  • 1981년 KBS1 TV문학관: 잃어버린 사람들 - 어부 역
  • 1981년 KBS1 얼굴
  • 1982년 KBS1 TV문학관: 심마니
  • 1982년 KBS1 풍운 - 김병국
  • 1982년 KBS1 TV문학관: 바닷가 소년
  • 1982년 KBS1 맥토
  • 1983년 KBS1 어머님 날 낳으시고
  • 1983년 KBS1 TV문학관: 늪에서 나온 사람
  • 1983년 KBS1 TV문학관: 동행
  • 1983년 KBS2 객주
  • 1984년 KBS1 독립문 - 박영효
  • 1984년 KBS1 전쟁 6.25
  • 1984년 KBS1 휴전 6.25 - 남일
  • 1984년 KBS1 TV문학관: 머무를 수 없는 여자
  • 1984년 KBS2 봉선화
  • 1984년 KBS1 TV문학관: 감자
  • 1985년 KBS1 오성장군 김홍일 - 김홍일
  • 1985년 KBS1 새벽 - 김삼룡
  • 1985년 KBS1 고향
  • 1985년 KBS1 TV문학관: 너무 큰 나무
  • 1986년 KBS1 TV문학관: 불
  • 1986년 KBS2 형사: 계절풍
  • 1986년 KBS1 선구자: 거인의 길 - 맹사성 역
  • 1986년 KBS2 길손
  • 1986년 KBS2 형사: 꿈꾸는 계절
  • 1986년 KBS2 형사: 타인의 달
  • 1986년 KBS1 초혼가
  • 1986~1987년 KBS1 남십자성 - 주 싱가포르 북한대사관 총참사 역
  • 1986년 KBS1 TV문학관: 찬란한 슬픔
  • 1987년 KBS1 TV문학관: 겨울바다 갈매기
  • 1987년 KBS1 TV문학관: 사랑이 보입니까
  • 1987년 KBS1 TV문학관: 냄새
  • 1987년 KBS1 토지 - 김영팔 역
  • 1987년 KBS2 형사 25시: 불가사리
  • 1987년 KBS1 드라마초대석: 아버지의 강
  • 1988년 KBS2 형사 25시: 삼만으리소의 비밀(2부작)
  • 1989년 KBS2 천명
  • 1989년 KBS1 바람과 구름과 비 - 민치구
  • 1990년 KBS1 잃어버린 섬
  • 1990년 KBS1 서울뚝배기 - 장씨 역
  • 1990년 KBS1 왕조의 세월 - 혼인청 관리 역
  • 1991년 MBC 여명의 눈동자 - 이시이 시로
  • 1991년 MBC 베스트극장: 달 - 정 주부 역
  • 1991년 KBS2 TV 손자병법: 사부님
  • 1991년 KBS1 TV문예극장: 불항아리
  • 1992년 KBS2 TV 손자병법: 쌀밥 콩밥
  • 1992년 MBC 전원일기: 종술씨 - 종술 역
  • 1993년 MBC 야등이
  • 1993년 KBS2 비가비: 산울음 - 허 참판 역
  • 1993년 KBS1 먼동 - 사이토 역
  • 1993년 KBS2 TV 손자병법: 남자가 떠나고 싶을때
  • 1993년 KBS2 기쁨이면서 슬픔인 채로
  • 1993년 KBS1 다큐멘터리극장: 부산 정치파동과 이승만 제거계획
  • 1993년 KBS1 다큐멘터리극장: 귀하신 몸 - 곽영주 역
  • 1993년 KBS1 다큐멘터리극장: 국제그룹 해체의 진상 - 손상모 역
  • 1993년 KBS1 다큐멘터리극장: 유신시대-YH 사건 - 이순구 역
  • 1993년 KBS1 다큐멘터리극장: 유신시대-유고 - 노재현
  • 1993년 KBS1 다큐멘터리극장: 마카리오 장을 아십니까 - 황성수 역
  • 1993년 KBS1 다큐멘터리극장: 12.12(2부작) - 노재현 역
  • 1994년 KBS1 다큐멘터리극장: 정치암살의 희생자들-고하 송진우 - 신익희 역
  • 1994년 MBC 아담의 도시
  • 1994년 KBS1 다큐멘터리극장: 신화를 만든 사람들-X카 미국상륙 작전 - 박병재 역
  • 1995년 KBS2 가면속의 천사
  • 1995년 SBS 모래시계
  • 1995년 MBC 제4공화국 - 윤필용
  • 1996년 KBS2 프로젝트
  • 1996년 MBC 전원일기: 봄손님 - 순구 역
  • 1996년 MBC 강력반: 함정
  • 1998년 KBS1 왕과 비 - 유순 역
  • 1998년 SBS 순풍산부인과 - 황성복 역
  • 2001년 KBS2 천둥소리 - 김제남 역
  • 2001년 KBS1 태조 왕건 - 김행선
  • 2001년 KBS2 명성황후 - 육의전 대행수 역
  • 2002년 EBS 역사극장: 권력 독점의 최후, 세도정치가 홍국영 - 영조 역
  • 2003년 EBS 역사극장 - 태종 역
  • 2004년 SBS 장길산
  • 2005년 MBC 제5공화국 - 윤필용
  • 2006년 CPBC 성 김대건 - 이지연 역
  • 2008년 CPBC 땀의 순교자 탁덕 최양업 - 최경환 역
  • 2009년 CPBC 김수환 추기경에 관한 마지막 보고서 - 공안 당국자 역

3.2. 연극

  • 1964년 춘향전
  • 1964년 오셀로
  • 1965년 철새
  • 1965년 수치
  • 1965년 풍운아 나운규 - 나운규 역
  • 1966년 담배내기
  • 1966년 나도 인간이 되련다
  • 1966년 포기와 베스
  • 1967년 산하는 다시 푸르러지리
  • 1967년 출발
  • 1967년 갈가마귀
  • 1967년 이름없는 꽃들
  • 1967년 인간적인 실로 인간적인 - 한석진 역
  • 1967년 이끼 낀 고향에 돌아오다 - 김 전사 역
  • 1968년 임금놀이
  • 1968년 북간도 - 이창덕 역
  • 1968년 동굴
  • 1968년 환절기
  • 1968년 동트는 새벽에 서다 - 윤영식 역
  • 1969년 여왕과 기승 - 염종 역
  • 1969년 환상살인 - 성민주 역
  • 1969년 한산섬 달 밝은 밤에 - 이영남 역
  • 1970년 인종자의 손 - 동수 역
  • 1970년 원술랑
  • 1970년 인조인간 - 푸리무스 역
  • 1971년 사랑
  • 1971년 신라인
  • 1971년 달집 - 원식 역
  • 1972년 환상여행 - 안상일 역
  • 1972년 포로들 - 박사현 역
  • 1972년 꽃상여 - 민수 역
  • 1972년 송학정 - 경수 역
  • 1973년 성웅 이순신 - 진린 역
  • 1974년 활화산 - 용 역
  • 1974년 남한산성 - 김상헌 역
  • 1975년 징비록 - 호탁 역
  • 1975년 한강은 흐른다 - 정철 역
  • 1976년 귀족이 될뻔한 사나이 - 철학선생 역
  • 1979년 님의 침묵 - 한용운 역
  • 1981년 학이여 사랑일래라
  • 1984년 하늘에 꽃피우리
  • 1984년 춘향전 - 허 봉사 역
  • 1988년 전봉준
  • 1994년 결혼이란 세금같은 거 아녜요?
  • 2005년 세일즈맨의 죽음
  • 2010년 레인맨 - 월터 브루너 역

3.3. 영화

  • 1970년 미행자 - 최치한 역
  • 1972년 정따라 웃음따라 - 배원석 역
  • 1973년 언제나 님과 함께
  • 1973년 서울에서 온 편지[A]
  • 1974년 잊지 못할 모정 - 형근(미술교사) 역
  • 1974년 국회푸락치
  • 1974년 새마을 가족[A] - 복동 역
  • 1976년 석별 - 허준 역
  • 1976년 위험한 여자 - 치호 역
  • 1976년 과거는 왜 물어 - 창호 역
  • 1978년 이 한몸 다 바쳐 - 홍근 역
  • 1978년 내일을 위해 산다[8]
  • 1979년 학을 그리는 여인
  • 1979년 전기안전[A]
  • 1981년 여명[A]
  • 1984년 사약 - 수양대군 역
  • 1989년 89 인간시장 오! 하나님... - 신대평 역
  • 1990년 그날은 푸른 하늘[11]
  • 1991년 인간시장 3 - 신 회장 역
  • 1994년 라이 따이한 - 재국 역
  • 2005년 태풍 - 박완식 역
  • 2006년 거룩한 계보 - 김영희 역
  • 2007년 D-WAR - 보천 대사 역
  • 2007년 바르게 살자 - 도지사 역(특별출연)
  • 2009년 굿모닝 프레지던트 - 이민재 역
  • 2017년 특별시민 - 봉 의원 역(특별출연)

4. 수상 경력

  • 1968년 제4회 동아연극상 남자 연기상 (인간적인 진실로 인간적인)
  • 1975년 제11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애독자인기상

5. 출처

  • 한국영상자료원 KMDb 항목
  • <주간여성> 1976년 제364호(1월 25일) '스타 사생활: 조실부모, 고난 딛고 가불결혼하면서 인기 탤런트 된 민지환 편' p42~46.
  • <주간여성> 1976년 제379호(5월 9일) '37년전 이혼, 눈물 삼키며 현해탄 건너' p23~24.

[1] 개명 전 이름은 민승원[2] 개명 전 이름인 민승원(閔承源)은 늑암공파 30세 승(承)자 항렬을 쓰며, 현재 이름인 지환은 자(字)라고 기재되어 있다. 다음은 이하 출처 사진이다. 파일:민승원 족보 1.png파일:민승원 족보 2.png[3] 62학번 1기생으로, 동기로는 배우 신구, 전무송, 이호재, 전양자, 반효정 등이 있다.[4] 이 중 유일한 아들인 민준호는 아버지처럼 배우로 활동 중이다.[5] 이후 생모는 일본으로 건너가 1년 후 아들을 또 낳았고, 1967년에 일본에서 거주한다는 사실이 확인되어 서신 왕래를 해 오다 1976년에야 NHK 등 일본 공/민영방송사 제작현황 시찰차 출국 후 상봉했다.#[A] 문화영화.[A] 문화영화.[8] 수협중앙회 공제사업 홍보 영화.[A] 문화영화.[A] 문화영화.[11] 경찰 홍보영화. 1990년 경찰의 날 특집으로 MBC에서 방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