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c00d45,#c00d45><colcolor=#f0ad73,#f0ad73> 조선 좌·우의정 순조 ~ 고종 | ||||||||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calc(1.5em + 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좌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제306대 이시수 | 제307대 서용보 | 제308대 이시수 | 제309대 서매수 | |||||
제310대 이경일 | 제311대 한용구 | 제312대 서용보 | 제313대 이시수 | |||||
제314대 김재찬 | 제315대 한용구 | 제316대 김재찬 | 제317대 김사목 | |||||
제318대 남공철 | 제319·320대 이상황 | 제321대 이존수 | 제322-324대 이상황 | |||||
제325대 심상규 | 제326대 홍석주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제326대 홍석주 | 제327대 박종훈 | 제328대 김홍근 | |||||
제329대 정원용 | 제330대 권돈인 | 제331·332대 김도희 | }}} | |||||
제331·332대 김도희 | 제333대 정원용 | 제334대 김흥근 | 제335대 박영원 | |||||
제336대 이헌구 | 제337대 김도희 | 제338대 조두순 | 제339대 박회수 | |||||
제340대 조두순 | 제341대 박회수 | 제342대 조두순 | 제343대 조두순 | |||||
제344대 이유원 | 제345대 김병학 | 제346대 강로 | 제347대 이최응 | |||||
제348·349대 김병국 | 제350대 송근수 | 제351대 김병국 | 제352대 이재원 | |||||
제353대 김홍집 | 제354대 김병시 | 제355대 김홍집 | 제356대 김병시 | |||||
제357대 김홍집 | 제358대 조병세 | |||||||
<colbgcolor=#c00d45,#c00d45> 역대 좌·우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
역대 영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우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제340대 서용보 | 제341대 김관주 | 제342대 이경일 | 제343대 김달순 | |||||
제344대 서용보 | 제345대 김재찬 | 제346대 김사목 | 제347대 남공철 | |||||
제348대 임한호 | 제349대 이서구 | 제350대 심상규 | 제351대 이존수 | |||||
제352대 정만석 | 제353대 김이교 | 제354·355대 박종훈 | ||||||
제354·355대 박종훈 | 제356대 이지연 | 제357대 조인영 | 제358대 정원용 | |||||
제359대 권돈인 | 제360대 김도희 | 제361대 박회수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제362대 박영원 | 제363대 김좌근 | 제364-366대 조두순 | }}} | ||||
제367대 이경재 | 제368대 임백경 | 제369대 류후조 | 제370대 홍순목 | |||||
제371대 한계원 | 제372대 박규수 | 제373대 김병국 | 제374대 김병덕 | |||||
제375대 심순택 | 제376대 홍영식 | 제377대 김병시 | 제378대 김유연 | |||||
제379-382대 조병세 | 제378대 정범조 | |||||||
<colbgcolor=#c00d45,#c00d45> 역대 좌·우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
역대 영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 |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0ad73> 조선 우의정 정익공(貞翼公) 김유연 金有淵 | |
출생 | 1819년(순조 19) |
사망 | 1887년(고종 24)[1] |
시호 | 정익(貞翼)[2] |
본관 | 연안(延安)[3] |
자 | 원약(元若) |
호 | 약산(藥山) |
부모 | 부친 - 김형(金鑅)[4][5] 모친 정경부인 심씨(貞敬夫人 沈氏)[6] |
형제 | 남매 - 이승로(李承老)[7]의 처 |
배우자 | 정경부인[8] 서씨(貞敬夫人 徐氏)[9] |
정경부인 이씨(貞敬夫人 李氏)[10] | |
자녀 | 양자 - 김만수(金晚秀)[11] |
조상 | 고조부 - 김상석(金相奭) 증조부 - 김구(金煹)[양], 김익(金熤)[친] 조부 - 김재옥(金載玉)[양], 김재찬(金載瓚)[친] |
1. 소개
1. 소개
조선 후기의 문신.[1] 고종실록 24권, 판중추부사 김유연이 졸하다[2] 고종실록 25권, 봉조하 이유원 등에게 시호를 내리다 : (전략) 우의정 김유연(金有淵)에게 정익(貞翼), (중략) 라는 시호를 주었다.[3] 대장군공계(大將軍公系) 내자시윤공파(內資寺尹公派)-약현종중(藥峴宗中) 21세 ○연(淵) 항렬. 20세인 부친은 쇠금변(金邊, 釒)항렬이다.[4] 본래 김재찬(金載瓚)의 장남으로, 김재찬의 사촌 형제 김재옥(金載玉)에게 출계하여 양자가 되었다.[5] 鑅은 종소리 횡자이지만, 연안 김씨 족보에는 이 글자를 이름자로 쓰는 김유연의 아버지의 이름이 형이라 적혀 있다.[6] 본관은 청송(靑松), 현감 심래영(沈來永)의 딸.[7] 군수, 본관은 한산(韓山).[8] 추증됨.[9] 본관은 달성, 이조판서 서능보(徐能輔)의 딸.[10] 본관은 전주[11] 생부 김칠연(金七淵)[양] 김유연의 아버지 김형의 양부는 김재옥, 양조부는 김구이고, 증조부는 김상석이다.[친] 김유연의 아버지 김형의 친부는 김재찬, 친조부는 김익이고, 증조부는 김상석이다.[양] [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