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4 19:57:15

김증한

{{{#!wiki style="margin: -15px -10px -2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3%"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 파일:정부상징.svg}}}{{{#!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57%"<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3764><tablebgcolor=#003764>교육부차관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문교부차관 (1948~1990)
<nopad> 이승만 정부
초대
문장욱
제2대
박종만
제3대
최규남
제4대
고병간
제5대
허증수
<nopad> 이승만 정부 <nopad> 허정 내각 <nopad> 장면 내각
제6대
김호식
제7대
고광만
제8대
김선기
제9대
이항녕
제10대(정무)
윤택중
<nopad> 장면 내각 <nopad> 송요찬 내각 <nopad> 김현철 내각
제10대(사무)
서명원
제11대(정무)
민장식
제12대
이민재
제13대
이승우
제14대
윤태림
<nopad> 박정희 정부
제15대
윤태림
제16대
최형규
제17대
홍종철
제18대
한상봉
제19대
성동준
<nopad> 박정희 정부
제20대
김증한
제21대
박희범
제22대
김도창
제23대
심창유
제24대
조성옥
<nopad> 박정희 정부 <nopad> 최규하 정부
제25대
고광득
제26대
장인숙
제27대
김형기
제28대
이상규
제29대
김판영
<nopad> 전두환 정부 <nopad> 노태우 정부
제30대
정태수
제31대
정희채
제32대
김찬재
제33대
김상준
제34대
장병규
<nopad> 노태우 정부
제35대
장기옥
제36대
조규향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교육부차관 (1990~2000)
<nopad> 노태우 정부 <nopad> 문민정부
제36대
조규향
제37대
이천수
제38대
이영탁
<nopad> 문민정부 <nopad> 국민의 정부
제39대
이용원
제40대
조선제
제41대
이원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교육인적자원부차관 (2000~2008)
<nopad> 국민의 정부 <nopad> 참여정부
제42대
김상권
제43대
최희선
제44대
김신복
제45대
서범석
<nopad> 참여정부
제46대
김영식
제47대
이기우
제48대
이종서
제49대
서남수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교육과학기술부 제1차관 (2008~2013)
<nopad> 이명박 정부
제50대
우형식
제51대
이주호
제52대
설동근
<nopad> 이명박 정부 <nopad> 박근혜 정부
제53대
이상진
제54대
김응권
제55대
나승일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교육부차관 (2013~현재)
<nopad> 박근혜 정부 <nopad> 문재인 정부
제56대
나승일
제57대
김신호
제58대
김재춘
제59대
이영
제60대
박춘란
<nopad> 문재인 정부 <nopad> 윤석열 정부
제61대
박백범
제62대
정종철
제63대
장상윤
제64대
오석환
}}}}}}}}}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color: #003380;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장
초대
고병국
제2대
최태영
제3대
진승록
제4대
고병국
제5대
신태환
제6대
유기천
제7대
김기두
제8대
이한기
제9대
서돈각
제10대
김증한
제11대
이한기
제12대
김치선
제13대
배재식
제14대
이수성
제15대
박병호
제16대
서원우
제17대
백충현
제18대
송상현
제19대
김유성
제20대
김동희
제21대
안경환
제22대
성낙인
제23대
호문혁
제24대
김건식
제25대
정종섭
제26대
정상조
제27대
이원우
제28대
조홍식
폐지 및 법학전문대학원 전환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장
초대
김건식
제2대
정종섭
제3대
정상조
제4대
이원우
제5대
조홍식
제6대
장승화
제7대
한기정
제8대
김종보
제9대
이재민
}}}}}}}}} ||
<colbgcolor=#003764><colcolor=#fff> 대한민국 제20대 문교부차관
김증한
金曾漢 | Kim Chung-han
파일:7af440c3-7bdb-41e5-adb6-8d244e28e309.jpg
출생 1920년 3월 19일
충청남도 부여군
사망 1988년 10월 7일 (향년 68세)
서울특별시 종로구 평창동
본관 신 안동 김씨[1]
청헌(晴軒)
재임기간 제20대 문교부차관
1967년 8월 12일 ~ 1968년 5월 23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3764><colcolor=#ffffff> 부모 아버지 김익진, 어머니 청송 심씨
형제자매 동생 김흥한[2]
친인척 사위 최연희
자녀 장남 김학동, 장녀 김혜동
학력 평양사범학교 (졸업)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법학 / 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법학 / 박사)
경력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교수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학장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문교부차관
}}}}}}}}}

1. 개요2. 생애3. 기타4. 저서5. 어록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교육자. 제20대 문교부차관. 본관은 신 안동 김씨, 호는 청헌(晴軒).

민법학자로서 민법의 제정과 공동소유형태론 등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쳤다.[3]

2. 생애

1920년 3월 19일 충청남도 부여군에서 대법관검찰총장을 지낸 아버지 김익진과 어머니 청송 심씨(1893. 7. 3 ~ 1972. 6. 5)[4] 사이의 4형제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평양사범학교를 졸업하고 전검시험을 거쳐, 1939년 4월 경성제국대학 예과(제16회, 문과갑류)에 입학하여 1944년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법학과를 졸업하였다.

1946년 9월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전임강사에 채용되었다. 1960년 문교부 고등교육국 국장으로 잠시 근무하다가 1960년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교수에 채용되어 1985년까지 재직하면서 민법, 서양법제사, 로마법을 강의하였다.

그 사이 1962년부터 1965년까지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장, 1972년부터 1976년까지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장, 1983년부터 1985년까지 서울대학교 대학원장을 역임하였고, 1967년 8월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법학 박사 학위[5]를 취득했다.

1967년부터 1968년까지 문교부차관을 역임하였고, 특별재판소 심판관, 한국신문윤리위원회 위원, 민사법학회장, 대한법률구조협회 이사, 한독법률학회 등을 역임하였다. 1975년 10월에는 서울제일변호사회로부터 제7회 법률문화상을 수여받기도 했다.

1985년 8월 31일 서울대학교에서 정년퇴임한 후 1985년 9월 동아대학교 법과대학 교수 및 학장으로 부임하였다. 같은 해 전두환 대통령으로부터 국민훈장 모란장을 수여받기도 했으며, 1987년 8월 28일에는 대한민국 학술원 인문·사회 제4분과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1988년 10월 7일 서울특별시 종로구 평창동 자택에서 숙환으로 별세했다.

3. 기타

  • 1958년 처음 《민법총칙》을 출판한 이래로 도중에는 장남인 김학동(金學東, 1949. 8. 30 ~ )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가 공저자로 참여해 개정판을 내기도 했다. 그러나 2018년 기준 김학동 교수도 70이 다된 고령자이고 2013년 6월에 간행된 10판 이후로 딱히 개정판이 안 나오는걸로 보아 후대에 책을 이어서 개정할 사람은 없는 모양. 사실상 2013년 6월판이 마지막일 듯.
  • 4선 국회의원을 지낸 최연희가 맏사위로 그의 장녀 김혜동(金惠東, 1948. 3. 24 ~ )과 결혼하였다. 김혜동은 경희대학교 불어불문학과 교수를 역임하다가 2008년 명예퇴직했다.
  • 둘째 남동생 김흥한(金興漢, 1924. 11. 18 ~ 2004. 1. 19)은 변호사로서 1958년 대한민국 최초의 로펌인 '김장리(Kim, Chang & Lee)'를 설립한 것으로 유명하다. 그는 1949년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그해 열린 3회 변호사시험에 합격하였다. 이후 서울지방법원 판사를 지내다가 1954년 미국 유학을 떠나 4년 만에 귀국한 뒤 국내 최초의 국제거래 전문변호사로 변신했다. 1958년 고등고시 사법과 2회에 합격한 이태영, 고등고시 사법과 1회에 합격한 장대영(張大永, 1922. 11. 30 ~ 1991. 4. 10)과 함께 국내 최초의 로펌 김장리를 설립하였는데, 김장리는 1960년대부터 1970년대 중반까지 외국계 회사의 국내 자문을 독점하다시피 했다.

4. 저서

  • 법학통론(1953)
  • 민법총칙(1958)
  • 물권법(1970)
  • 채권총론(1979)
  • 역서
    • 영국민법휘찬(1948)
    • 영미법의 정신(1956)
  • 편저
    • 법률학사전(1964)
  • 유고집
    • 한국법학의 증언(안이준, 1989)

5. 어록

대학교수들은 지식의 행상에 바쁘고, 법조인들은 그날그날의 사무 처리에만 골몰하고 있다. 대학교수들은 법생활의 현실과 거리가 먼 이론으로 희롱하고, 법조인들은 모든 문제를 레디 메이드의 싼 이론으로 처리해 버리고 그 이상으로 깊은 이론적 검토를 할 여유를 못 가진다.
"연구부의 현상과 전망", 저스티스, 제1호(1957), 5면. 무려 60년 전에 통탄한 내용이지만, 오늘날에도 사정이 크게 다르지 않다.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5px -10px -2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3%"
<tablebordercolor=#fff><tablewidth=100%><tablebgcolor=#fff> 파일:대한민국 학술원 휘장.svg}}}{{{#!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57%"<tablewidth=100%><tablebordercolor=#231f20><tablebgcolor=#231f20>대한민국학술원 회원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현재 회원
인문사회과학부 자연과학부
[분과별 학문 분야]
1분과: 철학, 윤리학, 논리학, 미학, 종교학, 교육학, 심리학
2분과: 어문학
3분과: 사학, 고고학, 민속학, 지리학, 문화인류학
4분과: 법학
5분과: 정치학, 행정학, 사회학
6분과: 경제학, 경영학
[분과별 학문 분야]
1분과: 수학, 물리학, 화학, 천문학, 대기과학
2분과: 생물학, 지질과학, 스포츠과학, 영양학, 가정학
3분과: 건축공학, 금속공학, 기계공학, 섬유공학, 자원공학, 전기공학, 전자공학, 정보공학, 조선공학, 토목공학, 항공공학
4분과: 의학, 치의학, 약학, 수의학
5분과: 농학, 임학, 축산학, 수산학
1분과 2분과 3분과 4분과 5분과 6분과 1분과 2분과 3분과 4분과 5분과
정진홍 조동일 차하순 고상룡 임희섭 이현재 안세희 이상만 박중현 이상섭 홍성각
차재호 홍재성 이기석 김남진 강신택 곽수일 노재식 김상용 문국진 이병일
이돈희 김학주 이기동 정동윤 안병준 정기준 박세희 이정우 노오현 김낙두 김현욱
소광희 이정민 김영한 박병호 김경동 김기영 권숙일 맹원재 윤덕용 김병수 황병국
윤사순 김수용 이성규 김상용 김용구 유장희 기우항 임번장 현병구 이순형 류순호
이한구 조주관 이태진 김효전 진덕규 이학용 김용해 장호완 나정웅 김영중 장동석
박종현 장경렬 한상복 임종률 백완기 이지순 이은 김상구 한송엽 고재승 이홍석
정찬섭 남기심 최병현 권오승 이정복 조장옥 조성호 정진하 최향순 신희섭 김윤수
진동섭 김인환 임돈희 최병조 김홍우 한인구 이호인 조완규 이장무회장 이영순 박승우
박용운 신동운 신용하 전병헌 김도한 이기화 이병기 이승규 최양도
김호동 김문현 임현진 박성현 안진흥 황규영 이종호 홍성윤
김영식 신명순 김진의 임정빈 유정열 박성회 김수일
고동환 최진호 박종욱 손장열 이명식 고희종
이형목 우경식 고규영 김용균
송진원 한재용
작고 회원
인문사회 분과 자연 분과
1분과 2분과 3분과 4분과 5분과 6분과 1분과 2분과 3분과 4분과 5분과
고형곤 권중휘 이병도 최태영 신기석 고승제 안동혁 손치무 이균상 한구동 정문기
안호상 이숭녕 김상기 유진오 이상백 최호진 김동일 강영선 원태상 윤일선 조백현
박종홍 이희승 신석호 고병국 신도성 신태환 이태규 정태현 최경열 이제구 현신규
김두헌 최현배 이선근 이근칠 민병태 유진순 전풍진 박동길 이종일 이종륜 우장춘
김기석 양주동 조의설 윤세창 김성희 조기준 최규남 김호직 이채호 박영진 김호식
김활란 이양하 김재원 이종극 고황경 김순식 권영대 이민재 최방진 이재춘 송재철
김계숙 이병기 류홍렬 김병노 김상협 김효록 최윤식 조복성 윤일중 이진기 이근태
이종우 김윤경 이홍직 이항녕 최문환 육지수 박철재 이병위 민한식 박호풍 박승만
이상은 손우성 홍이섭 박원선 정인흥 김준보 박하욱 김옥준 김기덕 김두종 심종섭
이인기 정인승 고병익 정광현 이만갑 이상구 조광화 최례석 최호영 이세규 지영인
김동화 조윤제 한우근 유기천 윤천주 권오익 이원철 김준민 김재근 김명선 이춘녕
김준섭 김형규 전해종 이한기 박동서 정수영 장기원 김창환 김종석 기용숙 박병희
오천석 차상원 이기백 이희봉 이용희 임원택 성좌경 김삼순 최형섭 한심석 윤상원
류승국 차주환 이광린 문홍주 김대환 박기혁 박정기 홍순우 김문상 우린근 이창구
이희철 여석기 김원용 서돈각 김운태 김옥근 박봉열 김봉균 신영기 나세진 김성원
서명원 조성식 김철준 손주찬 홍승직 오상락 최상업 윤석규 이량 이우주 이은웅
임한영 김동욱 이두현 남흥우 차기벽 정병휴 조순탁 주진순 장석윤 이문호 정후섭
최재희 정병욱 민석홍 황산덕 구영록 김동기 김치영 이대성 윤동석 김용관 강제원
김규영 강두식 이찬 김증한 박광순 이상수 정영호 한만춘 서병설 백운하
유형진 이기문 윤무병 김치선 조순 김정수 김훈수 강명순 이영소 김문협
백낙준 이능우 이우성 박일경 변형윤 최규원 이영록 윤장섭 권이혁 고재군
조요한 동완 황수영 김기두 윤기중 심정섭 김오중 오현위 이장락 최병희
김성태 장덕순 양병우 정영석 박을룡 김준호 최계근 김기홍 박영호
김태길 이가원 민영규 김현태 윤세원 하두봉 이승원 박수선 전세규
윤명로 김현창 김용섭 김정균 김태린 박희인 김재극 장신요 조재영
김종철 김용직 이성무 김홍규 박태원 정창희 우형주 이기영 오봉국
정양은 정명환 황적인 윤갑병 박상대 이택식 김주환
박영식 이경식 심헌섭 윤능민 김수진 황종흘 김용일
김충렬 김완진 김철수 이익춘 이만영 김정룡
조명한 장석진 김종원 송희성 조선휘 이호왕
오병남 이형국 고윤석 이리형
정범모 장세헌 이충웅
조대경 김상주
길희성
이성진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명예회원
시오노 히로시 빈센트 푸어 노요리 료지 피터 그루스 위르겐 코카
크리스티안 슈타르크 로거 비치 앨런 히거 난 린 허준이 }}}}}}}}}


[1] 문충공파 27세 한(漢) 항렬.[2] 金興漢, 1924. 11. 18 ~ 2004. 1. 19. 대한민국 최초 로펌 김장리(Kim Chang & Lee) 창업주.[3] 공동소유의 형태로 공유, 합유, 총유가 모두 인정되는 국가는 대한민국 외에는 유례를 찾기 어렵다고 하는데, 그것이 그렇게 된 것이 바로 김증한 교수의 영향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견해가 일반적이어서, 어느 법학자는 "게르만법보다도 더욱 게르만적인 입법태도"라고 평하기도 했다.[4] 심관섭(沈寬燮)의 딸이다.[5] 박사 학위 논문 : 消滅時效論 ; 新物權法(소멸시효론 ; 신물권법).